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정치정의에 힘쓴 탕평의 시대 = 9
제1장 도덕군자들의 붕당시대 = 27
1부 사림, 신세대 정치세력 = 29
2부 조선시대 각 당파가 존경한 성리학자의 모범 = 38
3부 무엇 때문에 싸웠는가? = 57
제2장 절대통치자에서 개혁정치가로, 영·정조시대 = 79
1부 조선시대의 군주권 = 81
2부 인간 영조, 정치가 영조 = 87
...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정치정의에 힘쓴 탕평의 시대 = 9
제1장 도덕군자들의 붕당시대 = 27
1부 사림, 신세대 정치세력 = 29
2부 조선시대 각 당파가 존경한 성리학자의 모범 = 38
3부 무엇 때문에 싸웠는가? = 57
제2장 절대통치자에서 개혁정치가로, 영·정조시대 = 79
1부 조선시대의 군주권 = 81
2부 인간 영조, 정치가 영조 = 87
3부 사도세자, 그 죽음의 해석 = 101
4부 학문정치의 주역, 정조 = 116
5부 외척, 또 하나의 정치세력 정순왕후 김씨와 벽파 정치집단 = 126
6부 혜경궁 홍씨와 『한중록』 = 136
제3장 합종과 연횡, 누가 이 시대를 움직였나? = 143
1부 붕당의 시대에서 탕평의 시대로 = 145
2부 영조년간 정치세력, 탕평당 = 153
3부 정조년간 탕평파, 청류당 = 159
4부 영조년간 탕평파의 이론가들 = 173
5부 정조가 특별하게 믿고 선택한 세정승 = 190
6부 정조년간 보수와 개혁을 대표하는 정치가 = 203
7부 정조가 내친 실력자, 홍국영 = 208
8부 다산 정약용과 정조 = 226
9부 박지원의 정치적 위치와 사회·경제에 대한 생각 = 238
10부 정제두와 소론 강화학파 = 252
제4장 화해와 화합의 정치로, 탕평의 시대 = 263
1부 18세기의 탕평론, 20세기 말의 탕평론 = 265
2부 탕평의 시대, 서민의 시대 = 274
3부 탕평정치의 목표와 전개 = 289
4부 탕평정치에서 배워야 할 정치원칙 8가지 = 304
5부 18세기 정치사가 남긴 과제-영·정조 개혁의 한계와 역사적 교훈 = 328
글을 마치며 = 332
주요 참고문헌 = 33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