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PART ONE 에너지와 질량
Chapter 1 대기의 조성과 구조 = 2
대기의 두께 = 3
대기의 조성 = 5
영구기체 = 6
변량기체 = 7
에어로졸 = 11
대기의 연직구조 = 13
밀도 = 14
온도 단면에 의한 대기구조 = 17
전기적 특성에 의한 이온층 = 20
대기의 진화 = 22
기상...
목차 전체
목차
PART ONE 에너지와 질량
Chapter 1 대기의 조성과 구조 = 2
대기의 두께 = 3
대기의 조성 = 5
영구기체 = 6
변량기체 = 7
에어로졸 = 11
대기의 연직구조 = 13
밀도 = 14
온도 단면에 의한 대기구조 = 17
전기적 특성에 의한 이온층 = 20
대기의 진화 = 22
기상의 기본 개념 = 24
기압과 바람 = 24
온도 = 26
습도 = 27
행성대기 = 27
일기예보: 과학과 기술 = 30
Chapter 2 태양복사와 계절 = 37
에너지 = 39
에너지의 종류 = 40
에너지 전달 기구 = 41
복사 = 43
복사의 양과 성질 = 44
방출된 복사의 강도와 파장 = 46
태양상수 = 54
계절의 원인 = 56
지구의 공전과 자전 = 56
Chapter 3 에너지 수지와 온도 = 69
일사에 대한 대기의 영향 = 71
흡수 = 71
반사와 산란 = 72
투과 = 77
태양복사의 일생 = 77
지표면과 대기사이의 에너지 전달과정 = 79
지표면-대기 복사 교환 = 79
전도 = 82
대류 = 83
순 복사와 온도 = 88
위도에 따른 변화 = 89
온실효과 = 90
전 지구 온도 분포 = 91
기온에 영향을 주는 요소 = 93
위도 = 93
고도 = 93
대기 순환 = 95
육지와 바다의 차이 = 95
난류와 한류 = 97
기온에 대한 국지적 영향 = 97
온도 측정 = 98
백엽상 = 102
평균기온과 일교차 = 102
전지구적 기온 극값 = 104
기온과 인간의 쾌감 = 105
대기선도와 연직 온도 분포 = 106
Chapter 4 기압과 바람 = 111
기압의 개념 = 112
기압의 수직 및 수평 변화 = 114
상태방정식 = 115
기압의 측정 = 118
수은 기압계 = 118
수은 기압계 관측 값의 보정 = 119
아네로이드 기압계 = 119
기압의 분포 = 121
기압경도 = 122
정역학 평형 = 123
상층의 수평기압경도 = 124
풍속과 풍향에 미치는 힘들 = 127
전향력 = 128
마찰 = 130
상층대기의 바람 = 131
초지균류과 아지균류 = 132
지표면 근처의 바람 = 134
저기압, 고기압, 기압골, 기압마루 = 134
바람의 측정 = 138
PART TWO 대기 중의 물
Chapter 5 대기의 수분 = 142
수증기와 액체수 = 143
증발과 응결 = 144
수증기 함량의 지수 = 145
수증기압 = 145
절대습도 = 146
비습 = 146
혼합비 = 148
상대습도 = 148
이슬점 = 151
수증기의 분포 = 152
포화에 이르는 방법 = 155
곡률효과와 용질효과 = 157
곡률효과 = 158
용질효과 = 159
빙정핵 = 160
습도 측정 = 161
높은 습도와 불쾌감 = 164
이슬점 또는 어는점까지 냉각 = 164
비단열과정 = 164
단열과정 = 166
환경감률 = 168
응결의 형태 = 169
이슬 = 170
서리 = 170
언 이슬 = 172
안개 = 172
안개의 분포 = 176
구름방울의 생성과 소산 = 177
Chapter 6 구름의 발달과 형태 = 182
공기 상승의 메커니즘 = 184
지형성 치올림 = 184
전선성 치올림 = 186
수렴 = 187
국지적 대류 = 187
정적안정도와 환경기온감률 = 188
절대불안정 공기 = 189
절대안정 공기 = 190
조건부불안정 공기 = 191
환경기온감률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 = 193
하층대기의 가열, 또는 냉각 = 193
서로 다른 고도에서의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의 이류 = 194
다른 환경기온감률을 가진 기단의 이류 = 196
불안정한 공기의 상승한계 = 197
안정한 공기층 = 197
흡입 = 199
매우 안정한 공기 : 역전층 = 199
운형 = 202
상층운 = 203
중층운 = 206
하층운 = 208
연직운 = 210
독특한 구름 = 214
운량 = 218
Chapter 7 강수 과정 = 220
구름방울의 성장 = 222
응결에 의한 성장 = 222
온난운에서 성장 = 223
차고 한랭한 구름 내에서의 성장 = 227
강수의 형태 = 230
눈 = 230
비 = 234
싸락눈과 우박 = 235
언비 = 237
어는 비 = 239
강수의 측정 = 240
우량계 = 240
강설량 측정 = 244
구름 씨뿌리기 = 245
PART THREE 대기의 분포와 운동
Chapter 8 대개대순환과 기압분포 = 250
단세포 모델 = 252
삼세포 모델 = 254
해들리 세포 = 254
페럴과 극 세포들 = 257
삼세포 모델 대 실제 = 258
반영구적인 기압 세포들 = 259
상부 대류권 = 262
상층 대기의 편서풍 = 264
한대전선과 제트류 = 264
기압골과 기압마루 = 266
로스비 파 = 268
해양 = 272
해류 = 272
용승 = 274
주요 바람 시스템 = 276
몬순 (계절풍) = 276
푄, 치누크 그리고 산타아나 바람 = 281
활강바람 = 284
해륙풍 = 285
산골바람 = 287
대기-해양 상호작용 = 288
엘니뇨, 라니냐, 그리고 워커순환 = 288
태평양 수십년 진동 = 291
북극진동 = 292
Chapter 9 기단과 전선 = 296
기단의 형성 = 297
발원지 = 298
대륙성 한대 기단(cP)
대륙성 북극기단(cA) = 300
해양성 한대기단 (mP) = 302
대륙성 열대기단 (cT) = 303
해양성 열대기단 (mT) = 303
전선 = 304
한랭전선 = 306
온난전선 = 308
정체전선 = 310
폐색전선 = 310
건조선 = 314
PART FOUR 대기의 요란
Chapter 10 중위도 저기압 = 318
극전선 이론 = 319
중위도 저기압의 일생 = 321
저기압 발생 = 321
저기압 발달 = 321
폐색 = 324
저기압의 발달과 이동 = 324
대류권 중ㆍ상층의 과정 = 325
로스비 파동과 소용돌이도 = 325
지표 전선과 상층 패턴 = 329
한랭전선과 상층기압골의 형성 = 331
지상과 상층 조건들의 상호작용 = 334
중위도 저기압의 예시 = 335
4월 15일 = 335
4월 16일 = 337
4월 17일 = 340
4월 18일 = 340
유동장 패턴과 대규모의 날씨 = 340
중위도 저기압의 조종 = 341
로스비 파에 관계된 지상 저기압의 이동 = 343
현대적 관점: 중위도 저기압과 컨베이어 벨트 = 345
고기압 = 346
Chapter 11 번개, 천둥과 토네이도 = 350
번개 형성 과정 = 352
전하 분리 = 352
선도, 벼락과 섬광 = 353
번개의 유형 = 355
천둥 = 357
번개에 대한 안전수칙 = 359
뇌우의 소멸과 전파 = 359
기단 뇌우 = 360
악 뇌우 = 362
다운버스트와 마이크로버스트 = 372
뇌우의 시공간적 분포 = 372
토네이도 = 374
토네이도의 특성과 규모 = 375
토네이도의 형성 = 375
토네이도의 위치와 발생시기 = 379
토네이도의 피해 = 384
토네이도에 대한 안전수칙 = 386
감시와 경보 = 387
용오름 = 389
Chapter 12 열대폭풍과 허리케인 = 392
지구상의 허리케인 = 394
열대 기상환경 = 394
허리케인의 특성 = 396
허리케인 눈과 눈 벽 = 398
허리케인의 발생 = 399
허리케인 발달의 필요조건 = 401
허리케인의 이동과 소멸 = 402
허리케인에 의한 재해 = 405
허리케인의 예보와 주의보 = 409
허리케인 감시와 경보 = 410
허리케인의 강도 규모 = 411
PART FIVE 인간활동
Chapter 13 일기예보와 분석 = 418
왜 기상예보는 부정확한가? = 419
예보기법 = 420
예보의 유형 = 422
예보 평가 = 422
자료의 수집과 배포 = 424
예보절차와 생산물 = 427
분석단계 = 428
예보 단계 = 428
후처리 단계 = 429
중기예보 = 433
장기예보 = 435
일기도와 영상물 = 438
지상일기도 = 439
상층 일기도 = 442
위성 영상 = 447
레이더 영상 = 449
열역학 도표 = 450
상승응결지수와 K-지수 = 452
부록: 수치예보모형 = 455
모형의 특성 = 455
규모의 고려 = 455
수평면의 표현 = 457
물리적 과정 = 457
예보정확도와 숙련도의 측정 = 459
Chapter 14 인간의 영향: 대기오염과 열섬 = 464
대기오염물질 = 465
입자상 오염물질 = 466
탄소산화물 = 468
황화합물 = 471
질소산화물 = 474
휘발성 유기화합물 (탄화수소) = 475
광화학 스모그 = 478
대기오염에 대한 대기 조절 = 479
수평수송에 대한 바람의 영향 = 479
대기안정도의 영향 = 480
도시열섬 = 481
복사효과 = 485
열저장량의 변화 = 487
현열과 잠열의 전달 = 487
PART SIX 현재, 과거 그리고 미래의 기후
Chapter 15 지구의 기후 = 492
기후의 정의 = 493
쾨펜의 기후구분법 = 494
열대기후 = 497
열대우림기후 (Af) = 497
열대몬순기후 (Am) = 499
열대사바나기후 (Aw) = 502
건조기후 = 504
아열대사막 (BWh) = 505
아열대스텝 (BSh) = 508
온대사막 (BWk) = 509
온대스텝 (BSk) = 510
온대기후 = 511
지중해성기후 (Csa, Csb) = 511
습윤아열대기후 (Cfa, Cwa) = 513
서안해양성기후 (Cfb, Cfc) = 514
한랭기후 = 515
대륙성한랭기후 (Dfa, Dfb, Dwa, Dwb) = 515
아한대기후 (Dfc, Dfd, Dwc, Dwd) = 516
한대기후 = 517
툰드라기후 (ET) = 517
영구동토기후 (EF) = 519
고산기후 (H) = 520
Chapter 16 과거와 미래의 기후변화 = 523
기후변화의 정의 = 524
기후변화의 시간 규모 = 526
과거 기후 = 527
간빙기와 빙하기 = 529
현재의 빙하기 = 530
가장 최근의 빙하최성기 = 532
현세 = 534
최근 100년의 기후 = 536
천년규모의 기후 진동 = 537
기후변화와 관련된 요소들 = 539
태양활동의 변동 = 540
지구 공전궤도의 변화 = 541
대륙이동설과 지표변화 = 544
대기의 혼탁도 변화 = 545
복사의 변화 - 온실가스들 = 550
되먹임 메커니즘 = 552
얼음-알베도 되먹임 = 553
수증기의 증발 = 554
해양-대기 상호작용 = 554
대기-생물권 상호작용 = 555
대기대순환모델 = 557
과거기후를 알아내는 방법 = 560
해양 퇴적물 = 560
얼음 시추물 = 561
지형의 형성 = 563
고식물 = 565
고토양 = 566
PART SEVEN 특별주제와 부록
Chapter 17 대기광학 = 570
청천 대기 효과 = 571
굴절과 해뜸, 해짐 = 572
신기루 = 573
구름과 강수의 광학 = 576
무지개 = 576
무리, 무리해, 해기둥 = 579
광환과 광륜 = 58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