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서론
Ⅰ. 해부학의 분류 = 1
1. 육안해부학 = 1
2. 조직학 혹은 미세해부학 = 2
3. 발생학 = 2
4. 신경해부학 = 2
Ⅱ. 평면과 단면 = 2
1. 정중면 = 2
2. 시상면 = 2
3. 관상면 혹은 전두면 = 2
4. 수평면과 횡면 = 2
5. 단면 = 3
Ⅲ. 위치와 방향 = 4
1....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서론
Ⅰ. 해부학의 분류 = 1
1. 육안해부학 = 1
2. 조직학 혹은 미세해부학 = 2
3. 발생학 = 2
4. 신경해부학 = 2
Ⅱ. 평면과 단면 = 2
1. 정중면 = 2
2. 시상면 = 2
3. 관상면 혹은 전두면 = 2
4. 수평면과 횡면 = 2
5. 단면 = 3
Ⅲ. 위치와 방향 = 4
1. 내측과 외측 = 4
2. 전측과 후측 = 4
3. 상측과 하측 = 5
4. 근위와 원위 = 5
5. 내와 외 = 5
6. 중간, 정중 및 중 = 5
7. 천과 심 = 5
8. 함입과 맹출 = 5
Ⅳ. 체강 = 5
1. 복측체강 = 5
2. 배측체강 = 6
Ⅴ. 인체의 구성 성분 = 6
1. 화학 성분 = 6
2. 구조 성분 = 7
Ⅵ. 신체의 구역 = 9
Ⅶ. 약자 = 9
Ⅷ. 해부학의 역사 = 9
제2장 세포 및 조직
Ⅰ. 세포의 구조 = 11
1. 세포질 = 11
2. 핵 = 15
3. 세포사이연접 = 17
Ⅱ. 세포분열 = 18
1. 간기 = 18
2. 분열기 = 18
Ⅲ. 조직 = 21
1. 상피조직 = 21
2. 결합조직 = 24
제3장 골격 및 관절계통
Ⅰ. 골학총론 = 27
1. 골격의 기능 = 27
2. 뼈의 분류 = 27
3. 뼈의 육안적 형태 = 29
4. 뼈를 덮는 막 = 30
5. 뼈의 미세구조 = 30
6. 뼈의 구성 성분과 물리적 특성 = 31
7. 뼈의 발생 및 성장 = 33
8. 골수 = 33
9. 뼈의 영양혈관 = 34
10. 골절 및 치유 = 35
11. 연골 = 35
Ⅱ. 골학각론 = 36
1. 두개골 = 36
2. 하악골 = 46
3. 설골 = 47
4. 척주 = 47
5. 골성흉곽 = 51
6. 상지골 = 53
7. 하지골 = 57
Ⅲ. 관절학총론 = 62
1. 섬유성 연결 = 63
2. 연골성 연결 = 63
3. 윤활막성 연결 = 64
Ⅳ. 관절학각론 = 66
1. 중축성 골격의 관절 = 67
2. 상지의 관절 = 70
3. 하지의 관절 = 71
제4장 근육계통
Ⅰ. 근육학 총론 = 73
1. 근육의 분류 = 73
2. 골격근의 일반적인 구조 = 74
3. 골격근섬유의 미세구조 = 74
4. 근육의 수축기전 = 76
5. 근육의 부착 = 77
6. 모양에 따른 근육의 분류 = 77
7. 작용에 따른 근육의 분류 = 79
8. 근육 이름의 명명법 = 79
9. 근육의 신경 분포 = 80
Ⅱ. 근육학 각론 = 80
1. 안면근 = 80
2. 저작근육 = 84
3. 목 외측의 근육 = 85
4. 설골 상부의 근육 = 85
5. 설골 하부의 근육 = 87
6. 척주근 = 88
7. 등의 근육 = 89
8. 흉곽의 근육 = 91
9. 복벽의 근육 = 93
10. 상지와 척주를 연결하는 근육 = 96
11. 상지와 흉벽을 연결하는 근육 = 96
12. 어깨의 근육 = 97
13. 상지의 근육 = 98
14. 전완의 근육 = 99
15. 손의 근육 = 103
16. 대퇴의 근육 = 104
17. 하퇴의 근육 = 108
18. 발의 근육 = 110
제5장 신경계통
Ⅰ. 신경계통의 조직학적 구조 = 113
1. 신경원 = 114
2. 신경섬유 = 115
3. 신경자극의 전도 = 116
4. 신경계통의 초기 발생 = 118
Ⅱ. 척수 = 119
1. 척수의 외형 = 120
2. 척수의 주요 구획 = 120
3. 회백질 = 122
4. 백질 = 122
Ⅲ. 뇌 = 124
1. 연수 = 125
2. 교 = 127
3. 중뇌 = 128
4. 간뇌 = 129
5. 소뇌 = 130
6. 대뇌 = 132
7. 뇌실 = 137
8. 뇌의 혈액공급 = 139
9. 뇌척수막 = 140
Ⅳ. 말초신경계통 = 141
1. 뇌신경 = 141
2. 척수신경 = 147
3. 자율신경계통 = 153
제6장 감각기계통
Ⅰ. 피부 = 159
1. 표피 = 160
2. 진피 = 162
3. 피부의 부속기 = 162
4. 감각수용기 = 165
Ⅱ. 눈 = 166
1. 안검 = 166
2. 누기 = 166
3. 안근 = 167
4. 안구 = 168
Ⅲ. 귀 = 172
1. 외이 = 172
2. 중이 = 173
3. 내이 = 174
제7장 순환기 및 림프계통
Ⅰ. 혈액 = 180
1. 혈장 = 180
2. 혈구 = 180
3. 조혈 = 182
4. 혈액형 = 183
Ⅱ. 혈관 = 183
1. 혈관벽의 구조 = 183
2. 동맥 = 184
3. 모세혈관, 동양혈관 및 동맥정맥 문합 = 185
4. 정맥 = 186
5. 순환 = 186
Ⅲ. 심장 = 187
1. 심장의 크기 및 위치 = 187
2. 심장의 표면 = 187
3. 심장의 벽 = 188
4. 심장의 수축조절 = 189
5. 심장의 내부구조 = 189
6. 심장의 혈관 = 191
Ⅳ. 동맥계통 = 192
1. 대동맥 = 192
2. 총경동맥 = 193
3. 쇄골하동맥 = 194
4. 액와동맥 = 196
5. 상완동맥 = 197
6. 전완과 손의동맥 = 198
7. 흉대동맥 = 198
8. 복대동맥 = 199
9. 총장골동맥 = 201
10. 하지의 동맥 = 203
Ⅴ. 정맥계통 = 205
1. 상대정맥 = 206
2. 머리, 목의 정맥 = 206
3. 상지의 정맥 = 208
4. 흉부의 정맥 = 209
5. 하대정맥 및 복부의 정맥 = 210
6. 문맥계통 = 210
7. 골반과 회음의 정맥 = 211
8. 하지의 정맥 = 212
Ⅵ. 림프관계통 = 213
1. 림프관계통의 기능 = 214
2. 림프 = 214
3. 모세림프관, 림프관 = 214
4. 유미조, 흉관 및 우림프본간 = 215
5. 두경부의 림프관계통 = 216
6. 상지의 림프관계통 = 217
7. 흉곽의 림프관계통 = 217
8. 복벽의 림프관계통 = 217
9. 골반벽의 림프관계통 = 217
10. 하지의 림프관계통 = 217
Ⅶ. 림프계통 = 218
1. 림프절 = 218
2. 비장 = 219
3. 편도 = 220
4. 흉선 = 221
제8장 내분비계통
Ⅰ. 호르몬 = 223
1. 호르몬의 일반적인 기능 = 223
2. 호르몬의 분비조절 = 224
3. 인간의 내분비선 = 224
Ⅱ. 뇌하수체 = 225
1. 선하수체 = 225
2. 신경하수체 = 227
Ⅲ. 갑상선 = 228
1. 조직학적 구조 = 228
2. 갑상선호르몬 = 229
3. 여포방세포 = 230
Ⅳ. 부갑상선 = 230
1. 조직학적 구조 = 230
2. 부갑상선호르몬 = 230
Ⅴ. 췌장도 = 231
Ⅵ. 부신 = 232
1. 피질 = 232
2. 수질 = 233
Ⅶ. 난소 = 233
Ⅷ. 고환 = 234
Ⅸ. 송과선 = 234
제9장 호흡기계통
Ⅰ. 비강 = 236
Ⅱ. 인두 = 239
Ⅲ. 후두 = 239
1. 후두의 연골 = 240
2. 성대 = 240
3. 후두의 근육 = 241
4. 후두의 기능 = 241
Ⅳ. 기관 및 기관지 = 242
Ⅴ. 흉강 및 흉막 = 243
Ⅵ. 폐 = 243
1. 폐의 엽 = 244
2. 기관지의 분지 = 245
3. 폐포 = 245
4. 호흡의 과정 = 246
제10장 소화기계통
Ⅰ. 소화관 벽의 일반적인 구조 = 250
1. 점막층 = 250
2. 점막하층 = 250
3. 근육층 = 251
4. 장막층 = 251
Ⅱ. 입과 구강 = 252
1. 입술과 뺨 = 253
2. 잇몸과 치아 = 253
3. 혀 = 254
4. 타액선 = 256
5. 구개 = 258
Ⅲ. 인두 = 258
Ⅳ. 식도 = 259
Ⅴ. 위 = 259
1. 위의 부분 = 260
2. 위의 조직학적 구조 = 261
3. 위의 기능 = 262
Ⅵ. 소장 = 262
1. 소장의 여러 부분 = 262
2. 조직학적 구조 = 263
3. 소장의 기능 = 265
Ⅶ. 대장 = 265
1. 대장과 소장의 차이점 = 266
2. 대장의 부분 = 266
3. 대장 벽의 구조 = 268
4. 대장의 기능 = 268
Ⅷ. 간 = 268
1. 간의 엽 = 268
2. 간의 미세구조 = 269
3. 간의 혈관분포 = 270
4. 담기 = 271
5. 간과 담낭의 기능 = 271
Ⅸ. 췌장 = 272
1. 췌장의 부분 = 272
2. 췌장관 = 273
3. 췌장의 조직학적 구조 = 273
4. 췌장의 기능 = 273
제11장 비뇨기계통
Ⅰ. 비뇨기계통의 구성과 기능 = 275
Ⅱ. 신장 = 276
1. 단엽신장과 다엽신장 = 276
2. 신장의 육안적 구조 = 277
3. 신장의 미세 구조 = 278
4. 신장의 혈관 분포 = 281
5. 신장의 기능 = 282
Ⅲ. 요관 = 284
Ⅳ. 방광 = 284
Ⅴ. 요도 = 285
제12장 생식기계통
Ⅰ. 남성생식기 = 288
1. 고환 = 288
2. 생식관 = 292
3. 부생식선 = 293
4. 음경 = 294
Ⅱ. 여성생식기 = 295
1. 난소 = 297
2. 난관 = 300
3. 자궁 = 301
4. 질 = 304
5. 외생식기 = 304
6. 유선 = 305
제13장 발생학 총론
Ⅰ. 발생 단계 = 307
1. 출생전기 = 307
2. 출생후기 = 308
Ⅱ. 수정 = 309
1. 수정의 과정 = 309
2. 수정의 결과 = 310
3. 피임 = 311
Ⅲ. 분할 = 311
Ⅳ. 낭포배 = 312
Ⅴ. 발생 2주 - 착상 및 이층배자원반 = 312
1. 착상 = 312
2. 이층배자원반 = 313
3. 원시선조 = 314
4. 임신의 진단 = 314
Ⅵ. 발생 3주 - 삼층배자원반의 형성 = 316
1. 장배형성 = 316
2. 척삭 = 316
3. 신경배형성 = 316
4. 중배엽의 발달 = 317
Ⅶ. 배자기 = 317
1. 주름형성 = 318
2. 중배엽의 분화 = 318
3. 세 배엽의 분화 = 318
4. 배자령 및 태아령의 추정 = 319
5. 발생 4주 = 321
6. 발생 5주 = 323
7. 발생 6주 = 323
8. 발생 7주 = 323
9. 발생 8주 = 323
Ⅷ. 태아기 = 324
1. 발생 9∼12주 = 324
2. 발생 13∼16주 = 325
3. 발생 17∼20주 = 326
4. 발생 21∼25주 = 327
5. 발생 26∼29주 = 327
6. 발생 30∼34주 = 327
7. 발생 35∼38주 = 327
8. 분만 = 327
Ⅸ. 쌍태아 = 328
Ⅹ. 태아막과 태반 = 329
1. 양막 = 329
2. 융모막 = 330
3. 난황낭 = 331
4. 요막 = 331
5. 태반 = 331
찾아보기(한글) = 333
찾아보기(영어) = 37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