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단계 이규호 교수 약력 / ⅴ
주요 저서 목록 / ⅶ
발간사 / ⅸ
제1권 편집자 서문 / ⅹⅲ
증보판을 내면서 / 3
머리말 / 5
I. 현대물리학과 철학 / 11
1. 현대물리학에 대한 철학의관심 / 11
2. 자연관의 변천 / 14
3. '원자' 개념에 대해서 / 15
4. 유물론의 위기 / 17
5. 인간의 위치 / 19
6. 상대성이론의 의의...
목차 전체
단계 이규호 교수 약력 / ⅴ
주요 저서 목록 / ⅶ
발간사 / ⅸ
제1권 편집자 서문 / ⅹⅲ
증보판을 내면서 / 3
머리말 / 5
I. 현대물리학과 철학 / 11
1. 현대물리학에 대한 철학의관심 / 11
2. 자연관의 변천 / 14
3. '원자' 개념에 대해서 / 15
4. 유물론의 위기 / 17
5. 인간의 위치 / 19
6. 상대성이론의 의의 / 20
7. 결정론의 동요 / 22
8. 현대철학의 성격 / 23
II. 변증법적 철학 / 29
1. 변증법적 철학의 역사 / 30
2. 변증법적 철학의 본질 / 81
III. 삶의 철학 / 105
1. 삶의 철학의 개요 / 105
2. 삶의 철학의 본질 / 112
3. 삶의 철학의 방법론 / 113
4. 선험철학과의 관계 / 120
5. 경험주의와의 관계 / 122
6. 기본개념'삶' / 125
7. 삶의 시간 / 132
8. 삶의 자기형식 / 136
9. 이성의 미흡 / 144
10. 진리의 기준 / 152
11. 삶의 상승과 예술 / 155
12. 삶의 윤리 / 160
IV. 현상학 / 167
1. 현상학의 의미 / 167
2. 현상학의 방법 / 172
3. 기본개념 '지향성' / 180
4. 의식의 철학과 '삶' / 188
5. 현상학적 시간 / 192
6. 진리와 존재 / 194
7. 존재의 구성 / 199
8. 현상학적인 세계 / 203
9. 상호주관성과 객관적 세계 / 206
10. 막스 셸러의 현상학 / 211
V. 실존철학 / 221
1. 삶과 실존 / 221
2. 키에르케고르의 실존 / 227
3. 야스퍼스의 실존 해명 / 239
4. 하이데거의 실존 분석 / 245
5. 실존의 본래성과 비본래성 / 256
6. 실존과 세계 / 260
7. 실존과 죽음 / 265
8. 실존과 시간 / 270
9. 실존철학의 극복 / 276
VI. 철학적 인간학 / 283
1.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신비 / 283
2. 철학적 인간학의 역사 / 291
3.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 / 298
4. 신학적 인간관 / 304
5. 역사적 존재로서의 인간 / 311
6. 막스 셸러의 인간학 / 318
7. 카시러의 상징적 인간학 / 322
8. 란트만의 문화적 인간학 / 326
9. 볼르노의 '새로운 인정' / 333
VII. 해석학과 언어철학 / 339
1. 해석학의 의미 / 340
2. 현대철학의 진리관 / 343
3. 슐라이어마허의 해석학 / 347
4. 딜타이의 삶의 해석학 / 352
5. 하이데거의 실존의 해석학 / 365
6. 해석학의 본질 / 376
7. 언어의 철학적 의미 / 377
8. 언어와사유의 현실 / 381
9. 언어와 이해 / 388
VIII. 사회철학(1) / 393
비판이론의 방법론
1. 비판이론의 개념 / 393
2. 비판이론의 과제와 목표 / 394
3. 비판이론의 통일성 / 397
4. 비판이론의 방법론 / 403
5. 비판이론의 학문적 성격 / 416
IX. 사회철학(2) / 425
비판이론의 교육철학
1. 비판이론의 교육개념 / 425
2. 도야의 이념과 비판이론 / 429
3. 인간교육의 사회적 조건 / 433
4. 프로이드이론과 교육 / 437
5. 비판이론의 상대주의 / 440
Bibliography / 445
인명 찾아보기 / 451
개념 찾아보기 / 455
제2권 편집자 서문 / ⅴ
제1부 앎과 삶
- 해석학적 지식론 -
머리말 / 3
1. 지식과 행동 / 6
2. 인식론의 운명 / 11
3. 기점의 모색 / 16
4. 인간과 지식 / 24
5. 앎의 순환성 / 33
6. 앎의 기반, 삶 / 40
7. 행동의 우위성 / 47
8. '전이해'의 분석 / 56
9. 의견과 지식 / 66
10. 반성과 비판 / 76
11. 감성적 지각 / 84
12. 과학적 지식 / 95
13. 과학주의의 미신 / 107
14. 가설과 전이해 / 118
15. 일차원적 지식 / 127
16. 인식과 존재 / 133
17. 가치중립성 / 144
18. 언어와 인식 / 155
19. 사실과 경험 / 168
20. 진리의 문제 / 178
bibliography / 189
제2부 대화의 철학
서문 / 193
제1장 지식사회학과 대화: 범주적 명령과 범주적 대화 / 201
1. 대화의 윤리적 의미 / 201
2. 이성에 대한 비판 / 204
3. 현대화와 도구화 / 211
4. 과학과 과학주의 / 218
5. 전인적인 인식 / 223
6. 합리화의 꿈과 정조 / 233
7. 왜 대화인가? / 238
8. 진리의 길, 대화 / 241
9. 대화의 본질과 윤리 / 251
제2장 철학의 길로서의 현상학: 상호 주관성과 진리 / 257
1. 현상학의 의미 / 257
2. 브렌타노, 의식의 지향성 / 265
3. 후설, 현상학의 창시자 / 270
4. 하이데거의 기초적 존재론 / 275
5. 사르트르의 현상학적 존재론 / 282
6. 메를로 - 퐁티의 신체의 현상학 / 288
7. 현상학과 현상학적 미학 / 293
8. 현상학과 역사적 이성 / 299
9. 현상학의 철학적 특성 / 307
제3장 철학으로서의 해석학: 역사와 그 해석 / 313
1. 고대로부터의 특수해석학 / 313
2. 일반해석학의 성립 / 320
3. 정신과학의 방법론으로서의 해석학 / 326
4. 실존철학적 해석학의 시도 / 332
5. 현대철학으로서의 해석학 / 339
6. 해석학적 로고스학의 출발 / 345
7. 철학으로서의 해석학의 특징 / 352
제4장 포스트모던과 말놀이: 소크라테스의 이로니 / 365
1. 세기초의 전망 / 365
2. 지구촌과 상징화 현상 / 371
3. 사실과 진리의 소멸 / 377
4. 허무주의의 유희 / 382
5. 포스트모던의 정체 / 387
6. 언설의 유희화와 탈구축 / 392
7. 데리다, 차이의 철학 / 397
8. 포스트모던과 소피스트 / 404
9. 소크라테스의 아로니와 대화 / 412
참고문헌 / 419
인명찾아보기 / 421
개념찾아보기 / 425
제3권 편집자 서문 ⅴ
제1부 말의 힘
머리말 / 3
제1장 / 9
1. 문제의 성격 / 9
2. 다루는 방법 / 19
3. 이야기의 현상 / 28
4. 말의 의미 / 37
5. 말과 기호 / 46
6. 말의 심리현상 / 56
7. 말과 생각 / 68
8. 말과 얼 / 76
9. 우리말의 논리 / 84
10. 말과 삶 / 94
11. 말과 사람됨 / 103
12. 말의 변질 / 114
13. 말과 교육 / 124
14. 말과 철학 / 135
제2부 거짓말 참말 그리고 침묵
프롤로그 / 145
제1장 / 151
1. 말놀이 / 151
2. 기호론 / 157
3. 중간세계로서의 언어 / 162
4. 메타포와 비유 / 168
5. 언어의 틈새론 / 173
6. 거짓말 / 178
7. 참말을 위해서 / 183
8. 침묵의 순간 / 188
제2장 / 191
1. 포스트모던의 말놀이 / 191
2. 말의 공해와 푸른 말 / 201
3. 말과 허무주의 / 212
4. 언어철학과 인문학 / 217
5. 가정의 윤리와 언어 / 231
Bibliography / 237
인명 찾아보기 / 239
개념 찾아보기 / 241
제4권 편집자 서문 / ⅴ
제1부 사람됨의 뜻
머리말 / 3
증보판에 붙이는 말 / 5
1. 문제의 성격 / 7
2. 문제의 뜻 / 15
3. 사람의 이성 / 21
4. 이성의 몰락 / 34
5. 이성의 회복 / 45
6. 생물학적 특징 / 59
7. 사람됨의 자유 / 73
8. 얼과 사람됨 / 86
9. 동일성과 믿음성 / 98
10. 만남과 사람됨 / 115
11. 사회적 존재로서의 인간 / 129
12. 사회화로서의 사람됨 / 138
13. 기술사회와 인간조종 / 147
14. 성숙한 이성의 실현 / 156
philosophy as a study of man / 169
bibliography / 173
제2부 인간의 사회화와 사회의 인간화
머리말 / 177
1. 인간교육의 개념과 이데올로기 비판 / 179
2. 교육에 있어서의 사회화의 문제 / 193
3. 인간의 사회화와 사회의 인간화 / 209
4. 통일에 대비하는 교육의 화제 / 240
5. 마르크스주의적 교육과 그 교육학의 동향 / 257
6. 우리 교육의 자율성의 문제 / 271
7. 교육의 사회적 기능과 정치교육 / 285
8. 비판적 사회의식을 위한 정치교육 / 299
9. 우리 교육이 지향할 인간상 / 315
10. 자본주의와 공산주의는 접근하는가 / 341
인명 찾아보기 / 359
개념 찾아보기 / 361
제 5권 편집자 서문 / ⅴ
서문 / 3
개정판 서문 / 7
제1부 삶의 철학과 교육
- 삶의 철학을 통한 교육현상의 이해 -
제1장 삶과 교육 / 11
1. 삶의 철학 / 11
2. 삶의 개념 / 18
3. 인간에 대한 이해 / 26
4. 교육의 기능 / 31
5. 무의식적 교육 / 36
6. 문화의 전승 / 41
7. 인간교육의 문제 / 47
8. 개성의 개념 / 52
9. 문화교육학의 이론 / 57
10. 도야의 이념의 비판 / 61
11. 교육의 4차원 / 66
12. 교육의 자율성 / 78
제2부 실존철학과 교육
- 교육현상에 대한 실존철학적 관찰 -
제2장 실존과 교육 / 89
1. 실존철학의 발단 / 89
2. 실존의 개념 / 93
3. 키에르케고르 / 95
4. 실존의 본래성과 비본래성 / 101
5. 교육철학적 출발점으로서의 실존철학 / 105
6. 교육학적 개념으로서의 위기 / 111
7. 교육학적 개념으로서의 각성 / 119
8. 충고의 교육학의 의의 / 124
9. 상담의 교육적 기능 / 132
10. 만남의 개념 / 136
11. 정신적 세계 안에서의 만남 / 144
12. 교육학적 문제로서의 만남 / 155
13. 교육의 모험적 성격 / 165
제3부 인간학과 교육
- 교육인간학을 위한 시도 -
제3장 인간과 교육 / 173
1. 철학적 인간학의 동향 / 173
2. 경험과학들과 인간학 / 180
3. 경험과학의 인간학적 경향 / 186
4. 교육학과 인간학 / 191
5. 교육인간학의 배경 / 196
6. 교육인간학의 성립 / 201
7. 심리학에 대한 비판 / 206
8. 심리학의 인간관 / 211
9. 심리학의 인간학적 모델 / 217
10. 인간의 생물학적인 특징 / 224
11. 문화와 인간의 관계 / 230
12. 문화와 교육 / 237
13. 인간성의 첫 조건 / 243
제4부 언어철학과 교육
- 현대 언어철학의 교육적 의의 -
제4장 언어와 교육 / 251
1. 언어철학의 영향 / 251
2. 교육과 언어 / 257
3. 대화의 의미 / 262
4. 대화의 교육적 의미 / 266
5. 언어의 본질 / 271
6. 말의 의미 / 279
7. 중간세계로서의 언어 / 285
8. 생활과 언어 / 292
9. 교육적 언어 / 297
10. 말과 결단 / 301
11. 언어의 위험 / 306
12. 인간형성과 언어 / 311
13. 인격과 말 / 316
14. 국민교육과 우리말 / 321
제5부 사회철학과 교육
제5장 사회철학과 교육 / 329
1. 교육에 있어서의 사회화의 문제 / 329
2. 인간교육의 개념과 이데올로기의 비판 / 345
3. 인간해방을 위한 교육 / 359
참고문헌 / 377
인명 찾아보기 / 379
개념 찾아보기 / 385
제6권 편집자 서문 / ⅴ
머리말 / 3
제1장 이데올로기의 개념과 그 양가성 / 9
1. 이데올로기의 의미 / 9
2. 이데올로기의 역사 / 13
3. 만하임의 이데올로기론 / 18
4. 이데올로기 비판의 역사 / 24
5. "구실"과 "신화"로서의 이데올로기 / 29
6. 현대의 탈이데올로기 논의 / 33
7. 이데올로기의 보호기능 / 38
제2장 이데올로기와 실천적 진리 / 45
1. 이데올로기와 진리 / 45
2. 진리의 양면성 / 50
3. 철학의 전통적 진리관 / 56
4. 마르크스의 진리관 / 61
5. 니체의 진리관 / 66
6. 이데올로기의 진리비판 / 71
7. 자유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 77
8. 보수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 83
9.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데올로기 비판 / 88
10. 이데올로기와 정치적 사유 / 96
제3장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간학적 성찰 / 101
1. 넓은 의미에서의 이데올로기 개념 / 101
2. 넓은 의미에서의 이데올로기의 역사 / 108
3. 이데올로기의 통합기능 / 115
4. 이데올로기의 세계해석 기능 / 121
5. 이데올로기의 행동조종 기능 / 127
6. 이데올로기에 대한 두가지 태도 유형 / 133
7. 이데올로기에 대한 형태론적 관찰 / 139
8. 인간의 삶과 이데올로기의 필수성 / 147
제4장 마르크스·레닌주의 이데올로기의 비판 / 155
1. 마르크스의 인간소외론 / 155
2.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 / 162
3. 마르크스의 경제이론 / 167
4. 마르크스의 인간소외론 비판 / 173
5. 마르크스의 역사적 유물론 비판 / 178
6. 마르크스의 경제이론 비판 / 183
7. 레닌의 제국주의 이론 / 189
8. 레닌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 194
9. 레닌의 제국주의 이론 비판 / 202
10. 레닌의 프롤레타리아 독재론 비판 / 205
제5장 자유주의 이데올로기의 운명 / 215
1. 자유주의와 자유의 문제 / 215
2. 자유의 개념과 다원성 및 복합성 / 219
3. 철학과 종교의 자유의 개념 / 223
4. 고대와 중세의 자유의 개념 / 227
5. 근세의 자유의 개념 / 232
6. 현대산업사회에 있어서의 자유 / 239
7.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있어서의 자유 / 244
8. 이데올로기와 자유의 형태 / 250
9. 산업사회에 있어서의 자유의 위기 / 255
10. 자유주의의 극복 / 262
제6장 제3세계의 이데올로기적 고투 / 271
1. 이데올로기와 제3세계의 등장 / 271
2. 제3세계와 빈곤의 문제 / 278
3. 제3세계의 발전의 특수성 / 283
4. 제3세계의 역사와 식민주의 / 288
5. 제3세계의 정치과열 / 293
6. 제3세계의 정치체제의 정당성 / 301
7. 제3세계의 정치체제의 효율성 / 308
8. 제3세계에 있어서의 사회의 계층화 / 313
9. 제3세계와 경제적 자주성 / 320
제7장 제3세계의 신민족주의의 의의 / 327
1. 신민족주의의 대두 / 327
2. 제3세계의 민족주의 / 334
3. 민족의 개념과 그 의미 / 340
4.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특수성 / 347
5. 제3세계의 민족주의 논쟁 / 353
6. 민족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 / 360
7. 신민족주의의 현황 / 367
8. 신민족주의의 장래 / 372
참고문헌 / 381
인명 찾아보기 / 385
개념 찾아보기 / 389
제 7권 편집자 서문 ⅴ
제1부 교육과 정치
머리말 / 3
개정판 서문 / 5
1. 정치적 과제로서의 교육개혁 / 11
2. 교육의 사회화의 의미 / 17
3. 교육의 화학화의 의미 / 25
4. 교육의 자율성의 한계 / 33
5. 교육투자와 경제발전 / 41
6. 교육연구의 의의와 기능 / 49
7. 과학과 정치와 공중 / 57
8. 국민 정치교육의 문제 / 67
9. 교육행정의 합리화 /79
10. 자유세계의 동향 / 87
11. 공산세계의 동향 / 105
12. 인접세계의 동향 / 115
13. 우리 교육의 미래전망 / 125
14. 새천년을 위한 교육의 성격 / 153
제2부 민족적 정체성을 위한 투쟁
- 제3세계에 있어서 -
머리말 / 181
서장 새마을운동의 정치철학 / 183
제1장 제3세계의 민족적 정체성 / 209
제2장 이데올로기의 정체 / 319
제3장 한국교육의 과제와 전망 / 381
인명 찾아보기 / 427
개념 찾아보기 / 429
제8권 편집자 서문 / ⅴ
머리말 / 3
제1장 사회화의 교육 / 7
1. 인간의 사회성 / 7
2. 생물학의 증언 / 16
3. 사회화의 개념 / 25
제2장 사회환경과 집단 / 35
1. 사회환경과 구조 / 35
2. 사회집단의 종류 / 43
3. 집단의 결합 동기 / 52
제3장 대인적 영역 / 63
1. 호상행동의 개념 / 63
2. 호상이해의 방식 / 70
3. 호상관계의 양태 / 81
제4장 문화적 환경 / 91
1. 규범의 기능 / 91
2. 집단과 사회화 / 99
3. 사회풍조와 사회화 / 109
제5장 사회적 구조 / 119
1. 집단과 역할 / 119
2. 역할의 성격 / 127
3. 인간과 역할 / 132
제6장 사회화에 대한 이론 / 145
1. 정신분석의 이론 / 145
2. 발달심리학의 이론 / 145
3. 사회언론학의 이론 / 159
4. 호상행동주의의 이론 / 164
5. 역할개념의 이론 / 170
제7장 사회변동과 인간 / 177
1. 사회의 변동 / 177
2. 사회성과 개성 / 183
3. 주체성의 문제 / 190
제8장 주체성과 호상행동 / 199
1. 주체성의 의미 / 199
2. 호상행동에의 참여 / 208
3. 주체성과 균형 / 217
제9장 주체성과 역할 / 225
1. 역할개념에 대한 이해 / 225
2. 역할을 위한 주체성 / 234
제10장 주체성의 형성 / 243
1. 역할과의 거리 / 243
2. 대역과 동조 / 251
3. 이견 관용 / 258
4. 자아표현 / 266
제11장 사회화와 학교교육 / 271
1. 문제와 개념 / 271
2. 가정과 교육 / 277
3. 환경의 격차 / 285
4. 교육에의 제언 / 291
참고문헌 / 297
인명 찾아보기 / 327
개념 찾아보기 / 329
제 9권 편집자 서문 / ⅴ
제1부 내가 가는 무명의 도
머리말 / 3
제1장 양면성의 극복 / 5
제2장 해방의 체험 / 15
제3장 역설의 소화 / 25
제4장 전통의 복권 / 35
제5장 고향을 찾아서 / 45
제6장 좌익과 우익의 사이에서 / 55
제7장 삶의 위기와 초월 / 65
제8장 수련과 철학과 종교 / 75
제9장 절과 향교와 교회 / 85
제10장 걸림돌로서의 기적 / 97
제11장 6·25전쟁의 회상 / 107
제12장 천리 길의 행진 / 115
제13장 죽음과 삶의 사이길 / 125
제14장 인간다운, 너무나도 인간다운 / 135
제15장 철학의 길을 찾아서 / 147
제16장 길 없는 광야의 길잡이들 / 155
제17장 민주주의와 도덕의 수준 / 163
제18장 튀빙겐의 동쪽 하늘 / 177
제2부 만약 인생이 싸움이라면 용기를 가져라
서 문 / 189
제1장 지나칠 수 없는 중용의 원리 / 197
제2장 소인은 한가할 때 악한 일을 꾸민다 / 205
제3장 그대는 여론에 밀려 당나귀를 메고 간 부자가 될 것인가 / 217
제4장 지능범죄, 지혜로운 처신, 참 인격 / 225
제5장 겸손은 우리가 잊어버린 영혼의 향기 / 237
제6장 세 번의 거짓말, 그 무서운 파괴력 / 247
제7장 신뢰는 인격의 동일성을 창조한다 / 257
제8장 서로 어울려서 살아갈 수 밖에 없는 인간 존재 / 267
제9장 방종 아닌 자유, 균등 아닌 평등의 의미 / 277
제10장 정의가 무엇이냐, 현대인의 책임 / 287
제3부 도의 말을 찾아서
머리말 / 301
제1장 타향에서의 친구들 / 303
제2장 스승과 조교와 제자 / 313
제3장 관념체계와 기초작업 / 323
제4장 끝나는 날과 시작하는 날 / 333
제5장 동아시아의 신 문화권 / 343
제6장 삶의 보금자리, 가정 / 353
제7장 인생, 죽음과 친구 / 363
제8장 사람됨과 대장부 / 373
제9장 이상향을 위한 정치 / 383
제10장 교육철학으로서의 유교 / 393
제11장 자연 인생 그리고 평화 / 403
제12장 중국에 대한 한국의 착각 / 413
제13장 가까운 미래의 세계 / 421
제14장 고독과 우수의 의미 / 431
제15장 사실 진실 비밀 / 441
제16장 걸림돌을 넘어서 / 449
제17장 추사의 세한도 / 457
제18장 국파 산하재 / 463
단계 이규호 저술 목록 / 469
인명 찾아보기 / 503
개념 찾아보기 / 50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