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Ⅰ. 서론 = 1
Ⅱ. 환상의 정의 = 7
1. 어원적 정의 = 7
2. 모티프와 주제 분류에 의한 정의 = 9
3. 기본 규칙, 구성 요소, 구조에 따른 정의 = 13
4. 장르적 접근 = 19
5. 포괄적 정의 = 22
6. 상상과 인식, 그리고 환상의 경계 = 23
Ⅲ. 환상의 문학사적 계보 = 37
1. 중국 고전 문학사에서 환상의...
목차 전체
목차
Ⅰ. 서론 = 1
Ⅱ. 환상의 정의 = 7
1. 어원적 정의 = 7
2. 모티프와 주제 분류에 의한 정의 = 9
3. 기본 규칙, 구성 요소, 구조에 따른 정의 = 13
4. 장르적 접근 = 19
5. 포괄적 정의 = 22
6. 상상과 인식, 그리고 환상의 경계 = 23
Ⅲ. 환상의 문학사적 계보 = 37
1. 중국 고전 문학사에서 환상의 계보 = 37
2. 한국 문학사에서 환상 = 46
3. 서구 문학사에서 환상의 지위와 하위 장르 = 62
Ⅳ. 환상의 지형학 = 73
1. 환상의 인식론적 지형학 = 73
(1) 새로운 질서의 창조, 환상적 우주론 = 75
(2) 마술적 사실주의 = 82
(3) 환상의 형이상학, 혹은 메타 픽션 = 86
2. 환상의 존재론적 지형학 = 91
(1) 타자성 = 92
(2) 개인성과 내면성 = 100
(3) 개방성과 경계 해체 = 105
3. 환상의 심리학적 지형학 = 116
(1) 욕망 충족과 도피 = 117
(2) 위반, 전복, 반문화 = 122
(3) 공포와 전율, 비장, 그로테스크 = 125
Ⅴ. 환상의 수사학 = 135
1. 동일성의 수사학 = 136
(1) 은유와 제유 = 136
(2) 이미지화 = 139
2. 차이성의 수사학 = 143
(1) 패러디 = 143
(2) 도치와 전복 = 143
(3) 아이러니와 모순어법 = 145
(4) 언어 유희 = 149
Ⅵ. 환상의 환영을 넘어서 = 153
〈주〉 = 155
참고문헌 = 163
추천도서 = 17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