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01 확산의 요소
어느 페루 촌락의 물 끓여 마시기 캠페인 : 실패한 확산 = 1
확산이란 무엇인가? = 5
영국 해군의 괴혈병 통제 = 7
드보랙 키보드의 비확산 = 8
개혁 확산의 주요 4요소 = 10
1. 개혁 = 11
2. 커뮤니케이션 채널 = 18
3. 시간 = 21
4. 사회체계 = 25
아이오와의 잡종 옥수수 확산 = 34
요...
목차 전체
01 확산의 요소
어느 페루 촌락의 물 끓여 마시기 캠페인 : 실패한 확산 = 1
확산이란 무엇인가? = 5
영국 해군의 괴혈병 통제 = 7
드보랙 키보드의 비확산 = 8
개혁 확산의 주요 4요소 = 10
1. 개혁 = 11
2. 커뮤니케이션 채널 = 18
3. 시간 = 21
4. 사회체계 = 25
아이오와의 잡종 옥수수 확산 = 34
요약 = 38
1. 개혁 = 38
2. 커뮤니케이션 채널 = 39
3. 시간 = 39
4. 사회체계 = 40
02 확산 연구의 역사
유럽에서의 확산 연구의 시작 = 44
가브리엘 따르드와 모방 = 44
게오르그 짐멜의 이방인 = 45
영국과 독일-오스트리아의 확산론자들 = 46
확산 연구전통의 등장 = 47
패러다임과 비공식 연구집단 = 49
인류학 연구전통 = 51
발리에서 기적의 쌀 : "여신과 컴퓨터" = 53
초기 사회학 = 55
농촌 사회학 = 57
교육학 = 65
피츠버그에서의 근대 수학의 확산 = 67
유치원의 세계적인 확산 = 67
공중보건 및 의료사회학 = 68
콜롬비아대학교의 의약 확산 연구 = 69
타이충 현장 실험 = 74
샌프란시스코의 STON AIDS 프로그램 = 76
커뮤니케이션학 = 77
9.11 테러리스트 공격에 관련된 뉴스의 확산 = 84
마케팅 = 87
전기 자동차 확산에서의 의견지도자들과 메이번 = 93
지리학 = 95
일반 사회학 = 96
프리덤 섬머 참가 모집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 97
확산 연구전통의 경향 = 99
확산 연구의 유형학 = 99
요약 = 105
03 확산 연구의 기여와 비판
오늘날의 확산 연구의 위치 = 107
확산 연구에 대한 비판 = 110
확산 연구의 친개혁적 편향 = 111
이집트 마을의 깨끗한 식수 = 112
인도와 중국의 아들 선호 = 121
확산 연구의 개인 책임 편향 = 122
확산 연구에 있어서의 회상의 문제 132
개혁 확산에서의 평등성 문제 = 136
요약 = 141
04 개혁의 발생
개혁개발 과정 = 144
1. 문제 및 필요에 대한 인식 = 144
2. 기초 연구와 응용 연구 = 146
도시바에서의 노트북 컴퓨터의 탄생 = 151
3. 개발 = 153
냉장고는 왜 소음을 내는가? = 154
새 상품인 세그웨이를 분류하는 방식 = 155
4. 상업화 = 160
제록스 PARC의 어설픈 미래 예측 = 161
5. 확산과 채택 = 163
6. 개혁의 결과 = 165
우연히 발견한 워퍼린 = 165
사회경제적 지위, 평등 그리고 개혁개발 = 166
캘리포니아의 단단한 토마토 = 167
개혁개발 과정 추적 = 169
추적 연구의 단점 = 171
개혁개발 과정에 대한 향후 연구 과제 = 172
농업 협력 모델 = 173
요약 = 174
05 개혁결정 과정
개혁결정 과정 모델 = 177
지식 단계 = 178
개혁에 대한 필요 혹은 인지 중 어느 것이 먼저 나타나는가? = 178
개혁에 관한 지식의 세 가지 유형 = 180
설득 단계 = 183
결정 단계 = 186
실행 단계 = 188
재발명 = 189
재발명은 어느 정도 일어났는가? = 190
재발명이 반드시 나쁜 것만은 아니다 = 194
왜 재발명이 일어나는가? = 196
대평원 인디언들에 의한 말 문화의 재발명 = 199
확인 단계 = 199
불일치 = 200
불연속 = 201
흡연의 불연속성 = 203
강압적인 불연속성과 유기농의 증가 = 204
개혁 결정 과정에 단계가 있는가? = 205
과정 연구 대 변량 연구 = 207
단계들의 증거 = 208
효과들의 위계 = 209
변화의 단계 = 211
테트라싸이클린의 개혁결정 과정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 214
개혁 결정 과정의 단계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채널 = 216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분류 = 216
대중매체 채널 대 대인 채널 = 217
범지역적 채널 대 지역적 채널 = 219
배스 예상 모델 = 220
채택자 범주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채널 = 223
개혁 결정 기간 = 225
인지와 지식의 비율과 채택률 = 225
채택자 범주 분류에 따른 개혁 결정 기간의 길이 = 226
인터넷이 어떻게 개혁 결정 과정을 변화시키고 있는가 = 227
요약 = 228
06 개혁의 특성과 채택률
백인 미국사회의 흑인 음악 : 랩 = 232
채택률 = 233
개역 특성에 관한 연구 = 235
개혁특성의 측정 = 236
채택 단위로서의 조직 = 238
사후추정 대 예측 = 239
실패한 농업 개혁 = 240
상대적 이점 = 242
경제적 요인과 채택률 = 242
개혁의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측면 = 243
과도 채택 = 245
상대적 이점과 채택률 = 246
예방 개혁 = 247
인센티브의 효과 = 250
위로부터 요구되는 채택 = 253
적합성 = 254
가치와 신념과의 적합성 = 255
이전에 도입된 아이디어와의 적합성 = 258
개혁대상자의 요구와의 적합성 = 261
백만 가구의 지붕 위의 설치된 광발전 기구 = 262
말하지 않는 며느리 = 262
적합성과 채택률 = 264
기술 클러스터 = 264
개혁에 이름달기 = 266
개혁 포지셔닝 = 267
수용가능성 연구 = 269
전통적 지식 체계 = 270
복잡성 = 274
시험가능성 = 275
관찰가능성 = 275
휴대전화와 라이프스타일 혁명 = 276
요약 = 281
07 개혁성과 채택자 범주
안데스 콜롬비아 마을의 농업 개혁의 확산 = 285
개혁성에 기초한 채택자 범주 분류 = 288
채택의 S형 곡선과 정규분포 = 288
조직의 개혁성 측정하기 = 292
누가 채택하는가? = 294
채택자 범주화 = 296
이념형으로 본 채택자 범주 = 299
모험심이 강한 개혁자 = 300
존경받는 조기 채택자 = 300
신중한 조기 대다수 = 301
회의적인 후기 대다수 = 302
전통적인 비개혁자 = 302
개혁에 '아니오'라고 말하는 사람들 : 구 암만파 신도집단 = 303
채택자 범주의 특성 = 305
사회경제적 특성 = 306
개성 변인 = 307
커뮤니케이션 행위 = 309
수용자 세분화와 채택자 범주 = 311
홍콩에서의 휴대전화 비개혁자 = 313
개혁성-필요 패러독스와 최소 저항의 전략 = 314
네트워크의 개혁성에 미치는 영향 = 316
요약 = 317
08 확산 네트워크
근대 수학의 확산에 있어서 의견지도력 = 320
커뮤니케이션 흐름에 대한 모델들 = 322
피하주사 모델 = 322
2단계 흐름 모델 = 323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서의 동질성과 이질성 = 325
동질성과 이질성 = 325
확산의 걸림돌로서의 동질성 = 326
의견지도력과 네트워크 연결의 측정 = 329
신형 전자게임기를 위한 바이러스 마케팅에서의 "알파 강아지"들의 역할 = 334
단일형 의견지도력과 복합형 의견지도력 = 335
폴 리비어의 한밤 중 활약 = 335
의견지도자들의 특성 = 337
외부 커뮤니케이션 = 338
접근성 = 338
사회경제적 지위 = 339
개혁성 = 339
개혁성, 의견지도력 그리고 체계규범 = 340
의견지도 조직 = 341
의견지도자는 중요한가? 343
의약품 확산에 있어서의 네트워크 = 348
확산 네트워크 = 352
도미니카공화국에서 방전변환공학의 확산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 352
군집연구 = 354
존 스노우 박사와 런던에서의 콜레라 확산 = 357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분석 = 359
'약한 연대의 강력함'이론 = 361
네트워크에서 누가 누구와 연결되어 있는가? = 363
사회학습이론 = 364
상호작용적 개혁의 확산에서의 결정적 다수 = 365
팩스의 확산과 결정적 다수 = 367
인터넷의 확산 = 368
결정적 다수의 개념 = 371
관찰당하는 동안 관찰하기 = 375
잠자는 책 = 377
채택을 위한 개인적 분계점 = 379
왜 사람들은 결정적 다수가 형성되기 전에 채택하는가? = 380
네트워크가 지니는 높은 설명력 = 384
결정적 다수에 이르기 위한 전략 = 384
요약 = 386
09 개혁주도자
표적화 = 390
연결자로서의 개혁주도자 = 392
개혁주도자 역할의 연숙성 = 393
강압적인 확산 : 인도네시아의 노르플란트 확산 사파리 = 396
개혁주도자 성공의 요인= 397
개혁주도자의 노력 = 398
개혁대상자 정향 = 399
개혁대상자 필요와의 적합성 = 400
지속성 : 나이지리아의 "치킨" 데이비스 = 401
개혁주도자의 공감 = 402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 403
이집트에서의 ORT 캠페인 = 406
동질성과 개혁주도자의 접촉 = 407
개혁주도자의 지위가 낮은 개혁대상자와의 접촉 = 409
준 전문적인 보조원 = 410
개혁주도자의 공신력 = 411
보조원의 불확실한 전문성 = 413
볼티모어에서의 주사바늘 교환 프로젝트 = 413
의견지도자 이용 = 414
실연의 역할 = 415
개혁대상자의 평가 능력 = 417
농업 협력 연구소 = 418
중앙집중적 확산체계와 탈중심적 확산체계 = 421
탈중심적 확산의 장단점 = 424
요약 = 426
10 조직에서의 개혁
개혁 결정의 유형 = 430
조직 = 431
가상조직들 = 433
조직의 개혁성 = 435
규모와 조직의 개혁성 = 437
구조적 특성과 조직의 개혁성 = 439
개혁후원자의 역할 = 442
조직에서의 개혁 과정 = 445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테크놀로지의 채택 = 447
개혁 과정의 단계 = 448
1. 의제 설정 = 449
2. 일치화 = 451
3. 재정의/재구조화 = 451
4. 명료화 = 445
5. 일상화 = 457
산타 모니카 고속도로의 다이아몬드 차선 실험 : 개혁 이행의 실패 = 459
조직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기술 = 461
요약 = 461
11 개혁의 결과
북극구(atctic)의 설상차 혁명 465
개혁 결과에 관한 연구 467
개혁의 결과 분류 470
바람직한 결과 대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 470
직접적인 결과 대 간접적인 결과 474
ORT: 결과들의 결과 475
예측된 결과 대 예측되지 않은 결과 477
석기시대에 사는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을 위한 쇠도끼 478
개혁의 형태, 기능, 그리고 의미 480
아일랜드의 감자 기근 481
역동성 균형의 달성 482
모기 살충제 483
개혁 결과에서의 평등 485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격차 489
개혁 확산의 결과에 따른 격차 확대 490
사회 구조와 결과의 평등성 492
격차를 좁히기 위한 전략 494
격차의 확대가 필연적인 것은 아니다 498
디지털 격차 499
요약 500
관련 문헌 목록 503
찾아보기 57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