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마리 리(Marie G. Lee) 소설의 상호문화성 연구 : 호미 바바(Homi K. Bhabha)의 비평이론을 중심으로 = A Study of Interculturality through Marie G. Lee’s Novels :Focusing on Homi K. Bhabha’s Critical Theory
- 김명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
2.
- 바바 Homi K. Bhabha의 탈식민 이론 연구 : 차이의 정치학 = A Study of Homi K. Bhabha's Postcolonial Theory
- 지봉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
3.
- 호미 바바(Homi K. Bhabha)의 탈식민주의 관점으로 본 잉카 쇼니바레(Yinka Shonibare MBE)의 미술적 실천
- 하정민, 영남대학교, [2017]
-
4.
- 호미바바(Homi K. Bhabha)의 혼종성(hybridity)을 통한 종교성 재구성에 관한 연구
- 이성애,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
5.
- 한국 해외입양인 소재 영화에 나타난 '제3의 공간'연구 : 호미 바바의 탈식민 이론을 중심으로 = (The) Study of "Third Space" in the Korean Films about Korean Overseas Adoptees : From the Perspective of Homi K.Bhabha's Postcolonialism
- 채병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4]
-
6.
- 호미 바바의 탈식민적 시각으로 본 코리안 아메리칸 작가 및 전시 연구: 바이런 킴과 마이클 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American Artists and Exhibitions from Homi K. Bhabha’s Postcolonialism Key Concepts Especially about Michael Joo and Byron Kim
- 이윤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1]
-
7.
- 호미 바바에 있어 혼종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 : 잉카 쇼니바레와 코디 최의 작품을 중심으로
- 이예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9]
-
8.
- 혼성성의 건축적 의미 : 호미 바바의 혼성성과 알바 알토의 건축을 중심으로
- 강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
9.
- "The spell of continuity was consequently broken": Third-space masculinity in Austen, Gore, Bronte, and Eliot
- Donald, Stacey Alicia, The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2013]
-
10.
- Strategies of indirection in African American and Irish contemporary fiction: Zora Neale Hurston to Toni Morrison, and Mary Lavin to Eilis Ni Dhuibhne (Mikhail Bakhtin)
- Fulmer, Jacqueline Mari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