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1980년대 베트남 난민의 한국 유입과 “가짜난민” 담론 : 중국으로 귀환한 베트남 화교 난민을 중심으로 = The influx of Vietnamese refugees to Korea and the discourse of “fake refugees” in the 1980s : Centered on Vietnamese Chinese refugees who returned to China
- 이원정,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
2.
-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6.10만세운동 서술 연구 = A descriptive study on '6.10 Cheer Movement' in the 7th curriculum textbook
- 최은주, 성신여자대학교, [2009]
-
3.
- 초기 대한부인회(1949~54)의 정치적 자율성 = (A)study on the political autonomy of the early Korea women's association in 1949~1954
- 송지윤, 성신여자대학교, [2010]
-
4.
- 1989년 평양 세계청년학생축전을 둘러싼 한국 정부와 전대협의 협상 = The negotiation between Korean government and Jeondaehyup(National Council of University Student Representatives) on the 13th World Festival of Youth and Students
- 정선화,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
5.
- 삼청교육대와 빈민통제
- 손광명, 성신여자대학교, [2016]
-
6.
- 7차 교육과정 한국근현대사 교과서의 자유시 참변 서술 연구 = (A)study on the description of the free city incident in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textbooks under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 조한나, 성신여자대학교, [2007]
-
7.
- 유신체제기 문예진흥기금의 조성과 운용 : 문예지 원고료 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김다미, 성신여자대학교, [2009]
-
8.
- 부일협력 문제에 대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분석 = The analysis o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regarding Japanese collaboration issues
- 정소영,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9.
- 전두환 정권기의 유화국면과 학원안정법 반대운동 : 야당.민주화운동세력의 연대형성을 중심으로
- 안정희, 성신여자대학교, [2009]
-
10.
- '서대문형무소'를 활용한 독립운동사 수업 모형 연구 = Study on the learning model of the history of independence movement by using 'Seodaemun prison'
- 박수진, 성신여자대학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