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머리말 = 3
제1장 일본적 집단주의란? = 11
1. 일본인은 집단주의자인가 = 13
2.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 16
3. 일본적 '집단주의'의 특질 = 24
4. 연대적 자율성과 間人주의 = 29
제2장 일본어에서 보는 집단의 개념 = 37
1. 또 하나의 집단론 - 머리말을 대신하여 = 39
2. 번...
목차 전체
<pre>
머리말 = 3
제1장 일본적 집단주의란? = 11
1. 일본인은 집단주의자인가 = 13
2.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 16
3. 일본적 '집단주의'의 특질 = 24
4. 연대적 자율성과 間人주의 = 29
제2장 일본어에서 보는 집단의 개념 = 37
1. 또 하나의 집단론 - 머리말을 대신하여 = 39
2. 번역어의 '社會'와 일상어의 '世間' = 40
3. '집단적인 것'을 찾아서 = 44
4. '집단주의' 再考 - 맺음말 = 51
제3장 집단주의의 심리적 요인 = 55
1. 주의, 지향, 규범, 행동 = 57
2. 신체적 거리와 친근감 = 64
3. 어리광, 단련, 사양·겸손 = 71
4. 공감, 동일시, 감정移入 = 75
5. 안과 밖 = 79
제4장 일본사회의 조직화 원리 = 85
1. 머리말 = 87
2. 實感주의적 전체론 = 89
3. 일본어와 일본적 인식 = 95
4. '아이다가라'(間柄)주의 - 間人과 '아이다가라' = 101
5. '아이다가라'주의적 사회원리 = 106
제5장 조직의 일본형 모델과 구미형 모델 = 113
1. 머리말 - 계약형 모델과 소속형 모델 = 115
2. 계약과 소속 = 119
3. 전달체계의 구조 = 122
4. 직무구조 = 127
5. 맺음말 - 일본형 모델과 소속형 조직 = 132
제6장 구일본군의 조직원리 = 137
1. 머리말 = 139
2. 일본사회의 '원조직' = 140
3. 군사 이데올로기 = 142
4. 천황의 직접통솔과 복종의 원리 = 144
5. 징병제와 疑似 민주적 성격 = 148
6. 군대가족주의 = 151
제7장 일본형 조직에 있어서의 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 = 155
1. 커뮤니케이션에 의한 전통과 혁신 = 157
2. 일본적 커뮤니케이션의 원형 = 161
3. 정치적, 행정적 의사결정의 과정 = 168
4. 기업체내의 의사결정 과정 = 174
제8장 일본적 경영조직의 다이나미즘 = 183
1. 분석 시각 = 185
2. 승진경쟁을 촉진하는 메카니즘 = 188
3. 집단간 경쟁이 만들어 내는 다이나미즘 = 192
4. 직무구조의 유연성과 다이나미즘 = 192
5. 조직의 기본구조와 의사결정 센터의 분산 = 199
6. 집단 지향성과 '아이다가라'주의 = 201
제9장 좌담 일본적 집단주의의 국제화는 가능한가? = 207
1. 일본적 집단주의는 왜 오해받는가? = 211
2. 일본적 집단주의는 국제적으로 통할 수 있나? = 255
3. 일본적 집단주의는 국제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233
4. 일본적 집단주의로 어떤 사회시스템을 편성할 수 있을까? = 237
참고문헌 = 247
역자후기 = 251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