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역자의 글 = 5
감수의 말 = 7
한국 독자들에게 = 9
2판에 대한 서문 = 11
1부 음악치료의 전체적인 개관
1. 음악치료 임상 실제 = 23
음악치료란? = 26
음악치료의 대상은? = 30
음악치료사가 일하는 장소는? = 32
음악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은? = 34
음악치료사의 교육적 배경은? = 35
미국 내 음...
목차 전체
목차
역자의 글 = 5
감수의 말 = 7
한국 독자들에게 = 9
2판에 대한 서문 = 11
1부 음악치료의 전체적인 개관
1. 음악치료 임상 실제 = 23
음악치료란? = 26
음악치료의 대상은? = 30
음악치료사가 일하는 장소는? = 32
음악치료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은? = 34
음악치료사의 교육적 배경은? = 35
미국 내 음악치료의 현황은? = 36
2. 음악치료의 역사적 고찰 = 40
선사시대의 음악치료 = 41
초기 문명시대의 음악과 치료 = 42
고대시대의 음악의 사용 : 치료 의식 = 42
중세와 르네상스시대의 음악과 치료 = 44
미국 내 음악치료 = 45
전문직으로서의 음악치료의 발달 = 57
3. 음악 : 인간 고유의 현상 및 치료의 도구 = 67
음악적 존재로서의 인간 = 68
평생 활동으로서의 음악 = 69
음악의 기능 = 76
2부 음악치료의 대상
4. 정신지체인을 위한 음악치료 = 104
역사적 관점 = 105
정신지체에 대한 정의 = 106
정신지체의 진단 = 108
정신지체의 분류 = 108
AAMR의 분류 = 111
정신지체의 원인 = 112
정신지체의 예방 = 113
정신지체인의 발달상의 특징 = 115
정신지체인의 교육 현황 = 119
정신지체인을 위한 교육 전략 = 120
정신지체인을 위한 음악치료 = 123
음악치료 목표 = 125
5. 정신질환 치료를 위한 음악치료 = 137
주요 정신질환 = 139
그 밖의 정신질환 = 152
정신질환에 관한 치료 철학 = 153
정신과에서 사용하는 음악치료 = 161
환자의 기능 수준에 근거한 그룹치료 = 166
발달 및 문화적으로 고려할 점 = 171
정신 재활 치료계의 변화 : 단기 집중 치료 = 176
6. 음악치료와 노인 = 177
노인학 : 노화에 관한 학문 = 178
인구의 고령화 = 179
노화에 관한 생물학적 이론 = 180
노화의 전반적인 생물학적 측면 = 182
노화의 구체적인 생물학적 측면 = 182
노화와 관련된 장애 = 188
노화에 관한 정신사회적 이론 = 197
노화에 관한 정신사회적 문제 = 199
전문 요양시설에 있는 노인과의 음악치료 = 203
7. 신체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222
신체장애의 종류 = 224
신체장애인을 위한 음악치료 : 개요 = 230
신체장애 치료에 있어서의 음악치료 = 233
8. 자폐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241
정의와 진단 = 242
원인 = 245
감별 진단 = 247
치료 = 247
자폐 아동의 음악에 대한 반응 = 250
자폐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 251
9. 감각장애 치료를 위한 음악치료 = 263
청각계 = 264
청각장애의 종류 = 265
청각장애의 분류 = 267
청각장애의 발병 시기 = 267
청각장애와 의사소통 양식과의 관계 = 269
청각장애와 관련된 그 밖의 용어 및 사회 문화적 여건 = 269
청각장애와 관련된 여러 문제 = 272
청각장애인과의 음악치료 = 274
청각장애인을 위한 치료 목표 = 278
시각장애인과의 음악치료 = 286
10. 의료 현장에서 쓰이는 음악치료 = 301
신체적 욕구 = 302
정신사회적 욕구 = 313
진단평가 절차 = 318
11. 신경 재활 분야의 음악치료 = 328
뇌졸중 = 329
외상성 뇌 손상 = 335
신경 재활에 있어서의 재활 테크닉 = 340
뇌졸중과 외상성 뇌 손상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 346
파킨슨 증후군과 헌팅턴 증후군 = 355
파킨슨 증후군과 헌팅턴 증후군 환자를 위한 음악치료 = 359
12. 교화적 정신의학에서의 그룹 음악 심리치료 = 366
교화적 정신의학에서의 음악치료 : 원리와 목표 = 367
교화 프로그램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가 고려해야 할 점 = 367
그룹 음악 심리치료의 세 가지 종류 = 370
치료적인 즉흥연주의 음악 의미론적 모델 = 372
임상에서 고려할 점 = 376
13.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치료 = 381
장애 아동을 위한 교육 : 역사적 고찰 = 382
최대한 지원적인 교육환경 : 교육 서비스의 연속선 = 384
교육 환경에서 음악치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 388
고문으로서의 음악치료사 = 396
학교 현장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의 다양한 업무 = 397
3부 전문직으로서의 문제점
14. 음악치료의 적용 과정 = 404
의뢰 = 405
진단평가 = 406
치료 계획 = 413
치료 과정의 문서화 = 417
치료의 결과 평가 및 종결 = 420
치료 전문인의 윤리 의식 = 421
15. 음악치료에서 연구의 역할 = 427
연구의 가치 = 428
연구의 정의 = 429
연구가 음악치료 임상에 미치는 영향은 = 430
연구의 종류 = 434
음악치료 연구의 현위치 = 494
부록 : 음악 심리치료의 세션 구조 = 499
용어해설 = 503
주제별로 선별된 참고문헌 = 51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