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우리춤에 대한 想ㆍ筆ㆍ談 = 13
우리춤에 대한 想ㆍ수필 / 단편글 = 13
민족무용의 현재와 장래 = 14
민족무용을 위한 바른 태도 = 18
나의 제언 = 20
무용은 행동에서 안다 = 24
처용무ㆍ학무 해설 = 31
한국무용의 연혁 = 33
궁중무용의 계승자들 = 36
궁중무, 그 주역들 = ...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5
제1부 우리춤에 대한 想ㆍ筆ㆍ談 = 13
우리춤에 대한 想ㆍ수필 / 단편글 = 13
민족무용의 현재와 장래 = 14
민족무용을 위한 바른 태도 = 18
나의 제언 = 20
무용은 행동에서 안다 = 24
처용무ㆍ학무 해설 = 31
한국무용의 연혁 = 33
궁중무용의 계승자들 = 36
궁중무, 그 주역들 = 41
신무용 이전의 사람들 = 46
한성준 옹을 생각함 = 52
궁중무의 계보 Ⅰ = 58
궁중무의 계보 Ⅱ = 65
가장 잊혀지지 않는 무대 = 71
나의 걸어온 길 = 73
한번 발을 들여놓은 이상 = 80
축사의식으로서의 처용무 = 81
전통무용 재창조의 방법과 문제점 = 86
무용개관 - 정재 = 91
전통무용에 관하여 = 94
지방색채가 두드러진 춤과 노래 = 96
아우 김천홍이 전하는 형님 김천룡 이야기 = 102
궁중무용에 대하여 = 108
나의 무악 70년 = 110
국악을 민족의 학문으로 정립한 성경린 선생 = 115
정재에도 애정을 보이신 금하 하규일 선생 = 118
국립국악원의 초창기 = 120
무용인생 80년 = 123
우리춤에 대한 筆ㆍ학술보고서 / 강연자료 = 127
고전무용법 = 128
오광대놀이 = 139
무용개설 = 146
궁중무 = 152
가면무용 = 159
전통무용 = 166
한국전통무용 = 173
무용 = 178
살푸리와 중국의 건무 = 189
무용교육 제도에 관한 소고(小考) = 197
춘앵전 = 205
궁중무도사를 통한 춘앵전 고찰 = 213
서울 大百年史 - 무용 = 217
처용연구 = 239
한국전통무용사 = 250
궁중아악과 기악ㆍ가무에 대하여 = 315
무형문화재의 공연예술에 대한 문헌화작업의 결실 = 336
『무형문화재 조사보고서』 정오표 = 339
우리춤에 대한 談ㆍ구술 / 인터뷰 / 대답 = 347
흥이 발효(醱酵)해서 멋이 돼 = 348
곰삭아 우러나는 몸짓으로 = 360
그대로 전승시키는 것도 중요해 = 365
이야기 보따리 ① = 370
이야기 보따리 ② = 373
듣고싶었던 얘기 ③ = 376
듣고싶었던 얘기 ④ = 379
듣고싶었던 얘기 ⑤ = 381
듣고싶었던 얘기 ⑥ = 383
듣고싶었던 얘기 ⑦ = 386
11월 문화인물 김창하가 남긴 것 = 390
우리춤과 소리를 직접 몸으로 실천하며, 세기를 완벽하게 살고 있는 산증인 = 409
춤추는 예술혼에 압축된 한 세기 = 426
제2부 궁중무용의 유형별 고찰 (1)~(24) = 431
처용무 = 432
선유락ㆍ무애무ㆍ사선무ㆍ검무 = 441
무고ㆍ동동(아박무)ㆍ향발무ㆍ학무 = 452
수연장ㆍ헌선도ㆍ포구락ㆍ오양선ㆍ연화대ㆍ곡파 = 464
성택ㆍ수명명 = 483
수보록ㆍ근천정 = 498
하황은ㆍ하성명 = 510
금척ㆍ육화대 = 521
봉래의 = 535
문덕곡 = 543
춘앵전 = 553
선유락ㆍ무산향 = 559
경풍도ㆍ고구려무ㆍ만수무 = 565
심향춘ㆍ초무ㆍ첨수무ㆍ가인전목단 = 570
헌천화ㆍ박접무 = 576
보상무ㆍ향령무 = 580
첩승무 = 587
최화무 = 593
제수창 = 600
장생보연지무 = 607
연백복지무 = 618
항장무 = 626
사자무 = 634
망선문 = 644
부록 = 653
김천흥 선생의 예술활동을 돌아보며 / 김영희 = 654
心韶 金千興 先生 年譜略 = 670
心韶 金千興의 家系 = 755
논저목록 = 75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