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차례 ... 8
1장 음악학이란? ... 17
음악학과 음악학자 ... 19
음악학 ... 19
음악학자 ... 20
음악적 궁금증과 해소방법 ... 22
궁금증의 예 ... 22
궁금증 해소의 과정 ... 24
음악연구방법의 다양성 ... 28
음악학의 역사와 분류 ... 29
...
목차 전체
머리말 ... 5
차례 ... 8
1장 음악학이란? ... 17
음악학과 음악학자 ... 19
음악학 ... 19
음악학자 ... 20
음악적 궁금증과 해소방법 ... 22
궁금증의 예 ... 22
궁금증 해소의 과정 ... 24
음악연구방법의 다양성 ... 28
음악학의 역사와 분류 ... 29
음악학:용어의 기원 ... 29
18세기의 선구자들 ... 30
19세기의 음악학 ... 33
아들러의 역사.체계의 양분법 ... 34
20세기 음악학 ... 39
프랏 ... 39
리만 ... 40
헤이든 ... 40
클럭스 ... 41
1970년대까지 ... 42
음악학과 인접학문 ... 43
음악학의 현 상황과 우리의 실정 ... 46
그로브 음악사전 개정판(2001)의 분류 ... 46
우리의 상황 ... 46
이 책의 구성 ... 48
2장 문헌보기 ... 49
악고 찾기 ... 54
목록 찾기 ... 58
음악사전 ... 58
작곡가 작품 목록집 ... 59
음악문헌 목록집 ... 64
(1)한국의 음악목록 ... 64
(2)외국문헌 목록 ... 66
(3)외국의 박사학위 목록 ... 68
도서관 ... 69
3장 음악용어와 사전 ... 83
사전의 실례 ... 85
개념정리의 한 방법 ... 88
사전의 자료 ... 91
사전의 효용성과 실용성 ... 94
사전은 음악연구의 축소판이다 ... 95
기준의 역할을 하는 사전 ... 96
항목의 설정 ... 97
항목들의 체계 ... 97
사전의 언어 ... 98
음악사전과 음악학 ... 99
사전에 대한 이해 ... 99
음악사전의 역사와 현황 ... 100
한국의 음악사전 ... 100
서양의 음악사전 ... 102
인터넷 시대의 음악사전 ... 106
4장 서양음악사 ... 109
기록보관소 ... 112
편지자료 ... 114
자서전과 동시대의 전기 ... 117
악보 ... 119
과거는 변한다? ... 128
한국에서의 서양음악사 ... 132
5장 음악도상학 ... 135
도상학이란 무엇인가? ... 137
도상학 연구의 과정 ... 138
음악도상학과 악기연구 ... 139
음악도상학과 연주 실제 ... 142
음악도상학의 또 다른 연구들 ... 148
음악도상학의 출발과 현 상황 ... 151
6장 서양 음악 이론 ... 153
이론과 실제 ... 155
이론가와 수 (數) ... 157
악보와 그래픽 ... 162
대위법과 화성법 : 음악 양식과 이론 ... 167
이론과 작곡의 관계 ... 169
음악 형식 ... 174
음악이론과 분석, 그리고 인지과학 ... 175
7장 음악분석 ... 179
분석의 실례 ... 183
분석이란? ... 188
이론의 개입 ... 190
미학의 문제 ... 195
분석의 역사 ... 198
8장 연주실제와 해석 ... 201
J.S. Bach를 연주할 경우 ... 205
연주 개념의 역사적 변천 ... 213
오늘날의 연주문화 ... 218
객관적 연주 ... 218
주관적 연주 ... 220
현대적 편곡 연주 ... 220
해석이론 비교 ... 222
스트라빈스키 ... 222
베커 ... 224
9장 음악음향학 ... 229
음악과 음향학 ... 231
소리의 과학 ... 231
음향학에서 보는 음악의 개념과 음악음향학 ... 233
음악음향학의 주요개념들 ... 234
진동 ... 234
주기성과 음향 ... 235
배음, 주파수 및 음고 ... 240
음악음향학의 주요 분야 ... 242
음악과 관련된 음향학적 궁금증의 실례들 ... 242
1. 소리의 과학 ... 242
2. 소리의 들림 ... 245
3. 소리들 간의 관계 ... 246
4. 악기음향학 ... 249
10장 음악심리학 ... 251
음악심리학의 본질 ... 253
궁금증 : 연구의 발단 ... 253
음악심리학의 정의 ... 254
실험 : 마음의 탐구방법 ... 256
실험이란? ... 256
실험적 연구방법의 성과 ... 257
음악심리학 분야의 주요문헌 ... 261
19세기까지 ... 261
20세기의 주요 저술 ... 265
음악 지각과 인지 : 최근 20년 동안의 변화 ... 267
음악심리학 분야의 교육기관, 학회, 학술지 ... 269
교육기관 ... 270
학회 ... 272
학술지 ... 274
우리의 상황 ... 276
11장 음악미학 ... 281
음악미학의 개념 ... 288
철학의 한 분야로서의 음악미학 ... 288
미학 ... 289
음악미학의 개념 ... 292
음악적 아름다움은 어떻게 연구할 수 있을까? ... 294
음악적 아름다움의 탄생에 대해서 ... 295
음악적 아름다움의 경험에 대해서 ... 297
음악미학의 역사 ... 300
12장 음악비평 ... 307
음악비평의 종류 ... 309
학문적 성격의 전문 비평 ... 310
저널적 성격의 음악비평 ... 314
고문 형식의 비평, 홍보성 비평, 문화 비평 ... 317
분석적 비평, 인상 비평, 비교 비평 ... 317
음악비평 개념 ... 318
음악비평의 역사 ... 319
현대의 음악비평 ... 324
한국에서의 음악비평 ... 325
13장 음악사회학 ... 327
음악사회학에서는 어떤 것을 연구하는가? ... 333
사회 안에서 음악의 역할 및 위치 ... 333
사회가 음악에 주는 영향 ... 334
음악에 나타난 사회적 요소/상징성 ... 337
음악가의 사회적 위치 및 역할 ... 340
사회학적 음악사 ... 342
음악과 경제사회 ... 344
대중음악 ... 345
음악사회학의 역사 ... 347
음악사회학의 개념 및 방법론 ... 353
14장 종족음악학 ... 357
파푸아 뉴기니의 칼루리족 음악 ... 359
현장 조사 ... 362
자료 수집 ... 363
채보 ... 365
종족음악학의 전개 과정 ... 367
종족음악학, 음악인류학, 음악학? ... 370
15장 대중음악 ... 375
사회학자가 보는 대중음악 ... 381
인류학자(종족음악학자)가 보는 대중음악 ... 384
음악학자가 보는 대중음악 ... 387
문예비평의 입장에서 본 대중음악 ... 389
16장 한국의 음악학 ... 397
대학의 음악학 교육 ... 401
음악학과 음악이론의 차이 ... 403
안확과 음악학 ... 408
해방 이후의 음악학 ... 412
학술지 ... 419
한국어권 음악학 ... 421
한국의 음악학과 주변국의 음악학 ... 424
17장 영, 미권의 음악학 ... 427
영국 ... 430
영국음악학의 전통 ... 430
역사와 비평의 양대 축 ... 431
편찬의 전통 : 악보와 사전 ... 433
미국 ... 438
미국음악학의 전통 ... 438
학회 ... 441
교육 ... 443
영미권 음악학에 나타나는 최근의 경향 ... 444
신음악학 ... 444
최근의 동향 ... 447
18장 독일어권의 음악학 ... 449
학과의 성립 ... 451
대학에서의 교수 활동 ... 451
학술지의 발간 ... 452
음악학 협회의 창립 ... 454
1945년까지 독일어권의 음악학의 흐름 ... 455
역사음악학 ... 455
체계음악학 ... 461
20세기 후반의 독일 음악학 경향 ... 463
독일 음악학의 제도적, 사회적 특징 ... 464
50년대의 음악학 연구 경향 ... 466
1960년대 이후 역사 음악학의 경향 ... 467
구 동독의 음악학 ... 470
통독후의 독일 음악학 ... 472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