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장 - 이홍표
제1장 21세기 미국의 아테전략과 동아시아 안보 - 박창권
1. 머리말 = 27
2. 미국의 신 안보전략 및 위협인식의 변화 = 29
3. 미국의 아태전략: 지역 세력균형 체제 및 대 테러전 구조의 발전 = 39
4. 군사력 운용개념의 변화 및 군사력 재배치 계획 = 63
5. 맺음말 = 77
제2장 미국 군사`안보전략의 해양적 특성...
목차 전체
서장 - 이홍표
제1장 21세기 미국의 아테전략과 동아시아 안보 - 박창권
1. 머리말 = 27
2. 미국의 신 안보전략 및 위협인식의 변화 = 29
3. 미국의 아태전략: 지역 세력균형 체제 및 대 테러전 구조의 발전 = 39
4. 군사력 운용개념의 변화 및 군사력 재배치 계획 = 63
5. 맺음말 = 77
제2장 미국 군사`안보전략의 해양적 특성: PSI 사례를 중심으로 - 이서항
1. 머리말 : 해양과 미국의 국가이익 = 82
2. 미 군사, 안보전략의 주요내용 = 87
3. 미 군사, 안보전략과 해양력의 중요성 : [해양력21] 프로젝트의 추진 = 91
4. 해양력 중심의 미 군사, 안보전략 사례 : PSI = 96
5. 맺음말 = 107
제3장 미국 해군력 발전의 역사적 궤적 - 이춘근
1. 머리말 = 109
2. 미군 해군의 기원 : 대륙해군과 독립전쟁 = 113
3. 연안해군 : 미합징국 해군의 창설부터 남북전쟁에 이르기까지 = 117
4. 해양국가 미국의 해군력 = 133
5. 세계 해군시대 = 144
6. 맺음말 = 150
제4장 미국의 해양전략과 동아시아 지역의 잠재적 분쟁요인 - 백진현
1. 머리말 = 152
2. 동아시아 국제체제의 특성과 함의 = 154
3. 동아시아 지역의 잠재적 분쟁요인 = 162
4. 미국의 역할 및 해양전략 = 169
5. 맺음말 = 174
제5장 미국의 해양전략과 미`일 안보협력 - 조성렬
1. 머리말 : 문제의 제기 = 176
2. 미국의 군사전략 변환과 새로운 해양전략 = 179
3. 미국의 동아시아 해양전략과 미, 일 동맹 = 187
4. 최근 일본의 해양안보전략과 평가 = 202
5. 맺음말 : 미, 일 해양안보협력이 한국안보에 주는 시사점 = 213
제6장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대응전략 - 이홍표
1. 머리말 : 문제의 제기 = 216
2. 탈냉전기 중국의 부상과 군사전략의 변화 = 220
3. 중국의 부상과 동아시아 안보 = 236
4.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전략적 대응 = 241
5. 맺음말 = 254
제7장 미국의 해양전략과 한반도 안보 - 윤석준
1. 머리말 = 257
2. 미 해양전략의 발전과정 = 259
3. 미 국가안보전략과 해양전략의 변화 = 262
4. 미 해군의 "Sea Power 21" 해양전략 구상과 개념 = 275
5. 한반도 안보상황과 미 "Sea power 21" 해양전략 = 287
6. 맺음말 : 미래 한, 미 해군협력 발전 방안 = 30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