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들어가기 = 5
제1부 기호학과 시각영상
서론 = 17
1. 기호와 커뮤니케이션의 문제가 어디에 있는가 = 17
2. 기호와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19
3. 문화로서의 미술과 디자인의 커뮤니케이션 = 21
기호이론의 기초개념 =25
1. 기호,의미 그리고 텍스트 = 25
2. 형상이론으로서의 기호학 = 42
...
목차 전체
들어가기 = 5
제1부 기호학과 시각영상
서론 = 17
1. 기호와 커뮤니케이션의 문제가 어디에 있는가 = 17
2. 기호와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 19
3. 문화로서의 미술과 디자인의 커뮤니케이션 = 21
기호이론의 기초개념 =25
1. 기호,의미 그리고 텍스트 = 25
2. 형상이론으로서의 기호학 = 42
3. 기호-상징적 텍스트로서의 영상기호 = 60
시각영상텍스트의 기호학적 의미 = 65
1. 영상텍스트의 분절 : 어디서부터 잘라나갈 것인가 = 70
2. 통사의 문법 혹은 경제화 = 78
3. 심층구조 = 91
4. 영상기호와 언어기호 = 118
5. 의미구조와 영상기호의 텍스트적 특성 = 128
6. 생성논리에 관하여 : 텍스트 바깥에 구원이 없다? = 160
제2부 시각영상 텍스트의 기호학적 분석
시각영상 텍스트 분석 = 149
1. 자동차 로고의 분석 = 149
2. 광고 영상의 기호학적 분석 = 170
3. 인터페이스 메타포의 기호학적 접근 = 201
4. 이모티콘의 양태성 = 209
5. 공간구성의 구조 = 216
결론 = 225
1. 이데올로기 비판으로서의 기호학 = 225
2. 공주체적 인식론으로서의 기호학 = 227
참고문헌 = 23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