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I. 근현대사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 근현대사 교육의 제문제|김한종
1. 근현대사 교육을 둘러싼 문제들
2. 역사인식과 근현대사 교육의 쟁점
3. 한국 근·현대사 교육과정의 문제점
4. 바람직한 근현대사 교육을 위하여
한국 근현대사 교육의 변천과 쟁점|임하영
1. 머리말
2. 식민사학의 극복과 한국사 연구성과의 반영
3. 국사교육의...
목차 전체
I. 근현대사 교육, 무엇이 문제인가
한국 근현대사 교육의 제문제|김한종
1. 근현대사 교육을 둘러싼 문제들
2. 역사인식과 근현대사 교육의 쟁점
3. 한국 근·현대사 교육과정의 문제점
4. 바람직한 근현대사 교육을 위하여
한국 근현대사 교육의 변천과 쟁점|임하영
1. 머리말
2. 식민사학의 극복과 한국사 연구성과의 반영
3. 국사교육의 강화와 정치도구화
4. 민중사학의 성장과 근현대사의 이데올로기 문제
5. '한국 근현대사'의 분리와 '민족' 논쟁
6. 맺음말
II. 근현대사 교육의 현황과 대안
초등학교 근현대사 수업실태와 그 요인|김주택
1. 머리말
2. 수업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3. 근현대사 서술 내용의 문제
4. 교사의 근현대사 지식
5. 맺음말
초등학교 역사수업 속의 현대사 교훈|류현종
1. 머리말
2. 역사의 교훈과 현대사 학습
3. 현대사 수업 : 4월의 함성을 느끼며
4. 현대사 수업에 나타난 역사의 교훈
5. 맺음말
<부록> 4·19혁명 학습활동지
초등학교와 중학교 근현대사 교육의 연계방안|방지원
1. 초·중학교 근현대사 교육의 지향점
2. 현행 초·중학교의 근현대사 내용체계
3. 주요개념을 이용한 연계방안 모색
4. '근대화'개념을 이용한 교수요목 구성
5. 맺음말
고등학교 한국 근현대사 교육의 현황|이해영
1. 머리말
2. 고등학교 사회과 선택과정 운영과 한국 근현대사
3. 한국 근·현대사 수업실태
4. 맺음말
프랑스 고등학교 현대사 교육의 내용구성과 조직|주철민
1. 왜 프랑스의 현대사 교육인가?
2. 현대사 교육의 중요성
3. 사회적 필요성에 의한 교육내용 구성
4. 연대기에서 주제별 교육내용조직으로
5. 기억으로서의 현대사 교육을 위하여
III. 역사교과서 속의 한국 근현대사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의 학습자료 분석|이해영
1. 머리말
2.『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구성상의 특징
3. 본문보조자료
4. 탐구자료
5. 읽기자료
6. 맺음말
『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내용구성과 현대사 수업|김한종
1. 현대사 교육의 어려움
2.『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내용구성 방향
3. 현대사 단원의 내용구성
4.『한국 근·현대사』교과서 집필의 문제점과 현대사 수업
『한국 근·현대사』교과서의 세계사 내용 강화방안|방지원
1. 세계사와 단절된 한국 근현대사 서술
2.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세계사 내용분석
3. 세계사 내용 개선방안
4. 결론 및 제언
중학교 세계사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근현대 인식|허신혜
1. 세계사 교육과 세계에 대한 인식
2. 세계사 단원구성의 변화
3. 제 7차 교육과정 교과서 속의 세계의 근현대사
4. 맺음말
근현대사 교육 논저 목록
근현대사 참고 사이트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