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1. 모래알 하나에서 세상을, 순간에서 영원을
(1) 오거스턴 에토스 = 1
(2) 이성에서 창조의 신비로: 콜린스의 「저녁송」의 경우 = 7
(3) 낭만적 상상력 = 13
(4) 순수와 절대를 향한 갈망 = 23
(5) 프랑스혁명과 영국 낭만주의 = 27
2. 감성시인의 출현: 그레이와 콜린스
(1) 이성에서 감성으로 = 35...
목차 전체
책머리에
1. 모래알 하나에서 세상을, 순간에서 영원을
(1) 오거스턴 에토스 = 1
(2) 이성에서 창조의 신비로: 콜린스의 「저녁송」의 경우 = 7
(3) 낭만적 상상력 = 13
(4) 순수와 절대를 향한 갈망 = 23
(5) 프랑스혁명과 영국 낭만주의 = 27
2. 감성시인의 출현: 그레이와 콜린스
(1) 이성에서 감성으로 = 35
(2) 그레이의 시골 묘역에서 쓴 비가 = 36
(3) 콜린스의 시인송 = 44
3. 순수와 경험의 변증법 : 블레이크의 『순수의 노래와 경험의 노래』
(1) 블레이크의 신비적 성향과 영국의 사회변동 = 49
(2) 순수의 세계에서 경험의 세계로: 「성 목요일」의 경우 = 51
(3) 타락한 세계의 실상 : 「아! 해바라기여」 와 「런던」= 59
(4) 한층 더 견실한 순수를 향하여 = 65
4. 상상력의 작은 역사 : 워즈워스의 틴턴 수도원
(1) 범신록적 자연주의 = 69
(2) 교감의 순간들 = 75
(3) 심리적 진실의 한계 = 87
5. 창조적 인식과 생명의 통합 : 콜리지의 늙은 뱃사람의 노래
(1) 자수정 샨델리아 = 91
(2) 공상과 상상력 = 92
(3) 창조적 인식과 "한 생명" = 99
(4) 우주의 신비 = 109
6. 바이런적 영웅과 돈 쥬안의 희극성
(1) 바이런적 영웅 = 111
(2) 쥬안, 눈물바다의 선상에서 = 114
(3) 익살희극으로서의 돈 쥬안 = 124
7. 신화창조의 깊은 진실: 셸리의 「서풍의 송시」
(1) 급진적 개혁주의자 = 127
(2) '피털루 대학살'과 1918년 영국 = 130
(3) '나-그대'의 관계 = 134
(4) 서풍의 신격화 = 138
(5) 정신계의 입법자 = 150
8. 키츠의 부정미학과 가을에게
(1) 시인과 몽상가 = 155
(2) "아담의 꿈" = 158
(3) 자기부정과 "희열의 체온계" = 161
(4) 공감적 상상력의 발현: 가을에게 = 169
chronology = 178
select bibliography = 182
verse and prose quoted = 189
Supplementary Reading = 19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