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무성 영화 시대, 유성 영화 초기
영화의 탄생 : 에디슨과 뤼미에르 = 2
독일 표현주의 = 4
소비에트 몽타주 = 6
참고할 영화 = 7
전함 포템킨(1925) 전설의 몽타주 오뎃사의 계단 :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 8
황금광 시대(1925) 웃음 끝에 찾아드는 비애 : 찰리 채플린 = 12
장군(1927) 유머를 잡아내는 산뜻한 순간...
목차 전체
무성 영화 시대, 유성 영화 초기
영화의 탄생 : 에디슨과 뤼미에르 = 2
독일 표현주의 = 4
소비에트 몽타주 = 6
참고할 영화 = 7
전함 포템킨(1925) 전설의 몽타주 오뎃사의 계단 :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 8
황금광 시대(1925) 웃음 끝에 찾아드는 비애 : 찰리 채플린 = 12
장군(1927) 유머를 잡아내는 산뜻한 순간 : 버스터 키튼 = 16
메트로폴리스(1927) 정교한 세트 디자인으로 탄생한 미래도시 : 프리츠 랑 = 19
협박(1929) 서스팬스 장르의 첫 걸음 : 앨프레드 히치콕 = 24
푸른 천사(1930) 타락을 유혹하는 어둠의 천사 : 요제프 폰 슈테른베르크 = 27
엠(1931) 소리로 찾아낸 공간의 미학 : 프리츠 랑 = 30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 : 1930∼1945
고전 할리우드 영화 = 36
스튜디오 시스템 = 38
스타 시스템 = 39
장르 시스템 = 42
참고할 영화 = 44
프랑켄슈타인(1931) 공포 영화의 원형, 저예산으로 만든 섬뜩한 블랙 유머 : 제임스 웨일 = 45
스카페이스(1932) 시공의 벽을 허문 트래블링 숏 : 하워드 혹스 = 48
42번가(1933) 화려한 안무, 춤추는 카메라 : 로이드 베이컨 = 51
너무 많이 알았던 사람(1934) 긴장감 높이는 시점 편집 : 앨프레드 히치콕 = 54
어느 날 밤에 생긴 일(1934) 아카데미를 휩쓴 웃음 폭탄, 스크루볼 코미디의 원형 : 프랭크 카프라 = 57
모던 타임스(1936) 행위를 통한 시각 코미디 : 찰리 채플린 = 60
사보타주(1936) 공범 만드는 등장인물의 시점 : 앨프레드 히치콕 = 64
젊음과 순수(1937) 객석에만 보이는 진범 : 앨프레드 히치콕 = 68
스미스 씨 워싱턴에 가다(1939) 역동적인 편집의 속도감 : 프랭크 카프라 = 71
오즈의 마법사(1939) 환상 세계로 인도하는 색채 필름 : 빅터 플레밍 = 74
역마차(1939) 서부 영화의 신화 : 존 포드 = 77
위대한 독재자(1940) 히틀러와 이발사 : 찰리 채플린 = 80
시민 케인(1941) 미장센과 몽타주의 조화 : 오손 웰스 = 84
카사블랑카(1942) 아름다운 거짓말 : 마이클 커티즈 = 88
프랑스 시적 사실주의 : 1930∼1945
시적 사실주의 = 94
참고할 영화 = 96
대서양(1934) 시적 이미지로 다듬은 사실주의 : 장 비고 = 97
망향(1937) 시적 사실주의의 숙명적 결말 : 줄리앙 뒤비비에 = 100
위대한 환상(1937) 유럽 사회의 축소판 : 장 르누아르 = 103
게임의 규칙(1939) 죽은 사회의 죽은 가치 : 장 르누아르 = 108
인생 유전(1945) 실연의 아픔 : 마르셀 까르네 = 112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네오리얼리즘 = 116
참고할 영화 = 118
무방비 도시(1945) 가혹한 고통에 찬 정서적 분위기 : 로베르토 로셀리니 = 119
자전거 도둑(1948) 아버지와 아들의 사랑 : 비토리오 데 시카 = 124
예술 영화와 작가주의
작가로서의 감독 = 128
페데리코 펠리니 = 129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130
잉그마르 베르히만 = 131
참고할 영화 = 133
라쇼몽(1950) 불가사의한 진실의 순간 : 구로사와 아키라 = 134
길(1954) 처음 깨어 있는 의식으로 별을 바라보다 : 페데리코 펠리니 = 138
달콤한 인생(1960) 구원은 없다 : 페데리코 펠리니 = 141
8 1/2(1963) 내면의 초현실적 시각화 : 페데리코 펠리니 = 146
일식(1960) 도시의 건조한 사랑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151
정사(1960) 인간 내면의 위기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154
확대(1966) 보이는 것, 보이지 않는 것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 157
산딸기(1957) 초현실적인 꿈과 환상 : 잉그마르 베르히만 = 162
제7의 봉인(1957) 종말을 앞에 둔 인간상 : 잉그마르 베르히만 = 166
전후 시기의 미국 영화 : 1946∼1967
할리우드 스튜디오 시스템의 쇠퇴 = 170
할리우드의 위기 = 172
텔레비전과의 전쟁 = 172
참고할 영화 = 174
황야의 결투(1946) 보이지 않는 결투 : 존 포드 = 175
선셋 대로(1950) 스타 곁을 떠날 순 없어 : 빌리 와일더 = 180
젊은이의 양지(1951) 화면을 압도하는 이미지 : 조지 스티븐스 = 184
열차의 이방인(1951) 교차 편집과 서스펜스 : 앨프레드 히치콕 = 188
하이 눈(1952) 영상과 시간의 일치 : 프레드 진네만 = 191
셰인(1953) 먼 언덕에서 부르는 소리 : 조지 스티븐스 = 195
지상에서 영원으로(1953) 말없이 말하기 : 프레드 진네만 = 198
워터프론트(1954) 최고의 메소드 연기 : 엘리아 카잔 = 202
수색자(1956) 쓸쓸한 자기 반영 : 존 포드 = 206
악의 손길(1957) 필름 느와르의 비명 : 오손 웰스 = 211
현기증(1958) 무수한 인용과 모방의 원작 : 앨프레드 히치콕 = 214
사이코(1960) 숨막히는 살인 의식 : 앨프레드 히치콕 = 219
새(1963) 표현주의와 몽타주의 혼합 : 앨프레드 히치콕 = 222
프랑스 누벨바그
누벨바그와 새로운 영화들 = 230
참고할 영화 = 232
네 멋대로 해라(1959) 탁월한 영화 교과서 : 장 뤽 고다르 = 233
400번의 구타(1959) 얼어붙은 사춘기 : 프랑수와 트뤼포 = 236
할리우드 예술 영화를 향하여 : 1968∼1970년대 중반
할리우드표 예술 영화 = 240
청년 영화와 반문화의 반격 = 241
참고할 영화 = 244
졸업(1967) 미국 중산층에 대한 야유 : 마이크 니콜스 = 245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1967) 할리우드표 '누벨바그' : 아서 펜 = 248
옛날 옛적 서부에서(1969) 시공간의 과감한 조작 : 세르지오 레오네 = 253
와일드 번치(1969) 폭력적 본능, 기교의 카메라 : 샘 페킨파 = 256
시계태엽 장치 오렌지(1971) 때리면서 노래한다 : 스탠리 큐브릭 = 261
어둠의 표적(1971) 남성을 구원하는 폭력 : 샘 페킨파 = 265
도청(1974) 당신의 프라이버시를 위해 :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 269
차이나타운(1974) 인간성 파멸의 비극적 현장 : 로만 폴란스키 = 272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1975) 비극에 던진 웃음 : 밀로스 포만 = 275
새로운 할리우드 : 1970년대 초반 이후
뉴 할리우드 = 280
할리우드의 개인적 영화들 = 282
참고할 영화 = 284
프랜지(1972) 공포 사이 잔인한 유머 : 앨프레드 히치콕 = 285
대부(1972) 냉혹한 이중성 :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 289
프렌치 커넥션(1971) 숨 막히는 자동차 추적극 : 윌리엄 프리드킨 = 294
택시 드라이버(1976) 부패한 뉴욕을 부유하며 : 마틴 스코시즈 = 297
애니 홀(1977) 내면의 외면화 : 우디 알렌 = 300
미드나잇 익스프레스(1978) 긴장과 이완의 묘미 : 앨런 파커 = 304
재즈의 모든 것(1979) 카메라를 위한 안무 : 밥 포스 = 307
지옥의 묵시록(1979) 선과 악의 내면 풍경 :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 310
샤이닝(1980) 스테디캠, 폐쇄적인 광기의 공간 : 스탠리 큐브릭 = 314
성난 황소(1980) 통렬하고 야만적인 아름다움 : 마틴 스코시즈 = 317
아마데우스(1984) 선망과 질투의 이중 시선 : 밀로스 포만 = 320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아메리카(1984) 그리고 35녀이 흘렀다 : 세르지오 레오네 = 323
천국보다 낯선(1984) 부조리와 역설의 미니멀리즘 : 짐 자무시 = 326
나인 하프 위크(1985) 감각적 영상의 에로티시즘 : 에드리안 라인 = 329
1970년대 이후의 세계 영화
예술 영화의 부활 = 334
참고할 영화 = 336
마리아 브라운의 결혼(1978) 황폐함을 찍은 화면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 337
메피스토(1981) 영혼을 판 예술가의 초상 : 이스트반 자보 = 340
욜(1982) 비운의 예감 : 일마즈 귀니 = 343
소년 소녀를 만나다(1983) 꿈같은 사랑의 순간 : 레오 까락스 = 346
향수(1983) 순환 이미지, 명상적 카메라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349
아빠는 출장 중(1984) 리얼리즘, 몽유병을 앓다 : 에밀 쿠스트리차 = 352
파리, 텍사스(1984) 보이지 않는 재회 : 빔 벤더스 = 355
나쁜 피(1985) 질주와 비상의 욕망 : 레오 까락스 = 35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