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pre>
목차
서론 : 건강하게 살기 위한 식생활 = 15
제1장 영양소에 대한 기초지식 = 19
1.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 22
1.1 탄수화물 = 22
1.2 지방질 = 27
1.3 단백질 = 34
1.4 무기질 = 39
1.5 비타민 = 40
1.6 물 = 42
1.7 영양결핍증 = 42
2. 영양소의 소화·흡수 및 ...
목차 전체
<pre>
목차
서론 : 건강하게 살기 위한 식생활 = 15
제1장 영양소에 대한 기초지식 = 19
1. 영양소의 종류와 기능 = 22
1.1 탄수화물 = 22
1.2 지방질 = 27
1.3 단백질 = 34
1.4 무기질 = 39
1.5 비타민 = 40
1.6 물 = 42
1.7 영양결핍증 = 42
2. 영양소의 소화·흡수 및 대사 = 43
2.1 소화기관 = 44
2.2 영양소의 소화와 흡수 = 45
2.3 영양소 대사 = 49
제2장 식품에 대한 기초 지식 = 55
1. 식품의 영양적 의의 = 55
1.1 식물성 식품 = 57
1.2 동물성 식품 = 60
1.3 기타 식품 = 62
1.4 산·염기 평형과 산·알칼리성 식품 = 63
2. 식품의 조리적 의의 = 65
2.1 조리의 의미 = 65
2.2 조리와 식품의 영양가 = 66
2.3 식품의 폐기 부위와 영양가 = 66
2.4 수용성 성분의 손실 = 66
2.5 가열조리에 의한 득과 실 = 67
2.6 가열에 의한 영양소의 변화 = 67
3. 식품의 사회·심리·문화적 의의 = 68
3.1 힘의 상징 = 68
3.2 심리적 안정감의 부여 = 69
3.3 정신적 압박과 긴장감 해소 = 69
3.4 사회적 지위와 각종 상징적 표현의 매체 = 69
3.5 인간관계의 유대성 확립을 위한 매체 = 70
3.6 식품을 통한 창조성의 표현 = 70
3.7 감정 표현의 분화구 = 70
제3장 식생활과 문화 = 71
1. 문화와 식생활 = 71
1.1 문화와 식생활의 이해 = 71
1.2 식생활 문화의 형성 요인 = 74
1.3 식생활의 발전과정 = 77
1.4 21세기의 식생활 전망 = 81
2. 세계 식문화의 특징 = 82
2.1 동아시아 식문화의 특징 = 82
2.2 동남아시아 식문화의 특징 = 83
2.3 유럽 식문화의 특징 = 85
2.4 중남미 식문화의 특징 = 87
2.5 아랍 식문화의 특징 = 88
제4장 현대인과 가공식품 = 91
1. 가공식품 = 91
1.1 가공식품의 의의 = 91
1.2 식생활의 가공품화 = 92
1.3 가공식품의 기능과 특징 = 93
1.4 식품 가공공정 = 94
1.5 식품재료의 기본 가공 = 101
1.6 대표적인 가공식품 = 103
1.7 가공식품의 포장 = 107
1.8 최근 가공식품 동향 = 111
1.9 가공식품에 대한 욕구 변화 = 112
1.10 식품가공의 문제점 = 112
1.11 식품가공의 새로운 동향 = 113
1.12 가공식품의 유통 = 115
1.13 가공식품의 표시 = 116
2. 외식산업 = 118
2.1 우리나라 외식산업의 발전 = 118
2.2 외식산업 구조 = 120
2.3 캐더링 시스템 = 123
2.4 외식산업의 위생관리와 환경문제 = 124
3. 기능성 식품 = 128
3.1 기능성 식품의 정의 = 128
3.2 기능성 식품의 분류와 조건 = 129
3.3 식이섬유 = 130
3.4 올리고당 = 137
3.5 유지류 = 138
3.6 펩타이드류 = 142
3.7 기타 = 143
4. 건강식품 = 144
4.1 건강식품의 정의 = 144
4.2 자연식품과 무공해식품 = 144
4.3 한국의 건강식품 분류 = 145
4.4 건강식품 섭취 현황과 세계의 동향 = 146
4.5 건강식품의 제반 문제점 = 146
제5장 식품 안전성 = 149
1. 독성 평가 = 151
1.1 독성의 강도 = 151
1.2 독성 시험 = 152
2. 식품의 독성물질 = 155
2.1 자연식품 중의 유독 성분 = 155
2.2 곰팡이독(mycotoxin) = 155
2.3 농약 오염 = 157
2.4 식품첨가물 오염 = 160
2.5 식품가공에 의한 독성물질 = 164
2.6 중금속 오염 = 166
2.7 기타 유해물질 = 168
2.8 수입식품의 문제점 = 169
3. 내분비 교란물질 = 172
3.1 내분비 교란물질의 정의 = 174
3.2 내분비 교란물질의 종류 = 174
3.3 내분비 교란물질의 작용기구(reaction mechanism) = 176
3.4 식품의 내분비 교란물질 오염 = 177
3.5 내분비 교란물질이 생물체에 미치는 영향 = 180
3.6 내분비 교란물질 대책 = 182
4. 식품과 알러지 = 184
4.1 알러지의 본체 = 184
4.2 면역 네트워크(network) = 185
4.3 식품 알러지의 발현기전 = 186
4.4 식품 알러지의 5대 원인 = 187
4.5 식품 알러지 증상 = 189
4.6 식품 알러지의 진단과 치료 = 190
제6장 성장, 지능발달, 치아건강과 영양 = 191
1. 성장과 영양 = 191
1.1 발육에 관한 일반 사항 = 191
1.2 발육을 좌우하는 인자 = 193
1.3 세포의 성장 = 194
1.4 체성분의 변화 = 195
2. 지능발달과 영양 = 195
2.1 두 뇌 = 195
2.2 두뇌발달 시기 = 196
2.3 영양과 두뇌발달 = 197
2.4 영양과 지능발달 = 197
2.5 영양소와 두뇌기능 = 198
2.6 두뇌활동을 위한 에너지 공급원 = 201
3. 치아건강과 영양 = 201
3.1 치아 구조 = 201
3.2 태아 치아의 발달 = 203
3.3 젖니의 보호 = 203
3.4 충치 = 204
3.5 치주질환 = 205
3.6 치아건강 = 206
제7장 생주기와 영양 = 207
1. 태아의 영양 = 207
1.1 임신기간과 태아의 성장 = 208
1.2 태반과 영양소 공급 = 209
1.3 태아의 성장 = 209
1.4 태아의 체성분 변화 = 210
1.5 산모의 영양과 태아의 성장 = 210
1.6 임신 초기의 영양부족 = 210
1.7 임신 말기의 영양부족 = 210
2. 유아기(乳兒期) 영양 = 211
2.1 출생 후의 성장과 영양 = 211
2.2 모유영양 = 211
2.3 인공영양 = 213
2.4 혼합영양 = 213
2.5 이유기 영양 = 213
3. 유아기(幼兒期) 영양 = 217
3.1 유아기 또는 학령기 전 어린이의 영양 특징 = 217
3.2 식사 제공시의 문제점 = 218
3.3 유아기에 있어서의 식생활의 문제 = 220
3.4 어린이의 간식 = 221
4. 학령기·사춘기 영양 = 222
4.1 신체적 발육 = 222
4.2 기능과 체력의 발달 = 223
4.3 정신적 특징 = 223
4.4 남녀의 차이 = 224
4.5 발육촉진 현상 = 224
4.6 영양·식생활에 대한 문제와 주의점 = 224
4.7 보다 나은 발육을 위한 영양 = 226
5. 여성의 영양 = 227
5.1 가임기 여성의 영양 = 227
5.2 모성영양의 의의 = 228
5.3 갱년기의 영양 = 230
6. 중·고령기 및 노년기 영양 = 238
6.1 노화 학설 = 238
6.2 노화현상의 특징 = 241
6.3 노화 방지 = 244
6.4 노년기 생리상태의 변화 = 245
6.5 노년기의 영양관리 = 247
6.6 80세 이상 노인의 식생활 지도 = 250
6.7 건강하게 장수하려면 = 250
제8장 성인병과 식사 원칙 = 253
1. 비만증 = 254
1.1 에너지 필요량 = 254
1.2 정상체중과 비만체중 = 254
1.3 정상 체지방 함량 = 255
1.4 비만의 분류 = 256
1.5 비만도 측정 = 258
1.6 비만의 원인 = 259
1.7 지방 및 탄수화물 섭취와 비만 = 261
1.8 비만과 건강상의 문제 = 261
1.9 비만 치료 = 264
2. 순환기계 질환(Ⅰ):고혈압 = 265
2.1 고혈압의 분류 = 266
2.2 고혈압의 위험인자 = 266
2.3 고혈압과 뇌졸증 = 269
2.4 고혈압의 증상 = 269
2.5 고혈압의 진단 = 269
2.6 고혈압 환자의 치료 = 270
3. 순환기계 질환(Ⅱ):동맥경화증 = 273
3.1 동맥경화증의 위험인자 = 273
3.2 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 = 275
3.3 불포화지방산과 동맥경화 = 277
3.4 식이섬유와 둥맥경화 = 278
3.5 미량영양소와 동맥경화 = 278
3.6 항동맥경화성 식품 = 278
3.7 동맥경화증의 예방을 위한 식사지침 = 279
4. 당뇨병 = 279
4.1 당뇨병의 분류 = 280
4.2 당뇨병의 영양소 대사 = 281
4.3 당뇨병 증상 = 282
4.4 당뇨병 진단 = 284
4.5 당뇨병에 의하여 야기되는 질환 = 284
4.6 임신과 당뇨 = 286
4.7 당뇨병의 치료 = 287
4.8 당뇨병 환자의 주의할 점 = 289
4.9 당의 종류와 식품이 혈중 포도당 농도에 미치는 영향 = 289
5. 암 = 289
5.1 암에 의한 사망 = 290
5.2 암세포의 발생 = 291
5.3 유리기(free radical)와 암발생 = 293
5.4 발암물질 = 293
5.5 식품첨가물 = 297
5.6 공기와 수질 오염 = 298
5.7 방사선 = 298
5.8 연령과 암 발생률 = 299
5.9 암의 치료법 = 299
5.10 암 예방을 위한 식생활 = 300
제9장 기호식품과 건강 = 303
1. 커피와 건강 = 303
1.1 카페인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 304
1.2 카페인과 건강 이상 = 306
2. 차와 건강 = 308
3. 알콜과 건강 = 310
3.1 알콜의 흡수와 대사 = 310
3.2 알콜 섭취와 영양결핍 = 313
3.3 알콜 중독 과정 = 315
3.4 알콜 숙취증상과 숙취 해소 = 316
3.5 알콜 숙위증상과 숙취 해소 = 316
3.6 알콜에 의하여 야기되는 질환 = 318
3.7 알콜이 임신 및 태아에 미치는 영향 = 321
3.8 어린이와 알콜 = 321
3.9 알콜과 성기능 = 322
3.10 금주 증상 = 322
3.11 알콜환자의 치료 = 322
3.12 알콜의 섭취 현황 = 323
3.13 알콜의 안전섭취 수준 = 324
4. 흡연과 건강 = 324
4.1 흡연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 = 324
4.2 흡연과 질병 = 328
4.3 흡연과 비타민 = 328
제10장 채식, 운동과 건강 = 331
1. 채식과 건강 = 331
1.1 채식가의 형태 = 331
1.2 채식가의 이점 = 331
1.3 채식가의 영양상 문제점 = 332
2. 운동과 건강 = 334
2.1 체내 축적에너지 = 334
2.2 운동과 혈액순환 = 335
2.3 에너지 식품 : 탄수화물과 지방 = 335
2.4 운동선수와 음식 = 337
2.5 운동빈혈 = 340
2.6 스포트 음료 = 342
2.7 운동과 에너지 소비량 = 343
2.8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믿는 식품 또는 영양소 = 344
2.9 운동을 함으로써 오는 건강상의 이점 = 346
2.10 운동 경기중 영양소의 대사 = 347
부록 = 349
1. 식품분석표 = 351
2. 농산물 중의 농약잔류 허용 기준 = 366
3. 식품 첨가물의 종류 = 371
찾아보기 = 373
</pre>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