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Ⅰ. 서론 ... 8
1. 동요의 정의 ... 8
2. 동요의 분류 ... 9
(1) �E요의 형태적 분류 ... 9
(2) 동요의 내용적 분류 ... 12
(3) 동요의 사회적 의의와 그 전통 ... 15
3. 창작동요사의 시기구분과 범위 ... 16
Ⅱ. 전래동요 ... 19
1. 전래동요의 교육적...
목차 전체
Ⅰ. 서론 ... 8
1. 동요의 정의 ... 8
2. 동요의 분류 ... 9
(1) �E요의 형태적 분류 ... 9
(2) 동요의 내용적 분류 ... 12
(3) 동요의 사회적 의의와 그 전통 ... 15
3. 창작동요사의 시기구분과 범위 ... 16
Ⅱ. 전래동요 ... 19
1. 전래동요의 교육적 의의 ... 19
(1) 언어발달 ... 19
(2) 신체발달 ... 26
(3) 음악감각발달 ... 42
2. 전래동요의 문화적 의의 ... 49
(1) 향토문화로서의 전래동요 ... 49
(2) 농경사회 문화로서의 전래동요 ... 59
3. 전래동요의 사회적 기능 ... 69
Ⅲ. 창작동요의 태동기 (1880-1926) ... 83
1. 태동1기 (1880-1905) ... 83
2. 태동2기 (1906-1919) ... 99
(1) 애국시가에서 창가로의 변화 ... 99
(2) 일본창가의 형성과정 ... 101
(3) 일본창가와 한국창가와의 비교 ... 104
(4) 학교를 통한 관제창가의 교육 ... 106
(5) 애국적 창가의 전국적 확산 ... 108
3. 태동3기 (1920-1923) ... 113
(1) 문화운동의 개막 ... 113
(2) 아동잡지의 출현 ... 116
(3) 아동운동 조직의 출현과 아동문화의 태동 ... 116
(4) 어린이잡지와 색동회 ... 120
(5) 초기 아동문학에 담긴 센티멘탈리즘의 문학적 배경 ... 121
4. 태동4기 (1924-1926) ... 125
(1) 아동운동 조직의 확대 ... 125
(2) 아동문화의 확산 ... 132
(3) 리얼리즘문학의 배경 ... 135
(4) 동요의 창작활동 ... 136
Ⅳ. 창작동요의 성장기 (1927-1935) ... 159
1. 성장1기(1927-1932) ... 160
(1) 동요운동의 흐름 ... 160
(2) 동요의 현실인식 ... 160
(3) 동요론 ... 188
(4) 동요의 음악적 성과 ... 214
(5) 동요의 문학적 성과 ... 229
2. 성장2기(1933-1935) ... 239
(1) 아동운동의 전개-아동운동 조직의 혼란 ... 239
(2) 동요의 음악적 발전 ... 241
(3) 동요의 현실인식의 심화 ... 244
(4) 동요의 이론화 작업 ... 249
Ⅴ. 창작동요의 암흑기 (1935-1945) ... 255
1. 암흑1기 (1935-1936) ... 255
(1) 아동잡지의 폐간 ... 255
(2) KAPF의 해체 ... 256
(3) KAPF의 해체 이후의 동요 ... 257
2. 암흑2기 (1937-1942) ... 260
(1) 황민화 정책 ... 260
(2) 친일파 군상 ... 263
(3) 친일 예술행각 ... 264
(4) 동요의 침체 ... 268
3. 암흑3기 (1943-1945) ... 274
(1) 객관적 정세 ... 274
(2) 동요사의 단절 ... 276
Ⅵ. 부록 ... 28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