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옮긴이의 글 = 9
제1장 지구 규모의 해수 유동
1.1 지구 표면에 있는 수막-해양 = 17
1.2 표층 해수의 대규모 이동 = 18
1.2.1 표층 해류의 양상과 그 구조 = 18
1.2.2 표류 부표의 추적으로부터 본 해류 = 24
1.3 3차원적으로 본 해수의 특징 = 29
1.3.1 수온분포의 특징 = 29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옮긴이의 글 = 9
제1장 지구 규모의 해수 유동
1.1 지구 표면에 있는 수막-해양 = 17
1.2 표층 해수의 대규모 이동 = 18
1.2.1 표층 해류의 양상과 그 구조 = 18
1.2.2 표류 부표의 추적으로부터 본 해류 = 24
1.3 3차원적으로 본 해수의 특징 = 29
1.3.1 수온분포의 특징 = 29
1.3.2 중규모 와류 = 31
1.3.3 대양의 남북 단면의 특징 = 34
1.4 해양으로부터 출입하는 열과 물 = 38
1.4.1 열염분순환 = 38
1.4.2 해면을 통한 열의 출입 = 38
1.4.3 해양의 남북방향으로의 열수송 = 40
1.4.4 해양의 물수지 = 43
1.5 지구를 둘러싼 해수의 3차원적 유동 = 44
1.5.1 심층수의 형성 = 44
1.5.2 심층수의 유동경로 = 50
1.5.3 북대서양 심층수를 매개로 한 대양간의 해수교환 = 53
1.6 지구규모의 해양 변동 = 57
1.6.1 변화, 변동, 이상 = 57
1.6.2 엘니뇨에 따른 서부열대 태평양의 해류변화 = 58
1.7 보충 = 62
참고문헌 = 63
제2장 물의 순환과 물질수송
2.1 지구상에서의 물의 분포와 순환 = 66
2.1.1 물의 존재량 = 66
2.1.2 물의 흐름 = 67
2.2 하천유량 = 73
2.3 하천의 현탁물 조성과 수송량 = 77
2.3.1 현탁물 수송량 = 77
2.3.2 현탁물의 광물조성 = 82
2.3.3 현탁물의 화학조성 = 84
2.4 하천의 용존화학조성 = 87
2.4.1 주요원소 = 87
2.4.2 미량원소 = 90
2.4.3 질소의 수지 = 91
2.4.4 인의 수지 = 94
2.4.5 유기물 = 97
2.4.6 하천의 유형 = 99
2.5 물에 의한 육지의 침식 = 102
2.6 해수의 화학조성과 원소의 거동 = 104
2.6.1 해양에서 원소의 거동 = 104
2.5.2 원소의 체류시간 = 104
2.5.3 질소와 인의 분포 = 113
2.5.4 미량원소의 분포 = 117
2.6.5 질소의 수지 = 120
2.6.6 인의 수지 = 124
2.7 인간 활동이 자연계에 미치는 문제점 = 127
참고문헌 = 133
제3장 해양환경과 생물활동
3.1 해양의 생태계와 환경 = 136
3.1.1 1차 생산자 : 식물플랑크톤 = 136
3.1.2 식물플랑크톤이 많은 바다와 적은 바다 = 138
3.1.3 해양구조와 영양염분포 = 139
3.1.4 해역에 따른 생태계의 특징과 생산성 = 144
3.2 인류의 활동과 해양환경 = 149
3.2.1 해역의 부영양화 = 149
3.2.2 지구 온난화와 해양의 생태계 = 151
참고문헌 = 153
제4장 지구규모로 본 어장환경과 그 변동
4.1 21세기를 향해서 = 154
4.2 어장환경과 자원환경 = 155
4.2.1 어장형성과 환경조건 = 155
4.2.2 발생초기의 생잔과 환경조건 = 156
4.2.3 부어류의 회유와 어장 = 157
4.3 대규모적인 어해황 변동 = 159
4.3.1 엘니뇨 현상 = 159
4.3.2 앤초비의 어획량 변동 = 163
4.4 수산자원의 장기변동과 어종교체 = 164
4.4.1 부어류 어획량의 장기변동 = 164
4.4.2 어종교체 = 167
4.4.3 러셀 사이클 = 168
4.4.4 수산자원 변동의 요인 = 169
4.5 세계적인 이상기상에 따른 어해황변동 = 169
4.5.1 1963년 1월의 이상기상과 이상냉수 = 169
4.5.2 이상냉수가 수산생물에 미치는 영향 = 171
4.6 수온의 장기변동 실태와 그 요인 = 171
4.6.1 관측법의 차이와 자료의 비교 = 172
4.6.2 광역에서의 수온의 장기변동 실태 = 173
4.6.3 특정해역에 있어서 해양변동의 실태 = 180
4.7 지구온난화 = 183
4.8 전망 = 187
참고문헌 = 192
제5장 지구적 규모의 해양오염
5.1 환경오염물질로서의 유기염소계 화합물 = 198
5.2 DDT, HCH, PCB의 물리화학적 특성 = 201
5.3 마슈코에 있어서의 HCH = 203
5.4 외양대기 및 표층해수 중 DDT와 HCH의 지구규모적 분포 = 206
5.5 지구상에 있어서 PCB의 분포 = 221
5.6 해양에 있어서 유기염소계화합물의 생물농축 = 212
5.7 앞으로의 과제 = 214
참고문헌 = 216
제6장 해저의 지학
6.1 해저의 지형 = 219
6.2 해저의 퇴적물 = 224
6.2.1 해저퇴적물의 분포 = 224
6.2.2 해저퇴적물 중의 점토광물 = 229
6.2.3 고환경지표로서의 점토광물 = 237
6.3 해저의 광물자원 = 244
6.3.1 망간단괴 = 245
6.3.2 홍해의 해저열수광상 = 248
6.4 해저지학으로의 유혹 = 251
참고문헌 = 252
제7장 지구규모의 해양관측
7.1 지구의 바다 = 254
7.1.1 지구는 물의 행성 = 254
7.1.2 지구에 있어서의 해양 = 255
7.2 지구환경의 대규모변동과 해양 = 257
7.2.1 해양대순환 = 257
7.2.2 엘니뇨 = 261
7.2.3 기후변동 = 263
7.3 해양의 관측 = 266
7.3.1 선에 따른 관측으로부터 면상의 관측으로 = 266
7.3.2 시·공간 변화의 과정을 추구하는 관측으로 = 269
7.3.3 배에 의하지 않은 관측으로 = 271
7.4 우주로부터의 해표면 관측 = 279
7.4.1 인공위성에 의한 리모트센싱 = 279
7.4.2 바다색의 리모트센싱 = 284
7.4.3 해면수온의 리모트센싱 = 288
7.4.4 해면고도의 리모트센싱 = 291
7.4.5 해상풍의 리모트센싱 = 295
찾아보기 = 30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