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론 = 7
1. 음악 장르 : 미사 통상문 = 15
2. 창작 과정과 목적 = 23
1733년의 〈미사〉 = 23
칸타타 BWV 191 : 〈하늘 높은 데서는 주님께 영광〉 = 30
〈B단조 미사〉의 편찬 : '미사 토타' = 32
바흐 생존시의 연주 증거 = 37
'미사 토타(missa tota)' : 바흐의 의도 = 40
3...
목차 전체
서론 = 7
1. 음악 장르 : 미사 통상문 = 15
2. 창작 과정과 목적 = 23
1733년의 〈미사〉 = 23
칸타타 BWV 191 : 〈하늘 높은 데서는 주님께 영광〉 = 30
〈B단조 미사〉의 편찬 : '미사 토타' = 32
바흐 생존시의 연주 증거 = 37
'미사 토타(missa tota)' : 바흐의 의도 = 40
3. 수용사 = 45
초기 수사보의 전파 = 46
초기 연주 = 48
초판본 = 51
'구바흐 전집(BG)' 에서 '신바흐 전집(NBA)'까지 = 53
'신바흐 전집'의 편찬 이후 = 59
연주 실제 = 62
4. 가사와 음악 : 개작 및 작곡 과정 = 67
5. 리토르넬로 형식 = 93
'고전적' 리토르넬로 = 94
리토르넬로와 성악 부분의 관계 = 96
숨겨진 리토르넬로 = 103
6. 춤곡의 영향 = 107
춤곡과 악장의 구조 - 'Qui sedes(9)' = 110
7. 대위법 = 115
바흐와 '구양식' = 116
대위 기법의 다른 악장들 = 121
8. 음형과 모티프 텍스처 = 123
9. 배치와 규모 : 〈B단조 미사〉의 대 - 규모 구조와 연속성 = 133
1733년의 〈미사〉(키리에와 글로리아) = 133
'심보룸 니체눔' = 135
미사의 나머지 부분들 = 137
전체 미사곡의 구조 = 137
악장의 연속성 - 새로 작곡된 'Confiteor(19)' = 140
발문 = 145
원주 = 147
참고 문헌 = 157
색인 = 16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