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테크놀로지와의 협업을 통한 음악 창작 수업 지도안 개발 연구 : 비판적 사고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Music Composition Lesson Plan through Collaboration with Technology :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 김영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5]
-
2.
- 일제강점기 유행가의 음악적 특징 분석 : 음악 양식 분류를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Musical Characteristics of Yu-haeng-g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Classification of Music Styles
- 배샛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
3.
- 창의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음악교과 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Teaching Model of Effective Music Class to Improve Creativity
- 홍지은,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4.
- 뮤직비디오의 창의적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작품 연구 : - 작품 <Casual Love>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Creative Kinetic Typography Works in Music Videos
- 옌홍리,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5.
- 바로크 시대와 낭만 시대의 오르간 프렐류드 푸가 비교 연구 : J. S. Bach Prelude and Fugue BWV 535와 J. Brahms Prelude and Fugue WoO 10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Organ Prelude and Fugue in the baroque and romantic period : focused on BWV 535 by J. S. Bach and WoO 10 by J. Brahms
- 이미경, 가톨릭대학교, [2019]
-
6.
- 뮤지컬 제작과정에서의 제작진 상호관계 설정에 관한 연구
- 전정수, 中央大學校 藝術大學院, [2013]
-
7.
- J.S. Bach의 敎會칸타타(No.4)와 世俗 칸타타(No.211)의 比較硏究
- 강상래, 慶熙大學校, [1991]
-
8.
- Transceiver Designs and Analysis for LTI, LTV and Broadcast Channels - New Matrix Decompositions and Majorization Theory
- Liu, Chih-Hao,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2013]
-
9.
- 유∙아동의 감성을 키워주는 교육완구의 디자인 연구
- 이미연, 弘益大學校 大學院, [2016]
-
10.
- R. Strauss의 가곡 Op.68 Sechs lieder(Brentano Song)에 대한 연구 = (A) Research of Richard Strauss's Song, "Brentano Song"
- 최영란, 梨花女子大學校 敎育大學院, [19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