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한국어판 서문 = 11
개정판 서문 = 24
초판 서문 = 43
1. 전근대 후기의 담론 혁명 = 53
1. 양자강 하류 학술계의 상황 = 61
학술 내부 및 외부 환경의 역사 = 61
양자강 하류의 연계망 = 62
2. 만청 시대의 정치와 학술 = 69
만주족의 정책과 고증학 = 70
사회비평가 대진 : 고증학에서 다시 철학으로 =...
목차 전체
목차
한국어판 서문 = 11
개정판 서문 = 24
초판 서문 = 43
1. 전근대 후기의 담론 혁명 = 53
1. 양자강 하류 학술계의 상황 = 61
학술 내부 및 외부 환경의 역사 = 61
양자강 하류의 연계망 = 62
2. 만청 시대의 정치와 학술 = 69
만주족의 정책과 고증학 = 70
사회비평가 대진 : 고증학에서 다시 철학으로 = 75
금문 경학의 정치관 : 고증학과 성리학 = 83
3. 도학의 해체 = 89
고증학의 목적 = 90
비평과 회의 = 93
과거와 현재 = 98
2. 도심과 인심 논쟁 = 105
1. 송대의 해석 : 의리적 접근 = 108
2. 송대 소학의 활용 : 첫 번째 단계 = 117
3. 명대의 주석 : 의리의 재확인 = 125
4. 명대 소학의 활용 : 고거실학 대 의리철학 = 131
5. 명청 시기 고증학의 영향 = 140
3. 고증학과 공유된 인식론적 관점의 형성 = 153
1. 청대 고증학의 출현 = 157
고증 담론의 기원 = 158
명대 중후기 지식인 담론의 변화 = 160
오경에 대한 관심의 부활 = 168
2. 명조 멸망의 영향 = 173
사상적 반응 = 174
경세 의식과 몰락하는 도덕적 수양 = 179
3. 실증 학풍의 영향 = 185
한학과 송학 = 186
고유한 경학과 과학 전통의 부활 = 190
『사고전서』편찬 작업 = 196
4. 전문화와 실증 학풍 = 199
문헌의 진실성과 그 복원 = 200
강남의 역사 연구 = 204
제자학 : 선진 사상 기류의 부활 = 214
18세기 강남의 자연과학과 수학 = 219
고증에 종속된 과학 = 225
4. 강남 학자들의 전문직업화 = 229
1. 고증학자들의 사회적 기원 = 232
2. 전근대 후기 사회에 나타난 전문직업화 현상 = 243
3. 관료 및 준관료 조직의 후원 = 249
서건학의 후원 = 251
18세기의 후원 = 255
완원의 후원 = 261
4. 강남의 학술공동체 내에서의 서원 = 268
17세기의 지식인 사회 = 269
관판 서원의 발전 = 277
관판 서원과 고증학 = 280
5. 지식인의 역할 변화 = 293
직업으로서의 교육 = 294
개인적인 연구 활동과 막료 생활 = 297
비관료 조직을 통한 수입원 = 300
강남의 연구 기구 = 302
5. 학술, 도서관, 서적 출판 = 305
1. 강남의 장서루 = 312
강소와 절강의 장서루 = 314
18세기 항주의 장서루 = 319
2. 강남의 출판업 = 323
총서의 역할 = 324
강남과 북경 간의 도서 교역 = 326
장서루와 출판에 대한 청 황실의 지원 = 333
3. 참고 자료와 고증학 = 337
4. 학문의 분류 = 341
6. 강남 학술공동체의 교류 채널 = 349
1. 연구 방식의 공유 : 차기체 저작들 = 353
2. 고증 담론 내의 자료의 활용 = 358
염약거의 고문『상서』연구 = 358
수학, 천문학, 고고학 = 362
고증학의 자료 활용과 인용 = 367
고고학과 금석학 = 374
금석학이 청대 서법에 끼친 영향 = 378
족보와 연보 = 385
3. 공동 연구, 서신 왕래, 모임 = 387
고문『상서』에 대한 논쟁 = 389
고증학에서의 서신의 역할 = 394
4. 축적된 성과물에 근거한 연구 = 397
청대 학술의 연속성 = 397
1740년 이후에 진행된『상서』연구 = 401
음운학의 연구 = 409
5. 우선권 논쟁 = 422
고문『상서』의 우선권 논쟁 = 424
『수경』의 우선권 논쟁 = 427
그 밖의 우선권 논쟁 = 429
6. 고증학의 발전성 = 431
7. 대단원 = 435
1. 고증 운동의 좌절 = 438
경세 의식과 금문학 = 439
광주의 방동수 : 한학 비판 = 451
한·송학 절충론 = 458
2. 태평천국운동의 충격 = 461
사상적 충격 = 462
학술과 동치중흥 = 465
3. 에필로그 = 469
감사의 말(초판) = 473
추천의 말(초판) = 475
역자 후기 = 482
참고문헌 = 486
찾아보기 = 52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