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서설
제1장 한국외교사 연구방법의 문제
1. 머리말 = 15
2. 외교사 연구의 인식론적 준거 = 16
3. 외교사 연구동향 및 기존 자료 = 18
1) 일반자료 및 연구물 = 20
2) 조선·일본관계 자료 및 연구물 = 22
3) 조선 ·영국·일본관계 자료 및 연구물 = 24
4) 조선·청국관계 자료 및 연구물 = 24
5)...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서설
제1장 한국외교사 연구방법의 문제
1. 머리말 = 15
2. 외교사 연구의 인식론적 준거 = 16
3. 외교사 연구동향 및 기존 자료 = 18
1) 일반자료 및 연구물 = 20
2) 조선·일본관계 자료 및 연구물 = 22
3) 조선 ·영국·일본관계 자료 및 연구물 = 24
4) 조선·청국관계 자료 및 연구물 = 24
5) 조선·러시아·미국관계 자료 및 연구물 = 25
4. 외교사연구의 접근방법 = 28
1) 국제체제적 접근방법 = 29
2) 역사적 접근방법 = 30
3) 과학주의적 접근방법 = 32
4) 정치경제적 접근방법 = 34
5. 외교사연구의 방법론적 시론 = 36
참고문헌 = 38
제2부 조선왕조 근대외교의 여명기
제2장 개항 전의 대외관계
1. 조선조의 정치외교사상 = 41
1) 전통적 한중관계 = 41
2) 조선·서양 상호간 최초인식 = 45
2. 서양제국의 대한수교요청 = 48
1) 서학의 전래와 프랑스의 개국시도 = 48
2) 최초의 수교요청국 = 51
3. 불·미의 대한함포외교 = 57
1) 한·불 전쟁-병인양요 = 57
2) 한·미 전쟁-신미양요 = 60
4. 여명기 조선왕조 외교의 성찰 = 63
참고문헌 = 65
제3장 개국외교 : 조·일 수호조약
1. 대원군의 대일정책 = 67
1) 대원군과 교린 규·격(規·格) = 67
2) 일본 정한론의 유래 = 71
3) 일본 유신정부의 대조선정책 = 75
2. 강화도조약의 체결배경 = 85
1) 국왕친정 정권의 대일정책 = 85
2) 일본의 대조선 강경정책 = 90
3) 운양호사건과 강화도수호조약 체결 = 95
3. 삼포개항과 조·일 무역의 개시 = 103
1) 강화도조약 부록 및 통상장정의 성립 = 103
2) 원산개항과 조·일간의 무역마찰 = 106
3) 김흥집 수신사의 도일과 그 영향 = 109
4) 조선의 개국정책과 인천개항 = 114
참고문헌 = 117
제3부 제국주의 열강의 대한정책과 한반도
제4장 1880년대 조선의 문제와 구미열강과의 외교관계
1. 머리말 = 121
2. 1880년대의 조선의 문제 = 123
1) 일본세력의 조선침투 = 123
2) 조·청 관계 = 126
3. 淸의 주선에 의한 외교관계 수립 = 130
1) 조미수호조약 = 130
2) 제1차 조영·조독조약 = 134
4. 조선의 자주적 외교 = 135
1) 제2차 조영·조독조약 = 135
2) 조러수호조약 = 136
3) 조불조약 = 138
5. 조선과 구미열강과의 외교관계수립의 외교사적 의의 = 140
6. 맺음말 = 142
참고문헌 = 144
제5장 한반도에 있어서 청의 진출(1882∼1885)
1. 서론 = 145
2. 제1차 서울사변(1882-1883) = 146
1) 서언 = 146
2) 임오군란 = 146
3) 청·일의 파병 = 148
4) 조·청·일의 교섭 = 151
5) 제물포 조약과 조·중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의 성립 = 152
6) 결어 = 155
3. 제2차 서울사변(1884∼1885) = 157
1) 서언 = 157
2) 갑신정변 = 157
3) 청·일 양군의 충돌 = 160
4) 조·청·일의 교섭 = 162
5) 한성조약과 천진조약의 성립 = 163
6) 결어 = 167
4. 맺음말 = 167
참고문헌 = 169
제6장 1880년대의 조·청·러 관계
1. 머리말 = 171
2. 비공식적 조·러 접촉 = 172
3. 조·러밀약과 청의 의도 = 180
4.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의도 = 187
5. 청의 대한정책 실패 = 190
6. 맺음말 = 193
참고문헌 = 194
제7장 갑오농민혁명과 청일전쟁
1. 청일전쟁 이전의 조선에 대한 청·일 양국의 이해관계 = 195
2. 갑오농민혁명의 국제적 확산 = 203
3. 일본의 내정 간섭과 갑오농민군의 항전 = 213
4. 열강의 조정과 강화 외교 = 223
5. 3국간섭의 진행 = 237
참고문헌 = 253
제4부 러·일 각축과 일제의 한반도 독점전략
제8장 청일전쟁 후 한국문제를 둘러싼 국제관계
1. 머리말 = 259
2. 일본세력의 한국 점거 = 260
1) 일본의 대한정책 전환 = 260
2) 민비시해사건 = 262
3. 러시아 세력의 한국 점거 = 269
1) 러시아의 동아시아 정책과 조선 = 269
2) 아관파천 = 271
4. 러·일 공존과 한반도 현상유지 = 279
1) 니시(西) - 로젠 협상 = 279
2) 한반도 현상유지 = 281
5. 맺음말 = 284
참고문헌 = 286
제9장 한반도에서의 열강의 이권획득 외교
1. 머리말 : 이권의 개념과 특징 = 287
2. 불평등조약체제와 일본의 이권침탈 = 290
3. 제2차 개항기의 열강의 이권획득 = 292
4. 아관파천 직후의 열강의 이권침탈 = 302
5. 1900년 이후의 열강의 이권침탈 = 314
6. 맺음말 : 열강의 이권침탈의 귀결 = 319
참고문헌 = 322
제10장 러·일전쟁과 한국문제
1. 러·일의 만한정책 = 325
2. 영일동맹 = 330
3. 전쟁의 원인과 양상 = 333
4. 강화외교 = 340
5. 국권의 상실 = 345
참고문헌 = 353
찾아보기 = 35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