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초판 머리말 = 3
개정판 머리말 = 5
제1장 포스트모던 철학과 교육의 새로운 비전 / 조화태 = 11
Ⅰ. 포스트모던 철학과 상대주의, 그리고 교육의 위기 = 12
Ⅱ. 포스트모던 철학과 반정초주의 = 18
1. 소여성의 부정과 가치부하설 = 21
2. 진리의 우연성과 상호비교불가능설 = 23
3. 진리의 다원성과 해체설 = 25
...
목차 전체
목차
초판 머리말 = 3
개정판 머리말 = 5
제1장 포스트모던 철학과 교육의 새로운 비전 / 조화태 = 11
Ⅰ. 포스트모던 철학과 상대주의, 그리고 교육의 위기 = 12
Ⅱ. 포스트모던 철학과 반정초주의 = 18
1. 소여성의 부정과 가치부하설 = 21
2. 진리의 우연성과 상호비교불가능설 = 23
3. 진리의 다원성과 해체설 = 25
Ⅲ. 포스트모던 철학과 새로운 사회의 비전 = 26
1. 인간주체성의 강조 = 28
2. 사회적 협동과 대화의 강조 = 29
3. 전통의 중요성에 대한 강조 = 31
Ⅳ. 포스트모던 철학의 교육적 시사 = 33
1. 비판적 사고의 함양을 위한 교육 = 35
2. 가치와 주체성의 교육 = 37
3. 사회적 협동을 통한 전통의 습득과 재창조를 위한 교육 = 39
Ⅴ. 맺는 말 = 40
참고문헌 = 42
제2장 덕목의 학습과 자율성 / 조난삼 = 47
Ⅰ. 서론 = 48
Ⅱ. 관습적 도덕의 세계 = 56
Ⅲ. 자기이해를 토대로 한 자율성 = 64
Ⅳ. 도덕교육의 덕목론적 접근 = 72
참고문헌 = 81
제3장 교육철학의 성 중립성과 교육에서의 여성소외 / 유현옥 = 86
Ⅰ. 문제 제기 = 84
Ⅱ. 삶의 영역간의 갈등과 성 = 86
Ⅲ. 교육과 성 = 98
Ⅳ. 양자택일의 극복과 대안 탐색 = 110
참고문헌 = 113
제4장 로티의 신프라그마티즘과 시민교육의 문제 / 곽덕주 = 115
Ⅰ. 자유주의적 아이러니스트 개념의 문제점 :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분리 = 116
Ⅱ. 공·사적 영역 분리 문제의 맥락과 진단 = 121
Ⅲ. 포스트모던 사회의 시민교육을 위하여 = 134
참고문헌 = 140
제5장 개인중심 교육사상의 기본 가정과 한계점 / 정진곤 = 141
Ⅰ. 머리말 = 142
Ⅱ. 개인주의란 무엇인가 = 145
Ⅲ. 역사적 전개과정 = 148
Ⅳ. 바람직한 삶의 방식에 대한 기본가정 = 152
1. 인간의 존엄성 = 153
2. 자율성 = 155
3. 사생활의 존중 = 157
4. 자아개발 = 159
Ⅴ. 개인주의와 정치, 경제 그리고 사회 윤리 = 161
1. 정치적 개인주의 = 162
2. 경제적 개인주의 = 164
3. 윤리적 개인주의 = 165
Ⅵ. 개인주의 사상의 한계 = 166
Ⅶ. 맺음말 = 171
참고문헌 = 172
제6장 경험 개념의 재이해 / 박철홍 = 175
Ⅰ. 서론 = 176
Ⅱ. 상호작용 = 180
1. 능동과 수동의 결합 = 181
2. 주지주의에 대한 대안 = 184
Ⅲ. 교변작용 = 188
1. 상호작용의 우선성 = 188
2. 주관주의에 대한 대안 = 193
Ⅳ. 상황 = 198
1. 경험의 총체성 = 198
2. 상황의 역동성 = 201
Ⅴ. 일차적 경험과 반성적 경험 = 207
Ⅵ. 듀이 연구에 대한 반성과 교육학적 과제 = 211
참고문헌 = 218
제7장 무기력한 지식 교육의 대안 :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 홍은숙 = 223
Ⅰ. 무기력한 지식 교육의 문제 = 224
Ⅱ. "무기력한 관념"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논의 = 226
Ⅲ. 실용주의적 접근에 대한 비판 : 두 가지 "유용성"과 "목적 혼동의 오류" = 231
Ⅳ. "주지주의적 합리주의"의 접근에 대한 비판 = 238
Ⅴ. 대안적 접근 : "사회적 실제"에의 입문으로서의 교육 = 247
Ⅵ. 결론 = 253
참고문헌 = 256
제8장 사회적 실제와 교육 / 유재봉 = 257
Ⅰ. 서론 = 258
Ⅱ. 허스트의 '사회적 실제에 기반을 둔 교육' = 260
Ⅲ.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선정 = 266
Ⅳ. 교육방법 = 275
Ⅴ. 결론 = 279
참고문헌 = 282
제9장 "일"의 가치와 자유교육의 의미 / 강영혜 = 285
Ⅰ. 문제제기 : '일'의 교육적 가치 = 286
Ⅱ. 마르크스의 인간관 : 유적 본질(類的 本質)과 '일' = 288
Ⅲ. 소외와 프락시스와 자유인 = 294
1. 마르크스와 소외의 의미 = 294
2. 프락시스의 이해 = 298
3. 현대적 자유인의 이해 = 303
Ⅳ. 프락시스와 자유교육 = 306
Ⅴ. 요약 및 결론 = 316
참고문헌 = 320
제10장 공교육제도 성립에 대한 자유주의적 논거 탐색 / 이종태 = 323
Ⅰ. 서론 = 324
Ⅱ. 로크의 교육론에 대한 예비적 고찰 = 326
Ⅲ. 신사계급을 위한 교육 = 331
1. 신사교육의 목적 = 331
2. 사적 교육(私的 敎育)의 원칙 = 338
Ⅳ. 빈민계급을 위한 교육 = 343
1. 로크의 빈민관 = 343
2. 빈민교육의 목적 = 346
3. 공권력에 의한 교육 = 349
Ⅴ. 결론 = 351
참고문헌 = 353
제11장 참여민주주의와 '공교육'의 의미 / 이기범 = 357
Ⅰ. 머리말 = 358
Ⅱ. 전통적 견해의 공중 = 360
Ⅲ. 공중의 재해석과 그 교육적 의미 = 362
1. 기념비적 문화를 중시하는 견해와 그 교육적 의미 : A. Bloom과 E. D. Hirsch = 362
2. 공동체의 본질을 중시하는 견해와 그 교육적 의미 : C. Taylor, A. MacIntryre와 H. Girous = 366
3, 공공담화의 절차를 중시하는 견해와 그 교육적 의미 : J. Habermas = 377
Ⅳ. 맺는말 : 참여민주주의와 공교육을 위한 몇가지 제언 = 386
참고문헌 = 390
제12장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론 비판 / 나병현 = 395
Ⅰ. 머리말 = 396
Ⅱ. 교육 :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 397
1. 국가기구로서의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 = 398
2. 이데올로기 기구로서의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 = 401
3. 상대적 자율성과 종속성 = 407
4. "상대적"의 의미 = 409
Ⅲ. 문화재생산론 = 412
1. 교수행위 : 상징적 폭력 = 412
2. 교육과 생산의 범주화 = 418
3.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과 재생산 = 420
Ⅳ. 지식교육과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 = 422
1. 교육의 상대적 자율성의 근거 = 422
2. 학교지식과 문화적 헤게모니 = 424
3. 학교지식의 합리적 성격과 이데올로기적 성격 = 429
Ⅴ. 맺는 말 = 433
참고문헌 = 435
찾아보기 = 43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