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목차
서문
책을 옮기며
역자 소개
SECTION Ⅰ 운동생리학
CHAPTER 1 운동 생리학 역사와 미래 = 3
유럽의 운동생리학 역사 = 3
하버드 피로 연구소 = 4
건강체력 = 5
체육교육에서 운동과학 = 6
운동생리학분야의 연구와 대학원 = 7
체육협회 및 학회지 = 8
운동생리학의 현장 적용 = 9
한국 운...
목차 전체
<pre>
목차
서문
책을 옮기며
역자 소개
SECTION Ⅰ 운동생리학
CHAPTER 1 운동 생리학 역사와 미래 = 3
유럽의 운동생리학 역사 = 3
하버드 피로 연구소 = 4
건강체력 = 5
체육교육에서 운동과학 = 6
운동생리학분야의 연구와 대학원 = 7
체육협회 및 학회지 = 8
운동생리학의 현장 적용 = 9
한국 운동 생리학의 발자취 = 10
CHAPTER 2 인체의 내부 환경조절 = 13
항상성 : 역동적 안정성 = 14
신체 조절체계 = 15
조절체계의 원리 = 15
부적 피드백 = 16
조절체계의 긍정적 효과 = 16
항상성 조절의 예 = 16
동맥혈압의 조절 = 16
혈당조절 = 16
항상성 조절을 위한 스트레스 호르몬의 역할 = 17
운동 : 항상성 조절의 예 = 17
CHAPTER 3 생체에너지학 = 21
세포 구조 = 22
생물학적 에너지 전환 = 24
세포의 화학적 반응 = 24
운동을 위한 에너지원 = 26
탄수화물 = 26
지방 = 27
단백질 = 27
고-에너지 인산염 = 28
생체 에너지학 = 29
무산소성 ATP 생산 = 29
유산소성 ATP 생산 = 33
유산소성 ATP의 계산 = 37
산화적 인산화의 효율성 = 38
생체 에너지 조절 = 38
ATP-PC 체계의 조절 = 39
해당과정의 조절 = 39
크렙스 싸이클과 및 전자 전달계 조절 = 39
유산소성 및 무산소성 ATP 생산의 상호작용 = 41
CHAPTER 4 운동 대사 = 45
안정시에서 운동으로 전환 = 46
안정후 회복기 : 대사 반응 = 49
운동에 따른 대사적 반응 : 강도와 지속시간의 영향 = 48
단시간의 격렬한 운동 = 49
장시간 운동 = 49
점증부하 운동 = 50
운동중 연료이용의 평가 = 52
연료선택의 결정요인들 = 53
운동강도와 연료선택 = 53
운동시간과 연료선택 = 53
지방/탄수화물 대사의 상효작용 = 54
신체연료 = 55
CHAPTER 5 운동에서 호르몬 반응 = 63
신경 내분비학 = 64
혈액 호르몬 농도 = 65
호르몬과 수용기 상호작용 = 66
호르몬 : 조절과 활동 = 68
시상하부와 뇌하수체 = 68
갑상선 = 71
부갑상선 = 72
부신(선) = 72
췌장 = 74
고환과 난소 = 75
운동시 기질동원을 의한 호르몬 조절 = 79
근육의 당원 이용 = 79
운동시 혈당의 항상성 = 80
호르몬과 기질의 상호작용 = 86
CHAPTER 6 일·파워·에너지 소비량의 측정 = 93
측정단위 = 94
미터법 = 94
국제 단위 체계(SI) = 94
일과 파워의 정의 = 95
일 = 95
파워 = 95
일과 파워의 측정 = 96
벤치스텝 = 96
자전거 에르고미터 = 96
트레드밀 = 96
에너지 소비량의 측정 = 96
직접 열량 측정법 = 98
간접 열량 측정법 = 99
에너지 소비량 평가 = 100
운동 효율성 계산 = 101
운동 효율성의 영향요인 = 102
효율적인 달리기 = 103
CHAPTER 7 신경계 = 107
일반적인 신경계의 기능 = 108
신경계의 조직 = 108
신경원의 구조 = 109
신경원의 전기적 활동 = 109
감각정보와 반사 = 114
고유 수용기 = 115
근 화학 수용기 = 115
반사 = 120
신체운동기능 = 116
전정기관과 균형 = 117
뇌의 운동조절 기능 = 117
뇌간 = 118
대뇌 = 118
소뇌 = 118
척수의 운동기능 = 119
운동기능의 조절 = 119
자율신경계 = 121
CHAPTER 8 골격근 = 125
골격근의 구조 = 126
근 신경 연접 = 128
근 수축 = 129
근세사활주설 이론의 개요 = 129
수축을 위한 에너지 = 130
자극-수축 작용 조절 = 130
섬유 형태 = 132
골격근의 생화학적 특성 = 132
근섬유 형태의 특성 = 135
근섬유 형태와 수행능력 = 136
운동을 통한 근섬유 형태의 변화 = 136
연령 변화에 따른 골격근 변화 = 137
근 수축 = 139
근 수축과 이완 속도 = 139
근육의 힘 조절 = 142
힘-속도/파워-속도의 상관 관계 = 142
근육내 수용체 = 144
근방추 = 145
골지건 기관 = 145
CHAPTER 9 운동 시 순환기 적응 = 151
순환계의 구조 = 152
심장구조 = 152
폐순환과 페순환 = 153
심장 : 심근과 심장주기 = 153
심근 = 153
심장주기 = 154
동맥혈압 = 155
심장의 전기적 활동 = 156
심박출량 = 158
심박수의 조절 = 158
1회 박출량의 조절 = 161
혈액 동역학 = 162
혈액의 물리적 특징들 = 162
압력, 저항, 그리고 혈류간의 상관관계 = 162
혈관 저항의 원인들 = 163
운동 중 근육으로의 산소 운반의 변화 = 164
운동 중 심박출량의 변화 = 164
운동 중 동정맥 산소 함유량의 변화 = 164
운동 중 혈액의 재분배량 = 164
운동 중 국부 혈류량의 조절 = 165
운동시 순환기의 반응 = 167
감정적인 영향 = 167
안정시에서 운동으로의 전환 = 167
운동으로부터의 회복 = 167
점진적인 운동 = 168
팔 운동과 다리 운동 = 168
간헐적인 운동 = 168
운동에 대한 심혈관 반응의 조절 = 169
CHAPTER 10 운동 중 호흡 조절 = 175
폐의 기능 = 176
호흡계의 구조 = 176
공기 전달 영역 = 177
호흡 교환 기관 = 178
호흡의 구성 = 179
흡기 = 180
호기 = 180
기도 저항 = 180
폐에서의 환기 = 182
폐용적과 폐용량 = 182
기체 확산 = 183
폐에서의 혈류 = 185
환기와 폐혈액 관류의 관계 = 186
혈액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운반 = 186
헤모글로빈과 산소 운반 = 186
산화형 헤모글로빈의 해리 곡선 = 187
근육내 산소 운반 = 188
혈액내 이산화탄소 운반 = 189
환기와 산-염기 조절 = 190
운동 중 호흡과 혈액-가스의 변화 = 191
안정시에서 운동시로의 전환 = 191
고온에서의 장시간 운동 = 191
점진적 운동 = 191
호흡 조절 = 193
안정시 호흡 조절 = 193
최대하 운동시 호흡 조절 = 194
고강도 운동시 호흡 조절 = 195
폐는 최대 운동수행 능력을 제한하는가? = 196
CHAPTER 11 운동의 산·염기 평형 = 201
산, 염기, 산도 = 202
운동 중 수소이온의 변화 = 203
운동 중 산·염기 조절의 중요성 = 203
산·염기 완충체제 = 204
세포내 완충제 = 204
세포외 완충제 = 204
호흡계가 산·염기 평형에 미치는 영향 = 205
신장을 통한 산·염기 평형 조절 = 205
운동 중 산·염기 평형 조절 = 206
CHAPTER 12 체온조절 = 209
운동 중 열 평형 = 210
운동 중 체온 측정 = 211
열생성과 열손실 = 211
열생성 = 211
열손실 = 211
체온 자동조절 장치인 시상하부 = 213
발열로 인한 시상하부 열 조절장치의 변환 = 214
운동 중 체온 변화 = 214
고온에서의 운동 = 215
성별과 연령에 따른 열조절 = 216
열순응 = 217
열순응에 따른 손실 = 218
추위에서의 운동 = 218
추위의 순응 = 218
CHAPTER 13 트레이닝 생리학 = 223
트레이닝의 원리 = 224
과부하의 원리 = 224
특이성의 원리 = 225
트레이닝 연구방법 = 225
지구력 훈련과 최대산소섭취량 = 225
트레이닝과 최대산소섭취량의 변화 = 225
최대산소섭취량 : 심박출량과 동정맥산소차 = 226
1회 박출량 = 227
동정맥산소차 = 229
트레이닝 중지와 최대산소섭취량 = 229
지구력 트레이닝이 경기력과 항상성에 미치는 영향 = 230
생화학적 적응현상과 산소결핍 = 231
생화학적 적응현상과 혈장 포도당 농도 = 232
생화학적 적응현상과 혈중 pH = 233
생화학적 적응현상과 젖산제거 = 234
지구력 트레이닝 : 근육과 계통 생리학 = 235
말초신경 순환계 = 236
중추명령 체계 = 236
근력 트레이닝의 생리적 효과 = 238
근력을 증가시키는 생리적 기전 = 238
신경적인 요인 = 238
근육의 크기 증대 = 239
근비대와 근섬유 증식 = 239
근력 및 지구력 트레이닝 = 240
SECTION Ⅱ 건강과 체력에 관련된 생리학
CHAPTER 14 건강과 질병의 유형 : 역학과 생리학 = 247
역학 = 248
관상동맥 질환 = 250
위험인자로서 신체적 비활동성 = 251
생리학 = 252
합성 = 254
CHAPTER 15 심폐 기능 평가 = 257
검사 절차 = 258
의학적 검사 = 258
안정시와 운동시 측정 = 260
심폐 기능 평가를 위한 현장 검사 = 260
최대 달리기 검사 = 260
걷기 검사 = 261
캐나다 가정 체력 검사 = 262
운동부하 검사 : 측정 = 263
심박수 = 263
혈압 = 263
심전도 = 263
운동 자각도 = 264
종료 기준 = 264
최대산소섭취량 = 265
최대 운동시 최대산소섭취량의 평가 = 265
최대하 수준의 심박수 반응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의 평가 = 266
운동부하 검사 : 방법 = 267
트레드밀 = 267
자전거 에르고미터 = 269
스텝 검사 = 272
CHAPTER 16 건강과 체력을 위한 운동 처방 = 277
운동 처방 = 278
운동량과 반응 = 279
신체활동과 건강 = 279
체력 증진을 위한 일반적인 지침들 = 280
사전조사 = 281
발달단계 = 281
준비운동과 정리운동 그리고 스트레칭 = 281
심폐 기능 향상을 위한 운동 처방 = 282
빈도 = 282
지속시간 = 282
강도 = 282
신체활동 단계 = 285
걷기 = 285
조깅 = 286
게임과 스포츠 = 287
근력과 유연성 훈련 = 287
환경관련 요인 = 287
CHAPTER 17 성인병을 위한 운동 = 291
당뇨병 = 292
운동과 당뇨병 = 293
천식 = 295
원인 = 296
천식의 예방 및 회복 = 296
운동 유발성 천식 = 297
만성 폐쇄성 폐질환 = 298
검사와 훈련 = 299
고혈압 = 299
심장재활 = 300
환자분류 = 300
검사 = 301
운동 프로그램 = 301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 301
노인 = 302
임산부 = 303
CHAPTER 18 건강을 위한 신체구성과 영양 = 309
영양 목표 = 310
영양 기준 = 311
영양소의 종류 = 312
물 = 312
비타민 = 312
미네랄 = 312
무기질 = 313
탄수화물 = 317
지방 = 320
단백질 = 321
음식섭치 권장기준과 식이목표 달성 = 323
식품군 계획 = 323
식이 평가 = 323
신체구성 = 324
신체구성 측정 방법 = 324
신체구성의 두가지 구성성분 체계 = 327
건강과 체력을 위한 체지방 = 331
비만과 체중조절 = 331
비만 = 331
식이, 운동 그리고 체중조절= 334
에너지와 영양 균형 = 335
식이와 체중조절 = 336
에너지 소비와 체중조절 = 337
SECTION Ⅲ 경기력 향상을 위한 생리학
CHAPTER 19 경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53
피로 원인 = 354
중추 피로 = 354
말초 피로 = 355
최대 무산소성 운동수행능력 제한 요인 = 357
초단시간의 운동수행(10초 마만) = 358
단시간의 운동수행(10∼180초) = 358
최대 유산소성 운동수행능력 제한 요인 = 359
단시간대의 운동수행(3∼20분) = 359
중간시간대의 운동수행(21∼60분) = 359
장시간대의 운동수행(1∼4시간) = 360
운동선수의 잠재적 능력 = 360
CHAPTER 20 운동수행 능력 평가를 위한 운동 검사 = 365
운동수행 능력의 실험실 평가 = 366
생리학적 검사 : 이론과 윤리 = 366
생리학적 검사의 가치 = 366
생리학적 검사의 제한점 = 367
효과적인 생리학적 검사의 구성요소 = 367
직접적인 최대유산소파워 검사 = 368
검사의 특이성 = 368
운동검사 프로토콜 = 368
장애 운동 선수의 최도 산소섭취량 결정 = 369
지구성 운동수행 능력 실험실 예측검사 = 370
운동수행 능력 평가에 대한 젖산 역치의 이용 = 370
임계파워의 측정 = 371
운동효율 검사 = 372
젖산 역치와 달리기 효율을 이용한 장거리 달리기의 경기결과 예측 = 373
무산소성 파워의 결정 = 374
초단시간 최대 무산소 파워의 검사들 = 374
단시간의 무산소 파워 검사 = 376
근력의 평가 = 377
근력 검사 방법의 선택 기준 = 377
등척성 근력 측정 = 378
등장성 근력 측정 = 378
등속성 근력 측정 = 379
가변 저항 근력 측정 = 380
CHAPTER 21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 383
트레이닝 원리 = 384
과부하, 특이성, 가역성 = 384
성별, 초기의 체력 수준, 유전의 영향 = 385
트레이닝의 구성요소 : 준비운동, 본운동, 정리운동 = 386
유산소성 파워 향상 트레이닝 = 386
인터벌 트레이닝 = 387
장거리, 저강도 운동 = 388
고강도, 지속성 운동 = 388
지구성 트레이닝과 상해 = 389
무산소성 파워 향상 트레이닝 = 389
ATP-PC 시스템 향상 트레이닝 = 389
해당작용 시스템 향상 트레이닝 = 389
근력 향상 트레이닝 = 390
점증 부하 운동 = 390
근력 트레이닝의 원리 = 390
프리 웨이트와 머신 웨이트 = 391
근력과 지구성 복합 트레이닝 프로그램 = 391
근력 트레이닝의 반응에 있어 성별차이 = 392
근육통 = 393
유연성 향상 트레이닝 = 393
운동선수의 연가 컨디셔닝 = 395
휴식기 컨디셔닝 = 395
시즌전 컨디셔닝 = 395
시즌기 컨디셔닝 = 395
트레이닝 오류 = 396
CHAPTER 22 여자선수, 아동, 특정집단을 위한 트레이닝 = 401
엘리트 여자선수의 훈련 중 고려사항 = 402
운동과 생리 장애 = 402
트레이닝과 생리 = 403
여자 선수와 식이장애 = 403
골 무기질 장애와 여자 선수 = 404
임신 중 트레이닝 = 404
아동을 위한 스포츠 컨디셔닝 = 405
트레이닝과 심폐계 = 405
트레이닝과 근골격계 = 405
당뇨병 환자를 위한 트레이닝 = 406
천식 환자를 위한 트레이닝 = 407
간질과 트레이닝 = 407
운동이 발작을 유발하는가? = 408
발작으로 인한 상해의 위험 = 408
CHAPTER 23 영양, 신체구성 및 운동수행 능력 = 411
영양과 운동수행 능력 = 412
탄수화물 = 412
단백질 = 416
물과 전해질 = 418
무기질 = 421
비타민 = 422
운동 전 식사 = 422
신체구성과 운동수행 능력 = 423
체형 = 423
체지방과 운동수행능력 = 424
CHAPTER 24 운동과 환경 = 429
고지 환경 = 430
대기압 = 430
단시간 무산소성 운동수행력 = 430
장시간 유산소성 운동수행력 = 431
고지 환경에서의 최대 유산소성 파워 = 432
고지대 적응 = 433
고지대 훈련 = 434
에베레스트 원정 = 434
열 = 438
고체온증 = 438
추위 = 441
환경적 요소 = 441
단열 요소 = 442
에너지 생성 = 443
저체온증 = 444
공기 오염 = 444
오존 = 444
아황산가스 = 444
일산화탄소 = 444
CHAPTER 25 운동능력 향상 보조물 = 449
연구 설계 = 450
영양 보충제 = 451
유산소성 운동수행 능력 = 453
산소 = 453
혈액 도핑 = 455
무산소성 운동수행 능력 = 456
혈액 완화제 = 456
약물 = 457
암페타민 = 457
카페인 = 458
코카인 = 461
니코틴 = 461
준비운동 = 462
부록 = 467
부록 A 산소섭취량과 이산화탄소 생성량의 측정 = 468
부록 B 다양한 활동의 에너지 평가 = 471
부록 C 신체활동의 운동처방 = 474
부록 D 일일 권장량 = 475
부록 E 일일 미네랄 권장 섭취량 = 478
부록 F 체중과 신장에 따른 에너지 섭취량 = 479
부록 G 남자의 체지방 평가 : 삼두근, 가슴, 견갑하근 피하지방의 합 = 480
부록 H 여자의 체지방 평가 : 삼두근, 복부, 상장골 피하지방의 합 = 481
용어정리 = 482
찾아보기 = 491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