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매체전환 콘텐츠의 서사적 아이덴티티 : <공각기동대> 시리즈를 중심으로 = The Narrative Identity of Media Transformation Content: Focused on the <Ghost in the Shell> Series
- 강재성,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0]
-
2.
- <매트릭스>와 <공각기동대>에 나타난 Sci-Fi 영상문화 비교연구 : 크리스티앙 메츠와 자크 라캉 이론을 중심으로 = A Cross Cultural Study on Sci-Fi Visual of <Matrix> and <Ghost in the Shell>
- 김경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
3.
- 일본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제국주의적 욕망과 이데올로기 : <공각기동대>와 <인랑>을 중심으로 = Imperialistic desire and ideology in Japanese animation : the case study of Ghost in the Shell and Jinroh
- 이은숙,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4]
-
4.
- 애니메이션영화의 시점 연구 : 오시이 마모루의 <공각기동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oint of View in Animated Films : Focusing on <Ghost in the Shell> by Oshii Mamoru
- 강지원,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05]
-
5.
- 사이보그 캐릭터 유형의 변이 연구 : <공각기동대>의 매체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ariation of Cyborg Characters : Focusing on the media changes of <Ghost in the Shell>
- 애홍연, 한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6.
- 애니메이션과 실사영화의 미장센 비교연구 : <공각기동대>와 <블레이드 러너>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n Mise-en-Scene on Animation and Live-Action Movies : Focusing on <Ghost In The Shell> and <Blade Runner>
- 금보상,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2004]
-
7.
- 애니메이션과 디지털 영화의 액션 시퀀스 구성과 비교 : <공각기동대>, <인랑>을 중심으로 = Study of Animation and Digital Film Compare to Action Sequence Configuration - Focusing on <Ghost in the Shell> and <Jin-Roh> -
- 김계원, 국립순천대학교대학원, [2025]
-
8.
- Breaking out ghost in the shell, in and beyond the matrix : embodied communication and the posthuman body subjectivity
- You, Lujia,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
9.
- 사이버펑크 영화에서 사이보그 이미지의 크로스미디어 서사 변인에 대한 연구 : - < 공각기동대 >,< 블레이드 러너 >,< 매트릭스 >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Cross-Media Narrative Variables of Cyborg Imagery in Cyberpunk Films - Focusing on < Ghost in the Shell >, < Blade Runner >, and < The Matrix > -
- 종청하오,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5]
-
10.
- Contrasting patterns of habitat-specific recruitment success in sympatric species of thalassinidean shrimp: Effects of epibenthic bivalve shell with implications for population control in areas with commercial oyster culture
- Feldman, Kristine Ladyka, University of Washington,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