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문학 능력'을 바탕으로 한 문학 교과서 검토 및 단원 구성 제안 : 7차 교육과정 '수용과 창작' 영역을 중심으로
- 채주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2.
- 노들장애인야학의 성인발달장애인 교육연구 : 사회참여, 배움, 노동을 중심으로
- 노규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3.
- 조선문학가동맹의 탈식민 주체성 연구 : 신탁정국에서 민주주의 민족문학론과 민주주의 민족전선의 연대를 중심으로
- 최은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4.
- 『아프니까 청춘이다』의 중국어 번역을 통해 본 한중 청년 담론 비교 연구
- 이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
5.
- 한중 양국의 『엉클 톰스 캐빈』 번역 양상 비교 연구 : 린수 『黑奴籲天錄』과 이광수 『검둥의 설움』을 중심으로
- 지커루,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6.
- 한국 당대 분단영화의 지정학과 동포 표상 : 영화 <강철비>와 <공작>을 중심으로
- 김성래,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7.
- 서광제 연구 : 할리우드와 소비에트 사이, 식민지 모더니티를 중심으로
- 정예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8.
- 문화냉전기구의 형성과 변동 연구, 1954~1968 : 한국 지식인의 문화적 자율성 모색을 중심으로
- 최진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9.
- 한·중·일 현대 구미호 이미지의 비교연구 : <전설의 고향>, <봉신방(封神榜)>, <나루토(NARUTO-ナルト-)>를 중심으로
- 장완로,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
10.
- 마스다 와타루(增田涉)를 통해 본 루쉰 문학과 문학사
- 진중우, 성균관대학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