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환경행태심리와 건축문화(Environmental Behavior Psychology and Architectural Culture)
1. 행태 : 형태 : 생태(Behavior : Form : Ecology) = 17
(1) 형태와 행태 = 17
(2) 형태와 생태 = 18
(3) 행태 ; 형태 ; 생태 = 22
2. 환경지각, 인지 및...
목차 전체
Ⅰ. 환경행태심리와 건축문화(Environmental Behavior Psychology and Architectural Culture)
1. 행태 : 형태 : 생태(Behavior : Form : Ecology) = 17
(1) 형태와 행태 = 17
(2) 형태와 생태 = 18
(3) 행태 ; 형태 ; 생태 = 22
2. 환경지각, 인지 및 환경이미지(Environmental Perception, Cognition and Environment Image) = 25
(1) 환경지각 및 인지 = 25
(2) 환경인지의 기능 = 29
(3) 환경이미지 = 31
3. 문화와 생활/행동양식(Culture and Life/Behavior) = 37
(1) 건축과 문화 = 37
(2) 문화와 생활양식의 변화 = 42
(3) 생활과 적응 = 43
참고문헌(References) = 45
Ⅱ. 공간구성과 행태심리 요소의 개념(The Space Composition and the Concept of Behavior Psychology Elements)
4. 환경정보와 행태심리(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and Behavior Psychology) = 53
(1) 심리적 과정으로의 인간형태 = 53
(2) 환경이미지와 인지도 = 59
(3) 환경정보 = 62
5. 의미와 상징, 그리고 코드(Meaning, Symbol and Code) = 69
(1) 기호로서의 건축 = 70
(2) 상징으로서의 건축 = 77
(3) 사회 문화 코드로서의 건축디자인 = 82
(4) 건축읽기, 문화읽기 = 85
6. 인간공학과 감성(Human Engineering and Emotion) = 89
(1) 인간공학 = 89
(2) 인간공학에 의한 건축 디자인 = 93
7. 접근성과 장애요인(Accessibility, Barrier free Design) = 113
(1) 배리어 프리 디자인의 개념 = 113
(2) 접근성의 장애요소 = 117
(3) 접근성을 위한 배리어 프리 계획 = 119
(4) 건축설계기준 = 126
8. 건축 프로그래밍과 디자인 과정(Architectural Programming and Design Process) = 135
(1) 건축 프로그래밍의 정의 = 135
(2) 건축가 및 프로그래머들의 프로그래밍에 대한 정의 = 136
(3) 건축 프로그래밍의 특성 및 범위 = 137
(4) 프로그래밍의 기법과 수단 = 140
(5) 생활양식 - 건축설계 - 건축 프로그래밍 과정의 상관성 = 148
9. 공간영역의 가변적 융통성과 사회성(The Variable Flexibility of Space and Sociality) = 153
(1) 공간 = 157
(2) 가변적 융통성 = 158
(3) 표준화 = 159
(4) 시스템 = 164
(5) 상관성 = 166
참고문헌(References) = 178
Ⅲ. 건축디자인과 적용 개념(The Concept of Architectural Design and Application)
10. 인간행태의 고려 - Wayfinding(Wayfinding in Architecture) = 187
(1) Wayfinding의 일반적 의미 = 187
(2) Wayfinding시의 행태적 속성 = 188
(3) 공간조직 - 동선체계와 Wayfinding = 190
(4) Wayfinding 측면이 고려된 설계 적용지침 = 196
11. 환경디자인을 통한 범죄예방(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 Design) = 205
(1) 범죄예방과 환경 = 205
(2) 환경디자인을 통한 범죄예방의 이론 = 208
(3) 주거지역 도난예방에 대한 사례 연구 조사 = 215
12. 노인시설과 건축디자인(Architecture Design and Facilities for the Old) = 223
(1) 노인의 개념 및 분류 = 223
(2) 노인시설의 종류 = 231
(3) 국가별 노인주거의 유형 = 233
(4) 노인주거시설의 디자인 = 242
13. 감성공학과 건축디자인(Human Sensibility Ergonomics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Design) = 253
(1) 감성공학(感性工學) = 253
(2) 감성공학을 이용한 공동주택 설계 = 261
14. 가변적 융통성과 오픈빌딩(Flexibility and Open Building) : 인간, 자연, 그리고 미래를 위한 표준화와 Open Building(Human, Nature and Standardization for Future) = 281
(1) 가변적 융통성과 생활양식 = 281
(2) "Open Building"의 기본방향 = 282
(3) 개념 및 구성요소 = 284
(4) 오픈빌딩과 리모델링 = 287
(5) 국내·외 적용 사례 = 290
(6) 우리가 추구해야 할 Open Building = 304
15. 디자인코드인 법제도와 건축디자인(Architecture Design and Design Code) = 311
(1) 건축프로그래밍 과정 속의 건축법제도 = 311
(2) 정보수집 요소로서의 건축법제도 = 313
(3) Facts요소로서의 건축법제도 = 316
(4) Design Code로서의 건축법제도 = 318
(5) 디지털 툴을 활용한 건축프로그래밍의 개념 = 323
16. 거주 후 평가와 사용자 참가 디자인 방법(Post Occupancy Evaluation and User Participant Design) = 331
(1) P.O.E(Post Occupancy Evaluation)의 개념 및 과정 = 331
(2) 사용자 참가 디자인 방법 = 339
17. 건축문화와 전통성(Architectural Culture and Tradition) = 357
(1) 건축문화와 전통성 = 357
(2) 사례 1-재미교포의 경우 = 357
(3) 사례 2-개량 한옥의 경우 = 361
(4) 종합정리 = 366
18. 주거양식과 변(The Living Style and Change) : 문화적 구조를 적용한 주거평면의 분석방법(The Analysis of Resident Plan by the Cultural System) = 371
(1) 주택과 주거의 정의 = 371
(2) 주거양식과 주거문화 = 372
(3) 주거 평면 형성과 차이의 원인 = 373
(4) 주거 평면 분석을 통한 주거양식의 변화읽기 = 376
(5) 문화를 양으로 표현할 수 있을까? = 392
19. 주생활 양식 변화와 공동주택 리모델링(Lifestyle Change and Apartment Remodeling) = 397
(1) 주생활 양식의 변화 = 397
(2) 공동주택 리모델링의 일반적 특성 = 399
(3) 위계적 분류에 의한 공동주택 리모델링 = 401
(4) 공동주택 단위주호 리모델링의 필요성 = 408
(5) 단위주호 리모델링의 사례 = 409
참고문헌(References) = 417
찾아보기(Index) = 421
저자약력(Introduction of the Author) = 42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