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서론 / 박경숙
1. 연구의 관점 = 11
1)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 11
2) 빈곤의 복합적 현상과 재생산 = 14
2. 연구 대상과 연구 내용 = 17
제2장 지역과 조사 대상 / 박경숙 ; 이상문 ; 손태홍
1. 경상남도 지역의 분포 = 31
2. 조사지역의 선정 = 34
1) 경상남도 시군의 집락 = 36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서론 / 박경숙
1. 연구의 관점 = 11
1) 절대적 빈곤과 상대적 빈곤 = 11
2) 빈곤의 복합적 현상과 재생산 = 14
2. 연구 대상과 연구 내용 = 17
제2장 지역과 조사 대상 / 박경숙 ; 이상문 ; 손태홍
1. 경상남도 지역의 분포 = 31
2. 조사지역의 선정 = 34
1) 경상남도 시군의 집락 = 36
2) 동/읍/면의 선정 = 40
3) 지역별 조사표본의 배분과 조사대상의 선정 = 46
3. 자료의 수집과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9
제3장 정신 신체적 건강 / 이상문
1. 머리말 = 58
2. 스트레스-고통 (stress-distress) 패러다임 = 60
1) 스트레스 요인들(stressors) = 60
2) 정신/신체 건강 = 62
3) 대처 자원 = 63
4) 스트레스 과정과 빈곤의 재생산 = 64
5) 연구 가정 = 65
3. 측정과 분석 방법 = 67
1) 측정 = 67
(1) 정신 건강 = 67
(2) 행동 건강 = 68
(3) 스트레스 요인들 = 68
(4) 심리적 대처 = 69
(5) 사회적 지원 = 70
(6) 사회 인구학적 변인들 = 70
2) 분석 방법 = 71
4. 결과 = 73
1) 우울감 = 73
2) 불안감 = 75
3) 적대감 = 76
4) 신체 건강 = 77
5) 행동 문제 = 79
5. 맺음말 = 80
제4장 가족가치와 가족관계 / 박경숙
1. 머리말 = 93
2. 가족과 빈곤의 관계에 대한 두 시각 = 94
1) 가족가치 약화 시각에서 본 빈곤 = 94
2) 사회불평등 관점에서 본 가족빈곤 = 97
3) 연구내용 = 99
3. 부부관계와 세대관계 = 101
1) 혼인력과 부부관계 = 101
(1) 혼인력 = 101
(2) 부부간 일과 가족역할의 분담 = 108
2) 저소득층의 세대관계 = 113
(1) 자녀출산 = 113
(2) 육아와 자녀 교육 = 114
(3) 노부모와 성인 자녀의 관계 = 120
4. 맺음말 = 122
제5장 가구소득과 소비생활 / 김진수
1. 머리말 = 129
2. 선행연구 = 130
3. 빈곤가구의 소득 및 자산 = 133
1) 가구총소득 = 133
2) 동등화지수 조정소득 = 139
3) 자산 = 143
4. 빈곤가구의 가계수지 = 146
1) 가계비 = 146
2) 절대빈곤 = 147
3) 가계수지 = 153
4) 소비의 유동성제약 = 157
5. 맺음말 = 163
제6장 빈곤층의 노동시장과 생애노동 / 나금실
1. 머리말 = 168
2. 빈곤층 노동과 사회적 배제 = 169
1) 인적자본과 노동시장 분절 = 169
2) 사회적 배제와 빈곤층의 노동 = 170
3. 빈곤층의 생애노동 = 172
1) 생애 첫 노동경험 = 172
2) 노동시장의 재진입과 이탈 과정 : 구술로 본 생애노동 = 179
3) 현재 일자리의 노동 특성 = 184
4. 빈곤층 노동시장의 형성 = 190
1) 다층적 노동시장 분절 = 190
2) 노동시장으로의 진입과 이탈의 반복 = 192
3) 연결망의 결핍 = 193
5. 맺음말 = 197
제7장 근린환경과 사회관계 / 김남줄
1. 머리말 = 201
2. 빈곤층의 근린환경과 사회관계에 대한 이론적 검토 = 202
1) 빈곤문화론에서의 근린환경과 사회관계 = 202
2) 사회적 배제이론에서의 근린환경과 사회관계 = 204
3) 연구 가정 = 206
3. 주요 변수의 측정 = 206
1) 빈곤층의 근린환경과 사회관계 = 206
2) 사회적 배제의 제 차원 = 207
4. 분석 결과 = 207
1) 빈곤층의 근린환경과 사회관계 = 207
2) 근린환경 및 사회관계와 사회적 배제 = 213
(1) 근린환경과 사회관계 = 213
(2) 근린환경 및 사회관계와 경제적 결핍 = 215
3) 근린환경 및 사회관계와 인적 능력의 결핍 차원 = 217
5. 맺음말 = 222
제8장 사회복지제도에의 접근성 / 김수영 ; 최희경
1. 머리말 = 226
2. 선행연구 검토 = 227
1) 소득보장 = 228
(1) 빈곤층에 대한 소득보장 적용실태 = 228
(2) 국민기초생활보제도 급여수준과 적용문제 = 230
(3) 자활사업 = 234
2) 의료보장 = 235
3) 사회적 서비스 = 236
(1) 저소득층 복지욕구 = 237
(2) 복지시설과 서비스에 있어 지역적 격차 = 238
(3) 시설현황 및 이용 상의 문제 = 238
3. 분석 결과 = 239
1) 지역별, 수급대상자의 분포와 소득 = 240
2) 소득보장 = 243
3) 의료보장 = 255
4) 지역사회복지시설 및 서비스 = 257
4. 요약 및 결론 = 269
제9장 사회불평등의식의 양면성 /손태홍
1. 머리말 = 274
2. 이론적 배경 = 277
1) 형평성의 원리(Equity Principle)와 사회계층제도에 대한 정당성(Legitimation) 과정 = 277
2) 분절의식이론과 사회불평등에 대한 정당성의 수용 = 282
3) 구직생활기회와 사회불평등의식: 제한된 생활기회로서의 구직생활기회 = 286
3. 주요변인의 측정 = 289
1) 사회불평등의식 = 289
2) 구직생활기회와 관련된 변인들 = 289
4. 사회불평등의식의 결정 요인 = 292
5. 맺음말 = 298
제10장 정치의식 / 박병철
1. 머리말 = 302
2. 정치의식과 빈곤의 제 차원 = 304
3. 빈곤층의 정치의식 = 310
1) 정치의식의 일반적 특성 = 310
2) 빈곤층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별 정치의식 = 314
3) 빈곤의 제 차원과 정치의식 = 317
4. 맺음말 = 321
찾아보기 = 32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