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펼치는 말
제1편 가치의 실현
제1장 가치 찾기
1. 문화예술의 뜻 풀이 = 3
1) 뜻 풀이 = 3
2) 문화를 보는 눈 = 9
2. 문화예술의 갈래 = 15
1) 생활문화와 순수예술 = 15
2) 전통문화와 대중문화 = 16
3) 유형문화와 무형문화 = 19
4) 정책적 구분 = 22
3. 문화예술의 영...
목차 전체
목차
펼치는 말
제1편 가치의 실현
제1장 가치 찾기
1. 문화예술의 뜻 풀이 = 3
1) 뜻 풀이 = 3
2) 문화를 보는 눈 = 9
2. 문화예술의 갈래 = 15
1) 생활문화와 순수예술 = 15
2) 전통문화와 대중문화 = 16
3) 유형문화와 무형문화 = 19
4) 정책적 구분 = 22
3. 문화예술의 영역 찾기 = 24
1) 영역의 확대 = 25
2) 영역의 통합 = 28
제2장 가치 추구
1. 고유가치 = 33
1) 존재와 계승 = 33
2) 변화 = 35
3) 지속발전 = 37
2. 인간본위적 가치 = 39
1) 인간화의 실현 = 40
2) 인간의 성장 = 43
3. 이미지 가치 = 46
1) 사회문화적 축적 = 46
2) 부가가치 창출 = 49
4. 소통가치 = 50
1) 거리감의 극복 = 51
2) 동태적 교류 = 56
제2편 중심적 역할
제3장 사회발전 이끌기
1. 문화예술의 사회적 역할 = 61
1) 사회적 가치와 에너지 창출 = 61
2) 사회 규범화 = 64
3) 사회 생산성 제고 = 66
4) 사회환경의 보전 = 68
2. 사회와 문화의 공진화 = 71
1) 상호발전의 매개 = 71
2) 고품격 소비사회화 = 73
3) 문화생산 시스템화 = 75
4) 사회격차의 해소 = 76
5) 여가의 문화적 보장 = 79
3. 지역사회 속의 문화발전 = 81
1) 지역사회의 공동체 = 81
2) 지역사회 발전의 견인차 = 82
4. 사회의 국제화와 문화 나누기 = 85
1) 문화의 자리매김 = 85
2) 문화콘텐츠의 국제적 가치와 정체성 = 87
3) 문화 나누기 = 89
제4장 인력자원의 개발
1. 문화예술의 교육적 역할 = 91
1) 상호관계 = 91
2) 상호발전 = 94
2. 인력자원 개발 = 97
1) 문화활동의 교육연계 = 97
2) 문화시설의 교육장화 = 99
3) 문화행사의 교육 프로그램화 = 101
3. 문화예술의 사회학습 = 105
1) 사회학습의 문화화 = 105
2) 사회학습과 문화예술의 공진화 = 106
3) 지식기반사회의 문화학습 = 108
제5장 산업경제 수준의 제고
1. 문화예술의 경제적 역할 = 112
1) 경제수준에 영향 = 112
2) 지식경제 발전의 새 요인 = 114
3) 자원 배분 = 117
4) 기회의 재분배 = 119
2. 경제의 질적 효과 창출 = 120
1) 개인 문화지출의 경제 창출 = 121
2) 문화기관 지출의 편익 창출 = 122
3) 문화시설·단체의 고용 창출 = 123
4) 창출효과의 사실성 = 124
3. 문화의 산업화, 산업의 문화화 = 126
1) 공생효과 = 127
2) 정책 관리 = 129
4. 기업의 참여 유발 = 132
1) 고급 경영전략 = 133
2) 새 길 찾는 기업메세나 활동 = 135
제6장 과학기술과의 정책 결합
1. 기술발전과 문화정책 = 137
1) 사회문화적 영향 = 137
2) 문화시장의 변화 = 143
3) 정책협력 = 145
2. 지식정보기술의 정책 결합 = 150
1) 문화창조의 도구 = 150
2) 지식정보 시대의 문화정책 = 153
3. 멀티미디어기술의 문화정보혁명 = 156
1) 기계예술의 산업화 = 157
2) 멀티미디어 시대의 문화정책 = 161
제3편 협동적 집행
제 7장 문화단체의 파트너십
1. 문화정책의 공공성 = 171
1) 공공성의 보편화 = 171
2) 주요 내용과 정책화 = 179
2. 문화단체의 공공 활동 = 185
1) 공공적 조직 행동 = 185
2) 생산과 유통 활동 = 190
3) 공공성과 시장성의 결합 = 196
3. 파트너십 활동 = 197
1) 파트너십의 발휘 = 198
2) 공공예술 확산 = 204
제8장 국가의 발전정책 개발
1. 문화국가의 역할 = 208
1) 뜻 = 208
2) 역할 = 211
2. 정치와 문화정책 운영 = 218
1) 국가체제와 문화정책 = 218
2) 문화정책의 정치 과정 = 223
3) 정치의 문화화 = 228
3. 정책 역할의 분담과 조정 = 230
1) 정책 없는 운영의 탈피 = 230
2) 정책 역할의 한계 = 232
3) 역할 분담과 조정 = 234
제9장 법·제도의 밑받침
1. 문화활동의 법 정신 보장 = 236
1) 관련 법의 성격 = 236
2) 법 정신의 구현 = 239
2. 법 영역과 규정방식 = 241
1) 주요 영역 = 241
2) 규정 방식 = 242
3. 실정법의 체계 = 243
1) 헌법 = 244
2) 주요 개별법 = 245
4. 지방자치단체의 법과 조례 = 249
1) 법 체계 = 249
2) 조례 = 250
제10장 비영리단체의 활동
1. 문화예술의 사회화 = 253
1) 공공단체의 권리·의무 = 253
2) 문화주체의 중심 이동 = 257
3) 문화서비스의 수요 대응 = 258
4) 예술경영의 확산 = 259
2. NPO활동의 조직화 = 259
1) 조직 특징과 운용 = 259
2) 법 제도화 = 261
3. 비영리단체의 역할 분담 = 263
1) 자발적 공공 역할 = 263
2)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영 = 264
3) 다원적 맥락성 유지 = 265
4) 시스템 운영의 수탁 = 266
4. NPO의 힘과 돈 = 267
1) 조직적인 힘 = 267
2) 돈의 동원과 배분 = 269
5. 역할 기대와 방향 = 272
1) 중개자 역할 = 272
2) 공동체 활동과 전문적 서비스 = 273
3) 재정적 보전 = 274
4) 차원 높은 예술경영 = 275
5) 돈과 법의 근거 마련 = 276
제4편 공진화 유도
제11장 소비와 수요 늘리기
1. 문화예술의 소비와 시장 = 281
1) 소비의 모습 = 281
2) 소비자의 모습 변화 = 286
3) 소비시장의 특징 = 288
2. 문화소비자론 = 292
1) 인본주의 문화소비 = 293
2) 소비자의 심리 = 294
3) 소비자의 층별 특화 = 297
3. 소비자 문화권 = 299
1) 법 논리 = 299
2) 제도화 = 301
3) 정책화 = 303
4. 문화소비 장려·지원정책 = 306
1) 정책논리와 고려 요인 = 307
2) 소비의 매개활동 = 310
3) 문화소비 공제제도 = 311
4) 문화소비 보험제도 = 312
5. 문화예술의 수요 = 313
1) 수요의 특징 = 313
2) 수요 결정 요인 = 317
3) 수요 늘리기 정책 = 319
제12장 생산과 공급의 활성화
1. 문화예술의 생산과 시장 = 322
1) 생산자의 모습 = 322
2) 생산시장의 모습 = 323
3) 생산자 문화권의 보장 = 327
2. 문화예술의 생산 지원정책 = 329
1) 돈, 시설, 활동 기회 = 330
2) 저작권 보장 = 330
3) 제도 = 332
3. 문화예술의 공급 = 333
1) 낮은 생산성 = 333
2) 공급량의 불안정 = 335
3) 수급 불균형 = 337
4) 공공적 공급의 특징 = 339
4. 문화예술 생산과 소비의 공동발전 = 341
1) 학습으로 문화소비 증대 = 341
2) 문화생산과 소비의 공동발전 = 343
맺는 말 = 347
도움 받은 글 = 355
찾아보기 = 36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