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건강과 질병 = 1
Ⅰ 건강의 개념 = 1
1. 건강의 정의 = 1
2. 건강 개념의 변천 = 4
3. 기본적 권리로서의 건강 개념 = 6
Ⅱ 질병의 개념 = 7
1. 질병의 발생과정 = 7
2. 예방대책 = 8
3. 질병발생의 상호 역동적 관계 = 10
4.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적 조치 = 11
5. 예방단계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건강과 질병 = 1
Ⅰ 건강의 개념 = 1
1. 건강의 정의 = 1
2. 건강 개념의 변천 = 4
3. 기본적 권리로서의 건강 개념 = 6
Ⅱ 질병의 개념 = 7
1. 질병의 발생과정 = 7
2. 예방대책 = 8
3. 질병발생의 상호 역동적 관계 = 10
4. 질병의 자연사와 예방적 조치 = 11
5. 예방단계 = 16
Ⅲ 현대 보건의료에 대한 비판과 대안 = 18
1. 보건의료의 개편 방향 = 19
2. 문명비판적 시각 : Ivan Illich의 의원성 질환(iatrogenesis) = 20
3. 마르크스주의적 시각 = 21
4. 현대 보건의료의 문제점 = 22
5. 보건의료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holistic approach) = 22
Ⅳ 건강증진 = 23
1. 건강증진의 개념 = 23
2. 건강증진사업 = 27
제2장 공중보건학의 개념 = 31
Ⅰ 공중보건학의 정의 = 31
Ⅱ 공중보건학의 출현배경 = 32
1. 위생학과 공중위생학 = 32
2. 공중보건학 및 예방의학의 개념 = 33
3. 사회의학(social medicine : S. health) = 34
4. 지역사회의학(community medicine) = 34
5. 공중보건학과 지역사회보건학 = 35
6. 공중보건학의 향후 전망 = 35
Ⅲ 공중보건의 당면과제 = 36
Ⅳ 우리나라 공중보건의 과제 = 36
Ⅴ 공중보건학의 발전과정 = 37
1. 고대문명 = 37
2. 암흑기(500~1500년) = 38
3. 요람기(1500~1850) = 39
4. 확립기(1850~1900) = 39
5. 발전기(20세기 이후) = 40
제3장 역학 = 43
Ⅰ 역학의 정의 및 역사적 배경 = 43
Ⅱ 역학의 활용범위 = 46
1. 원인규명 및 자연사에 관한 기술 = 46
2. 위험요인의 확인 = 47
3. 증상군의 확인 및 질병분류 = 47
4. 임상 치료계획 = 48
5. 인구집단의 건강상태 감시의 역할 = 48
6. 지역사회집단과 보건사업계획 = 49
7. 보건사업의 평가 = 49
8. 지역사회간호와 역할의 활용 = 49
Ⅲ 역학의 기본개념 = 51
1. 인과관계 = 51
2. 원인의 확인 = 54
3. 질병발생의 원인 모형설 = 59
Ⅳ 집단검진(screening) = 62
1. 집단검진을 위한 구비조건 = 62
Ⅴ 표본선정 및 통계적 유의성 = 64
1. 대상집단 = 64
2. 표본오차 = 65
3. 무작위 표본추출 = 65
4. 표준오차 = 65
5. 비교결과에 대한 해석 = 65
6. 유의성 검정 = 66
7. P-value = 66
Ⅵ 상관성 = 66
1. 양적 관계의 기술 = 66
2. 회귀 방정식(Regression Equation) = 67
3. 상관계수 = 67
Ⅶ 역학연구 방법 = 68
1. 연구방법상의 비교 = 69
2. 후향성 연구(prospective studies) = 76
3. 전향성 연구(retrospective studies) = 82
Ⅷ 역학연구의 접근단계(연구과정) = 86
1. 문제의 확인 = 86
2. 문헌고찰 = 87
3. 연구설계 = 87
4. 자료수집 = 87
5. 자료분석 = 88
6. 연구결과의 해석과 결론 = 88
7. 연구평가 사례 = 88
Ⅸ 감염성 질병의 역학과 관리 = 90
1. 감염성 질병의 발현 : 풍토병과 유행병 = 90
2. 관리의 일반원칙 : 면역증강 = 91
제4장 보건통계 및 지표 = 93
Ⅰ 보건통계 = 93
1. 보건통계의 정의와 이용 = 93
2. 모집단과 표본 = 94
3. 통계자료의 정리 = 97
4. 자료의 측정 = 100
5. 보건통계에 이용되는 지표 = 103
Ⅱ 보건지표 = 111
1. 보건통계지표 = 111
2. 국민건강수준 = 113
제5장 전염병 관리 = 121
Ⅰ 전염병 = 121
1. 전염성 질환의 변천과정 = 121
2. 전염성 질환의 개념 = 122
3. 전염성 질환의 생성과정 = 123
4. 전염병 관리의 발전사 = 123
5. 전염병 유행의 조건 = 125
6. 전염병의 생성과정 = 126
7. 전염병 유행의 유형 = 136
8. 전염병의 예방과 관리 = 139
9. 우리나라의 법정 전염병 = 143
Ⅱ 급ㆍ만성 전염병 및 질환 관리 = 146
1. 급성 전염병 관리 = 146
2. 만성 전염병 관리 = 160
제6장 기생충 질병관리 = 169
Ⅰ 기생충의 개념 = 169
Ⅱ 인체 기생충의 분류 = 171
1. 생물형태학적 분류 = 171
2. 기생충 매개물에 의한 분류 = 172
Ⅲ 기생충의 종류 = 173
1. 원충류(protozoa) = 173
2. 선충류(namatoda) = 174
3. 조충류(cestoda) = 176
4. 흡충류(吸蟲類, trematoda) = 177
제7장 식품위생 = 179
Ⅰ 식품위생의 개념 = 179
1. 식품위생의 정의 = 179
Ⅱ 식중독 = 180
1. 식중독의 정의 및 분류 = 180
2. 세균성 식중독(bacterial food poisoning) = 181
3. 자연물에 의한 식중독 = 184
4. 기타 식중독 = 186
5. 화학성 식중독(chemical food poisoning) = 186
6. 곰팡이 독소에 의한 중독 = 187
7. 식품의 변질과 보존 = 187
8. 식품의 변질 = 188
9. 식품의 보존방법 = 189
10. 식품 첨가물의 종류 및 특성 = 191
제8장 환경보건 = 195
Ⅰ 환경보건학의 개념 = 195
Ⅱ 환경보전과 오염 = 197
1. 환경오염의 정의 및 발생요인 = 197
2. 환경오염 문제의 대두 = 199
Ⅲ 대기오염 = 200
1. 대기오염의 정의 = 200
2. 대기오염 물질 = 201
3. 환경영향 평가 = 205
4. 환경 호르몬 = 206
5. 대기의 환경기준 = 206
6. 대기오염의 역사 = 213
7. 대기오염과 기상 = 214
8. 대기오염의 영향 = 217
9. 대기오염 방지대책 = 221
Ⅳ 수질오염 = 224
1. 수질오염의 정의 및 발생원 = 225
2. 수질오염 사건 = 227
3. 수질오염 지표 = 228
4. 수질환경기준 = 232
5. 수질오염의 영향 = 234
6. 수질오염 방지대책 = 236
제9장 환경위생 = 237
Ⅰ 환경위생학의 개념 = 237
1. 환경위생학의 정의 = 237
2. 환경위생의 발전 = 238
3. 환경위생의 영역 = 240
Ⅱ 자연적 환경 = 241
1. 물리ㆍ화학적 환경 = 241
2. 생물학적 환경 = 269
Ⅲ 하수 = 275
1. 하수와 하수도 = 275
2. 하수처리 = 276
Ⅳ 집합소 위생 = 279
1. 수영장 위생 = 279
2. 공중목욕장 위생 = 281
Ⅴ 인위적 환경 = 282
1. 주택 = 282
2. 의복 = 290
Ⅵ 위생시설 = 293
1. 분뇨와 보건 = 293
2. 분뇨처리 = 293
제10장 산업보건 = 299
Ⅰ 산업보건의 개념 = 299
1. 산업보건의 정의 및 목적 = 299
2. 산업보건의 중요성 및 발전과정 = 300
Ⅱ 노동과 건강 = 301
1. 근로자와 작업 = 301
2. 노동과 정신건강 = 303
3. 부녀 노동과 노ㆍ소년 노동 = 304
4. 근로와 영양 = 304
5. 산업피로 = 305
Ⅲ 산업재해 = 308
1. 산업재해의 개념 = 308
2. 재해 발생의 요인 및 재해 통계 = 309
3. 재해의 상병 분류 및 재해 예방대책 = 310
Ⅳ 직업병 = 311
1. 직업병 정의 및 발생원인 = 311
2. 물리적 인자에 의한 건강장애 = 313
3. 분진에 의한 건강장애 = 331
4. 공업중독의 종류 = 333
5. 작업환경의 위생관리 = 335
제11장 인구보건 = 337
Ⅰ 인구의 정의 및 보건 = 337
1. 인구의 정의 = 337
2. 개인의 건강상태 지표 = 338
3. 인구론의 발전 = 340
Ⅱ 인구의 구성 = 342
1. 성별 구성 = 342
2. 연령별 구성 = 342
3. 부양비 = 342
4. 인구 피라미드 = 343
Ⅲ 인구의 변천 = 344
1. 인구증가 = 344
2. 인구변천 이론 = 345
Ⅳ 인구현황 = 346
1. 인구조사 = 346
2. 생명표 = 347
3. 세계 및 우리나라의 인구추세 = 349
Ⅴ 인구문제와 인구정책 = 350
1. 인구증가와 보건 = 350
2. 우리나라의 인구 = 351
제12장 학교보건 = 353
Ⅰ 학교보건의 역사와 개념 = 353
1. 학교보건의 역사 = 353
2. 학교보건의 개념 = 354
3. 학교보건의 중요성 = 354
Ⅱ 학교보건의 범위와 내용 = 355
1. 학교보건의 범위 = 355
2. 학교보건교육 내용 = 355
3. 학교보건 담당업무 = 357
Ⅲ 학교보건정책 = 358
1. 관련 정책의 변화 = 358
2. 학교보건 관련법 = 359
3. 학교보건조직 = 361
Ⅳ 학교급식 = 362
제13장 노인보건 = 363
Ⅰ 노인보건의 개념 = 363
1. 노인인구의 증가 = 363
2. 노인의 건강문제 = 364
3. 노인보건사업 = 365
Ⅱ 노인 및 노년기의 의미 = 366
1. 노년기의 일반적인 특징 = 366
2. 노인의 발달과업 = 366
3. 노화현상 = 367
Ⅲ 노인의 일상생활과 건강 = 372
1. 식사 = 373
2 배설 = 373
3. 수면 = 374
4. 운동 = 374
제14장 정신보건 = 375
Ⅰ 정신보건의 개념 = 375
Ⅱ 정신장애의 원인 = 376
1. 내적 원인 = 376
2. 외적 원인 = 377
Ⅲ 정신장애의 분류 = 378
Ⅳ 주요 정신질환 = 379
1.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 379
2. 조울병(manic depressive illness) = 379
3. 기질성 정신병(organic brain system) = 380
4. 인격장애 = 380
Ⅴ 인격발달 = 380
1. 영ㆍ유아기(출생 후 ~ 3세) = 380
2. 초기 아동기(3~6세) = 381
3. 학동기(7~11세) = 381
4. 사춘기 = 382
5. 청년기 = 382
6. 중년기 = 382
7. 노년기 = 383
Ⅵ 정신보건관리 = 383
1. 지역사회 정신보건 = 383
2. 예방정신보건 = 384
3. 우리나라 정신보건 대책 = 385
제15장 재활보건 = 387
Ⅰ 재활의 정의 = 387
Ⅱ 재활의 개념 = 387
Ⅲ 재활보건의 주요 대상인 장애인구 현황 = 388
Ⅳ 장애인 복지시설의 유형 = 389
Ⅴ 재활보건의 중요성 = 389
Ⅵ 의료재활이란 = 391
1. 물리치료(physical therapy) = 392
2. 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 = 395
제16장 모자보건 및 가족계획 = 399
Ⅰ 모자보건의 의의 = 399
1. 모자보건의 개념 = 399
2. 모자보건의 중요성 = 400
Ⅱ 모자보건의 내용 = 400
Ⅲ 모성보건 = 402
1. 모성이란 = 402
2. 모성의 교육 = 403
Ⅳ 가족계획 = 408
1. 가족계획의 정의 = 408
2. 가족계획의 필요성 = 409
3. 가족계획의 역사 = 410
4. 가족계획의 내용 = 411
5. 우리나라의 가족계획사업 = 413
Ⅴ 피임 = 415
1. 피임의 정의 = 415
2. 피임법의 조건 = 416
3. 피임방법 = 416
제17장 보건교육 = 425
Ⅰ 보건교육의 개념 및 정의 = 425
Ⅱ 보건교육의 목적 = 426
Ⅲ 보건교육의 중요성 = 427
Ⅳ 보건교육의 계획 및 준비과정 = 428
1. 보건교육의 유형 = 428
2. 보건교육의 영역 = 429
3. 보건교육의 계획 = 429
4. 보건교육 실시 전 평가 = 430
5. 보건교육의 실시를 위한 준비과정 = 430
Ⅴ 보건교육의 방법 및 교육자료 = 431
1. 개인 접촉방법 = 431
2. 집단접촉 방법 = 432
3. 대중접촉 방법 = 434
4. 일반적 교육방법 = 434
5. 왕래식 보건교육방법 = 435
6. 보건학 교육에 이용되는 자료 = 435
Ⅵ 보건교육의 평가 = 435
1. 평가의 원칙 = 436
2. 평가내용 = 436
제18장 보건행정 = 437
Ⅰ 보건행정의 개념 = 437
Ⅱ 보건행정의 특성 = 438
1. 공공성 및 사회성 = 438
2. 봉사성 = 439
3. 조장성 및 교육성 = 439
Ⅲ 보건행정의 범위 = 439
Ⅳ 보건행정의 원리 = 440
1. 일반행정의 원리 = 440
2. 보건행정의 기술적 원칙 = 446
Ⅴ 우리나라의 보건행정사 = 447
1.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 = 447
2. 고려시대 = 447
3. 조선시대 = 448
4. 일제하 시대 = 448
5. 해방 이후 = 448
6.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 449
Ⅵ 보건복지부 소속기관 = 450
Ⅶ 지방 보건행정조직 = 450
1. 시ㆍ도 보건행정조직 = 450
2. 보건소 = 450
Ⅷ 국제 보건관계 기구 = 453
1. 국제공중보건사무국(International Office of Public Health) = 453
2. 국제연합 부흥행정처(UNRRA) = 453
3. 세계보건기구(WHO) = 453
4. 유엔 국제아동긴급기금(UNICEF) = 455
5. 기타 = 455
제19장 사회보장 및 의료보험 = 457
Ⅰ 사회보장 = 457
1. 개념 = 457
2. 사회보장제도의 발달 = 458
3. 관련 용어 = 458
4. 우리나라의 사회보장제도 = 460
Ⅱ 의료보장 = 460
1. 의료의 특성 = 460
2. 우리나라의 의료보험 = 462
Ⅲ 의료보호 = 470
1. 의료보호 대상자 = 470
2. 진료비 부담방법 및 진료체계 = 471
제20장 보건영양 = 473
Ⅰ 보건영양의 개념 = 473
Ⅱ 영양소 = 474
1. 영양소의 종류 및 작용 = 474
2. 열량소의 작용 = 475
3. 조절소의 작용 = 476
Ⅲ 에너지대사 = 478
1. 열량대사 = 478
2. 기초대사 = 479
3. 식품의 특이동적 작용 = 479
4. 활동(노동)대사 = 480
Ⅳ 영양상태 판정 = 481
1. 형태면에서 보는 방법 = 481
2. 기능면에서 보는 방법 = 482
Ⅴ 영양 개선 = 482
1. 영양 개선의 중요성 = 482
2. 건강한 식생활의 요령 = 483
3. 한국인의 영양권장량 = 483
제21장 성인병 관리 = 487
Ⅰ 개념 = 487
Ⅱ 성인병 관리의 중요성 = 488
1. 주요 사망요인 = 488
2. 노령인구의 증가 = 489
3. 의료비의 증가 = 489
Ⅲ 성인병 각론 = 489
1. 고혈압 = 489
2. 동맥경화 = 492
3. 뇌졸중 = 494
4. 심장질환 = 495
5. 당뇨병 = 496
6. 암 = 497
제22장 사고와 응급처치 = 499
Ⅰ 응급의료전달체계의 현황 = 499
1. 문제의 중요성 = 499
2. 응급의료체계의 기본 구성 = 500
Ⅱ 응급처치 = 501
1. 응급처치의 기본원칙 = 501
2. 응급처치 = 502
참고문헌 = 511
찾아보기 = 51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