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을 내면서 = 3
제1부 한국전쟁과 지역사회 그리고 사람들
전쟁연구와 구술사 / 염미경 = 15
1. 왜 구술사인가 = 15
2. 구술사의 형성과 제도화 = 18
3. 전쟁과 구술사 연구 = 26
4. 한국전쟁에 대한 구술사 연구의 필요성과 함의 = 36
전쟁과 '빨갱이'에 대한 집합기억 / 박정석 = 47
1. 전쟁에 대한 기...
목차 전체
목차
책을 내면서 = 3
제1부 한국전쟁과 지역사회 그리고 사람들
전쟁연구와 구술사 / 염미경 = 15
1. 왜 구술사인가 = 15
2. 구술사의 형성과 제도화 = 18
3. 전쟁과 구술사 연구 = 26
4. 한국전쟁에 대한 구술사 연구의 필요성과 함의 = 36
전쟁과 '빨갱이'에 대한 집합기억 / 박정석 = 47
1. 전쟁에 대한 기억과 망각 = 47
2. 연구의 배경과 조사과정 = 50
3. 전쟁과 '빨갱이' = 53
4. 기억 감추기와 내세우기 = 62
5. 기억의 재구성과 문화이해 = 71
전쟁과 농촌사회구조의 변화 / 윤형숙 = 75
1. 연구배경과 조사과정 = 75
2. 전쟁과 구술사 = 78
3. 해방 전후 대촌리의 사회경제적 특성 = 82
4. 해방 후 국가형성과 전쟁, 그리고 일가주의 = 90
5. 대촌리 사람들의 비극적 경험 = 101
6. 전쟁 후 국가와 지역사회구조의 변화 = 103
7. 구술자료를 사용한 조각보 맞추기와 부분적 진실 = 107
전쟁과 지역권력구조의 변화 / 염미경 = 113
1. 밑으로부터의 전쟁연구의 필요성 = 113
2. 연구의 배경과 조사과정 = 115
3. 해방 전 지배가문의 존재형태와 지역사회 = 119
4. 해방 후 한 양반가문의 역사적 경험 = 126
5. 전쟁연구의 현재적 의의와 과제 = 141
전쟁경험과 공동체문화 / 표인주 = 145
1. 전쟁에 대한 민속학적 접근의 필요성 = 145
2. 전쟁과 피학살경험 = 147
3. 공동체문화의 파괴와 약화 = 149
4. 가계계승의 단절과 복원 = 154
5. 해원을 위한 의례장치 구축 = 158
6. 음양합일을 통한 사후세계 천도 = 164
7. 지역공동체성의 회복을 위하여 = 166
상이군인과 유가족의 전쟁경험 / 박정석 = 170
1. 전쟁경험과 트라우마 = 170
2. 전쟁과 군인 = 172
3. 상이'용사' = 179
4. 전쟁과 여성 : 유가족 = 185
5. '희망적' 트라우마? = 192
한국전쟁연구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 / 김동춘 = 196
1. 왜 한국전쟁인가 = 196
2. 한국전쟁은 국가 대 국가의 전쟁이었나? = 198
3. 한국전쟁을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 202
제2부 해외 구술사 연구의 동향과 전망
일본의 구술사 연구 / 김용의 = 221
1. 논의의 배경 = 221
2. 구술사 연구의 배경과 전개 = 225
3. 이론적·방법론적 쟁점 = 232
4. 전망과 과제 = 236
미국의 구술사 연구 / 김봉중 = 240
1. 논의의 배경 = 240
2. 구술사 연구의 발전배경 = 242
3. 구술사 연구의 발전 = 248
4. 역사학과 구술사 = 251
5. 구술사 연구의 쟁점 = 258
6. 전망과 과제 = 263
인도의 구술사 연구 / 김경학 = 267
1. 논의의 배경 = 267
2. 서브얼턴 연구의 내용과 비판적 고찰 = 269
3. 서브얼턴 연구의 방법론적 한계 = 275
4. 구술사 연구방법과 인도에서의 구술사 연구경향 = 277
5. 전망과 과제 = 290
찾아보기 = 29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