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1. 총론
소설적 탐색의 진정한 방향과 의미 = 11
한국 현대소설의 영화적 기법 = 26
自省小說의 대두와 그 의미 = 51
우리 세대 批評의 시대적 立地 = 71
2. 작가, 작품론
인간학으로서의 소설 - 허윤석 『九官鳥』론 = 93
삶과 죽음에 대한 연금술석 탐색 - 박상륭 『죽음의 한 硏究』론 = 108
이청준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1. 총론
소설적 탐색의 진정한 방향과 의미 = 11
한국 현대소설의 영화적 기법 = 26
自省小說의 대두와 그 의미 = 51
우리 세대 批評의 시대적 立地 = 71
2. 작가, 작품론
인간학으로서의 소설 - 허윤석 『九官鳥』론 = 93
삶과 죽음에 대한 연금술석 탐색 - 박상륭 『죽음의 한 硏究』론 = 108
이청준 소설의 시학 = 127
不條理한 세계와 소설의 주인공 - 이문열의 영웅주의 = 159
변두리 歷史의 소설화 = 176
역사의 空洞과 역사소설의 위상 - 김원우 『憂國의 바다』론 = 186
도시적 삶, 그리고 삶 속에 내재한 죽음 - 안정효의 소설을 중심으로 = 202
한수산 초기소설의 사회적 유민의식 - 『浮草』와 『流民』을 중심으로 = 216
사실주의 명징성에 대한 두 개의 회의 - 최시한 『낙타의 겨울』, 최윤 『나는 더 이상 너가 아니다』 = 226
총체적 삶의 행위로서의 문학행위 = 238
3. 페미니즘 문학론
페미니즘 문학이론과 現代小說 = 253
한국 여성소설의 현단계 = 280
여성 성장소설의 제의적 국면 - 「바람의 넋」「나목」「사다리가 놓인 창」을 중심으로 = 306
여성시의 원천과 분만의 상상력 - 김승희, 최승자, 김혜순을 중심으로 = 328
여성비평적 시각에서 본 朴榮漢의 소설 = 349
여성성의 탐구와 그 소설화 - 오정희론 = 364
여성경험의 소설화와 揷話양식 - 박완서 『저문날의 揷話』론 = 387
일상의 거부와 실존의 확인 = 399
현대세계와 神話的 투시 - 김승희론 = 407
색인 = 43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