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제1부 국방과 외교에 있어 자주와 동맹의 딜레마
1장 동맹 속에서의 자주국방: 이론과 실제의 딜레마 = 17
2장 박정희 시대와 노무현 시대의 자주국방의 비교 = 67
3장 방위산업과 연구개발: 자주국방 능력이 있는가 = 97
4장 동맹외교 대 자주외교: 어느 것이 먼저인가 = 127
제2부 한미관계 60년: 애증의 변주곡
5장 1945년 이후...
목차 전체
제1부 국방과 외교에 있어 자주와 동맹의 딜레마
1장 동맹 속에서의 자주국방: 이론과 실제의 딜레마 = 17
2장 박정희 시대와 노무현 시대의 자주국방의 비교 = 67
3장 방위산업과 연구개발: 자주국방 능력이 있는가 = 97
4장 동맹외교 대 자주외교: 어느 것이 먼저인가 = 127
제2부 한미관계 60년: 애증의 변주곡
5장 1945년 이후 미국의 세계 군사전략과 주한미군 정책의 변화 = 157
6장 미국의 주한미국 정책 변화와 한국의 대응: 주한미군에 관한 냉전적 합의 의 형성과 이탈 그리고 새로운 합의의 모색 = 193
7장 한국의 시민 사회와 반미 자주 운동 = 237
8장 한미통상갈등과 한미동맹 = 271
제3부 탈냉전 후 동맹관리의 비교정치학
9장 탈냉전 이후 미국의 동맹전략의 변화와 전망 = 327
10장 통일 전후 독일의 대미정책: 동맹포기 또는 활용 = 355
11장 일본의 대미 동맹정책: 동맹표류와 동맹재정의 과정을 중심으로 = 395
색인 = 437
편자 및 필자 소개 = 44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