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35건 중 235건 출력
,1/24페이지
-
1.
- 권위주의 체제전환의 특징과 민주주의 공고화의 관계 : 4.19항쟁과 6월항쟁 비교연구 = Relations between democratic transition and democracy consolidation
- 박상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
2.
- 홍콩 우산운동과 한국 6월항쟁 성패요인 분석 : 정치 행위자를 중심으로
- 정해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
3.
- 한국 지배관계의 변화와 시민사회의 발전에 관한 연구 : 6월항쟁 이후 국가의 포섭과 시민·사회세력의 대응 = (A) study on the transformation of dominance relation and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in Korea : Co-option by state and state and counteraction of civil-social force after June democratic struggle
- 이영제,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9]
-
4.
- 한국민주주의운동의 비교연구 : 4.19혁명.광주민중항쟁.6월민주항쟁을 중심으로 = (A)comparative study on democracy movement in South Korea
- 정재호, 조선대학교, [2003]
-
5.
- 6월항쟁의 이중적 성격과 민주주의 공고화의 문제 = June democratic struggle's double character and the problem of demoracy consolidation
- 김주원, 한국교원대학교, [2004]
-
6.
- 2015 개정 교육과정 6학년 사회과 검정교과서 서술 분석과 수업 방안 연구 : 6월 민주 항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criptive Analysis and Class Plan of the Social Curriculum Test Textbook for the Sixth Grad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Focusing on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
- 권영신,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
7.
- 6월 항쟁의 발생국면에서 국민운동본부의 역할에 대한 연구 = (The) role of the 'Kukmin Undong Bonbu' in the June struggle outbreak Phase
- 최종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
8.
- 한국 가톨릭교회의 사회정의활동에 관한 교회사적 고찰 : 유신체제부터 6월 항쟁까지 = Church historical consideration on social justice activity
- 이대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
9.
- 중학교 <역사> ‘6월 민주 항쟁’ 수업 방안
- 홍오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
10.
- 역사적 상상력 신장을 위한 역사만화 활용 수업 방안 연구 : 최규석의 『만화로 보는 6월 민주 항쟁 100℃』를 중심으로
- 허승권, 한신대학교,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