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옮긴이 머리말 = 5
서론 = 13
1. 문화의 이론화 : 마르크스주의 = 21
마르크스 : 문화와 경제적 생산 = 25
토대 - 상부구조 모델 :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 32
그람시 : 문화의 자율성 = 40
2. 문화의 이론화 : 베버, 짐멜, 그리고 사회적 행위 = 55
서론 = 55
합리성과 문화사회학 : 베버 = 57
문화와 자율성...
목차 전체
목차
옮긴이 머리말 = 5
서론 = 13
1. 문화의 이론화 : 마르크스주의 = 21
마르크스 : 문화와 경제적 생산 = 25
토대 - 상부구조 모델 : 마르크스주의적 비판 = 32
그람시 : 문화의 자율성 = 40
2. 문화의 이론화 : 베버, 짐멜, 그리고 사회적 행위 = 55
서론 = 55
합리성과 문화사회학 : 베버 = 57
문화와 자율성의 원리 = 63
짐멜 : 근대성과 문화의 비극 = 67
근대성 문화 = 70
3. 문화산업의 문제 = 77
문화의 변증법 = 82
문화산업 : 음악의 사례 = 87
문화, 계급 그리고 비판 = 92
방법의 문제 : 문화산업과 문화적 기억 = 94
4. 문화분석과 체계이론 = 101
공동문화 개념 : 뒤르켐에서 파슨스까지 = 101
공동문화 : 파슨스 = 106
하버마스 : 문화와 의사소통 관행 = 114
문화와 상호작용 = 122
5. 문화의 맥락화 = 127
맥락과 문화 = 127
음악의 맥락화 : 매개의 문제 = 130
문화유물론 = 133
일상으로서의 문화 : 공동문화의 문제 = 136
감정의 구조 : 맥락화의 문제 = 142
6. 문화의 장 이론 = 151
구조주의와 체계개념 = 152
문화이론과 생략효과 = 155
문화사회학과 장 개념 = 159
아비튀스, 실천, 그리고 문화의 장 = 163
세력장 개념 = 171
장 이론의 한계 = 177
7. 대화주의와 문화형식 = 183
문화의 장 : 행위와 의사소통 = 183
바흐친 : 문화, 자아, 그리고 대화 = 190
담론, 언어, 그리고 문화 = 197
비공식문화 : 카니발적인 것의 개념 = 210
대화주의, 봉쇄, 그리고 역사적 맥락 : 소설의 경우 = 215
8. 근대성과 문화 = 225
근대성이란 무엇인가? = 225
근대성 1 : 보들레르에서 푸코까지 = 232
추기(追記) : 현재의 새로움으로서 근대성 - 보들레르에 대한 푸코의 입장 = 234
짐멜의 근대성 = 237
근대성 2 : 계몽주의 비판 - 베버에서 프랑크푸르트학파까지 = 241
근대성의 이론화 : 프랑크푸르트학파 = 245
근대성 3 : 마르크스 = 251
9. 탈근대성과 대중문화 = 261
근대성 비판 1 : 탈근대적인 것과 거대거사 = 262
근대성 비판 2 : 포스트모더니즘과 문화 = 265
포스트모더니즘, 대중문화, 그리고 자본주의의 논리 = 272
결론적 논평 : 근대성, 역사,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의 문제 = 281
결론 = 285
참고문헌 = 295
찾아보기 = 30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