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素隱先生文集 / 木活字本

姜式儁(朝鮮) 著

상세정보
자료유형고서
서명/저자사항素隱先生文集 / 姜式儁(朝鮮) 著
개인저자강식전
판사항木活字本
발행사항[刊寫地未詳] : 溪亭, 隆熙 2(1908)
형태사항4卷2冊(全2冊) : 四周單邊 半郭 23 x 18 cm, 有界, 10行21字 註雙行, 上下向二葉花紋魚尾 ; 32 x 21 cm
일반주기表題: 素隱集
序: 歲丁未(1907)陽復日苞山郭鍾錫序, 戊申(1908)雉震구上旬後學롱西李道默謹敍
跋: 戊申(1908)春分節旁后孫璲桓謹書
木記: 戊申(1908)仲春溪亭活印
楮紙
비통제주제어문학-총류
분류기호811
언어중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12336 CL 811 강식전 소v1 1층 고전자료실 RB3-2-5-2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2 112337 CL 811 강식전 소v2 1층 고전자료실 RB3-2-5-2 대출불가(별치)
인쇄 SMS발송

초록

목차 일부

소은선생문집은 유병문(柳炳文:1776∼1826)의 시문집(詩文集)으로, 6권 3책의 목활자본(후기목활자본)이다. 
  유병문의 자(字)는 중호(仲虎), 호(號)는 소은(素隱),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통덕랑(通德郞) 만휴(萬休)의 아들로 평생에 학문에 전념하고 처사로 자처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집에 소장된 호서요훈(湖書要訓)(24권), 춘추세족보(春秋世族...

목차 전체

소은선생문집은 유병문(柳炳文:1776∼1826)의 시문집(詩文集)으로, 6권 3책의 목활자본(후기목활자본)이다.
유병문의 자(字)는 중호(仲虎), 호(號)는 소은(素隱),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통덕랑(通德郞) 만휴(萬休)의 아들로 평생에 학문에 전념하고 처사로 자처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집에 소장된 호서요훈(湖書要訓)(24권), 춘추세족보(春秋世族譜). 내외원파도(內外源派圖). 보계변증(譜系辨證), 완산세엽(完山世牒)(10권), 유고(遺稿) 약간 권이 있다 한다. 이들은 모두 주자학적인 입장에서 저술된 것들이다.
권1에는 대금강유객부지(待金剛遊客不至) 등 180여수의 시(詩)가 실려 있는데, 이것은 대부분 차운형식(次韻形式)으로 되어 있다. 권2에는 동암선생중용문목(東巖先生中庸問目), 상손재선생(上損齋先生), 상입재선생(上立齋先生) 등 24편의 서(書)가 실려 있다. 권3은 잡저(雜著)로. 암재기문(巖齋記聞), 논계미불성위적(論繼彌不成爲適) 등 12편의 글이 실려 있다, 권4에는 완산세엽소서(完山世牒小序) 등 3편의 서(序)와 동원서숙기(東園書塾記), 소은동기(素隱洞記)의 기(記), 대산장제기문답후지(大山長祭記門答後識) 등 6편의 지발(識跋), 술선훈명병서(述先訓銘幷序), 좌우명(座右銘) 등의 명(銘), 만영초당중건상량문(萬嶺草堂重建上樑文)의 상량문(上樑文), 정이빈동택애사(鄭爾賓東宅哀辭), 남경명택정애사병서(南敬明宅正哀辭幷序) 등 5편의 애사(哀辭), 전주용고서원봉안문(全州龍皐書院奉安文) 등 3편의 고유문(告由文) 등이 실려 있다. 권5에는 제구와회공광문(祭龜窩會公壙文) 등 10편의 제문(祭文), 고조고증통정대부이조참의부군묘표(高祖考贈通政大夫吏曹參議府君墓表) 등 6편의 묘표(墓表), 부군광기(府君壙記) 등 6편의 광기(壙記), 회조고증이조참판부군유사(曾祖考贈吏曹參判府君遺事) 등 3편의 유사(遺事), 외대부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오죽재조부군행록(外大夫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梧竹齋趙府君行錄) 등의 행록(行錄)이 실려 있다. 권6은 부록(附錄)으로. 유병문(柳炳文)에 대한 이야순(李野淳)·이병탁(李秉鐸)·이이순(李?淳)·강운(姜橒)·이태순(李泰淳)·조성복(趙星復) 등의 만사(挽詞)가 있고, 김회운(金會運)의 뇌사(?辭)와 이야순(李野淳)·동암(東巖) 유생(儒生) 류규휴(柳奎休) 류연문(柳淵文), 족제(族弟) 정문(鼎文), 조카 치명(致明) 등의 제문(祭文)이 있다. 또한 그에 대해 후배인 휘문(徽文)이 쓴 행장(行狀)과 이야순(李野淳)이 지은 묘표(墓表), 조카 치명(致明)이 지은 묘지명병서(墓誌銘幷序)가 실려 있다.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