목차 일부
목차
序章 = 7
1. 「전승」방법에 대하여 = 8
2. 논의 전개에 대하여 = 10
Ⅰ. 天竺(인도)編
제1장 天竺(인도)部의 형성 = 15
1. 天竺(인도)部의 구성 = 15
2. 天竺(인도)部의 자료 = 28
제2장 「전승」방법 이전의 문제 = 37
1. 『注好選』에 대하여 = 37
2. 『今昔物語集』와 『注好選...
목차 전체
목차
序章 = 7
1. 「전승」방법에 대하여 = 8
2. 논의 전개에 대하여 = 10
Ⅰ. 天竺(인도)編
제1장 天竺(인도)部의 형성 = 15
1. 天竺(인도)部의 구성 = 15
2. 天竺(인도)部의 자료 = 28
제2장 「전승」방법 이전의 문제 = 37
1. 『注好選』에 대하여 = 37
2. 『今昔物語集』와 『注好選』과의 관계 = 44
3. 『今昔物語集』가 이용했다고 생각되는 자료의 성격(1)(2)(3) = 49
4. 『今昔物語集』 冒頭部의 추가 기술이 의미하는 것 = 57
Ⅱ. 震旦(중국)編
제3장 震旦(중국)部의 형성 = 71
1. 震旦(중국)部의 구성 = 71
2. 震旦(중국)部의 자료 = 83
제4장 「전승」방법의 창의와 한계 = 91
1. 〈효양〉과 『今昔物語集』의 「전승」방법 = 91
2. 효양담의 구조와 표현에 의한 「전승」방법 = 116
Ⅲ. 本朝(일본)編
제5장 本朝(일본)部의 형성 = 131
1. 本朝(일본)部의 구성 = 131
2. 本朝(일본)部의 자료 = 151
제6장 「전승」방법의 파문 = 169
1. 문제의 소재 : 『日本靈異記』로부터 『今昔物語集』로 = 170
2. 「事ノ緣」의 의미 = 175
3. 「優婆塞」에서 「俗」으로 = 182
Ⅳ. 『今昔物語集』와 『삼국유사』의 比較編
제7장 『今昔物語集』와 『삼국유사』의 비교약설 = 197
1. 성립사정에 관하여 = 198
2. 성립시기에 관하여 = 201
3. 체제에 관하여 = 204
제8장 「전승」방법의 類似 = 213
1. 『今昔物語集』의 아육왕탑 설화 = 214
2. 『삼국유사』의 아육왕탑 설화 = 228
제9장 「전승」방법의 相違 = 239
1. 天竺(인도)部의 과거불 = 240
2. 本朝(일본)部의 가섭불 = 243
3. 『삼국유사』의 가섭불 = 248
終章 = 253
부록 = 259
색인 = 37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