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56건 중 156건 출력
,1/16페이지
-
1.
- 동북아 다자간안보협의체 구상과 실현 방안에 관한 연구 : '헬싱키 프로세스'의 함의와 '제주 프로세스'에의 적용을 중심으로
- 강병철,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2]
-
2.
- 미국 인권외교정책의 지속성과 변화에 관한 연구 : 헬싱키체제에서의 인권외교와 북한인권법의 비교 = (A) study on the consistency and the change of U.S. human rights foreign policy
- 나동섭,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
3.
- 헬싱키체제와 유럽통합 : 신유럽질서형성을 중심으로
- 여문환, 西江大學校, [1991]
-
4.
- 북한 인권 : 헬싱키체제의 교훈
- 석지희, 고려대학교, [2005]
-
5.
- 헬싱키 선언의 개정내용에 대한 연구
- 박미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
6.
- 헬싱키 인권체제 탄생의 정치학
- 백종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
7.
- (The) role of the Basket III of the Helsinki Final Act in improving human rights in the USSR and its implications for North Korea = 헬싱키 최종의정서 제 3 바스킷이 소련의 인권개선에 미친 영향과 북한에 대한 함의
- Lee, Daniel,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2009]
-
8.
- 환경성 석면 노출에 대한 헬싱키 기준 적용에 관한 고찰: 폐암환자의 폐 조직에서 분석된 석면 섬유의 특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elsinki Criteria to environmental asbestos exposur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sbestos fibers analyzed in lung tissue of lung cancer patients
- 김대종,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0]
-
9.
- 유럽안보협력회의(CSCE)의 형성과정을 통한 유럽안보레짐의 성격 : 헬싱키 CSCE(1975년)에서 부다페스트 CSCE(1994년)까지
- 유경숙, 慶北大學校, [1996]
-
10.
- (An) analysis of Finland’s foreign policy and Helsinki process :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on Northeast Asia and the Korean Peninsula
- 한창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