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灌園先生文集 / 鉛活字本

朴啓賢(朝鮮) 著

상세정보
자료유형고서
서명/저자사항灌園先生文集 / 朴啓賢(朝鮮) 著
개인저자박계현
판사항鉛活字本
발행사항京城 : 灌園先生文集重刊所, 昭和 2[1927]
형태사항2卷1冊 : 四周雙邊 半郭 20 x 15 cm, 有界, 10行21字 註雙行, 花口, 上下向黑魚尾 ; 29 x 19 cm
일반주기表題: 灌園集
版心題: 灌園集
序: 歲丁卯(1927)淸明節旁十代孫圭浩謹序
後敍: 丁卯(1927)三月上澣後學西河任啓鎬謹識
跋: 丁卯(1927)五月丙寅後孫奫和관手謹書
비통제주제어문학-총류
분류기호811
언어중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032307 CL 811 박계현 관 1층 고전자료실 RB4-1-2-4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초록

목차 일부

관원선생문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박계현(朴啓賢:1524~1580)의 시문집으로, 2권 1책의 신활자본이다. 
박계현의 본관(本貫)은 밀양(密陽), 자(字)는 군옥(君沃), 호(號)는 관원(灌園) 또는 근사재(近思齋)이다. 명종 7년(1552)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아버지는 예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충원(忠元:1507~1581)이며, 어머니는 성산(星山) ...

목차 전체

관원선생문집은 조선 중기의 문신인 박계현(朴啓賢:1524~1580)의 시문집으로, 2권 1책의 신활자본이다.
박계현의 본관(本貫)은 밀양(密陽), 자(字)는 군옥(君沃), 호(號)는 관원(灌園) 또는 근사재(近思齋)이다. 명종 7년(1552)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아버지는 예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충원(忠元:1507~1581)이며, 어머니는 성산(星山) 이씨(李氏)로 인수(麟壽)의 딸이다.
이 책은 1927년 후손 규화(奎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책머리에 같은 해 박규호(朴圭浩:1850~1930)가 지은 서문과 총목록이 있고, 책끝에 같은 해 후손 윤화(奫和)가 지은 발문이 있다.
권1에는 무제(無題), 함종현제영(咸從縣題詠) 등 시(詩) 95편과 이전인(李全人:1516~1568) 과 주고받은 여이잠계(與李潛溪), 답이잠계(答李?溪)의 서(書) 2편, 증정부인황씨묘갈(贈貞夫人黃氏墓碣)의 갈(碣) 1편이 실려 있다. 시는 용추 (龍湫)·세심대(洗心臺)·무학산(舞鶴山)·정혜사(淨慧寺) 등과 같이 명승고적에 대한 경치나 감회를 읊은 것이 대부분이다. 안성객헌우청룡사승(安城客軒遇靑龍寺僧)은 박계현이 18년 전 서운산(瑞雲山) 청룡사에서 공부하던 시절을 회상하며 어느 승려와의 우정을 읊은 것이고, 문명(文名)을 크게 떨쳤던 임제(林悌)와 서로 주고 받은 시가 있어 그들 사이의 문학적 교유가 빈번하였음을 보여준다. 권2는 부록(附錄)으로, 이황(李滉:1501~1570)이 지은 차박감사견기운(次朴監司見寄韻) 등의 증시(贈詩) 19편과 성원(聖源)이 지은 행장(行狀), 유사략(遺事略), 심희수(沈喜壽:1548~1622)가 지은 신도비명(神道碑銘), 홍계희(洪啓禧:1703~1777)가 지은 시장(諡狀), 7대손 천환(天煥)이 지은 연시고유문(延謚告由文)이 실려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