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수학동화를 이용한 수학일기 쓰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수학전문학원의 수학동화 수업을 통한 연구
- 박정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
2.
- 17세기 무반(武班)의 일기 소재 시조 작품 연구 : 『부북일기(赴北日記)』·『송계잡록(松溪雜錄)』을 중심으로
- 최지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
3.
- 유년기 일기를 형상화 한 도자조형 연구
- 김유빈,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6]
-
4.
- 발상방법으로서 일기와 오브제를 접목한 미술 수업모형 개발 : 중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 김원혜,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5.
- 秋江 南孝溫의 遊覽記 硏究
- 정윤점, 동국대학교, [2013]
-
6.
- 이문열의 자전적 소설 연구 = A Study on Lee Mun-yeol’s Autobiographic Novels
- 홍영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3]
-
7.
- 교산 허균의 사행 한시 연구 : 『乙丙朝天錄』을 중심으로
- 오가현, 울산대학교, [2009]
-
8.
- 개인과 공동체의 경계지대 : 카프카의 문학에 나타난 공동체 연구 = Grenzland zwischen Individuum und Gemeinschaft: Eine Studie zu Gemeinschaften in Fraz Kafkas Literatur
- 이지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
9.
- 解體する「女の物語」としての『源氏物語』論
- 김영심, 名古屋大學, [1998]
-
10.
- 現代美術 敎授方法에 있어서의 三絶思想 美術敎育의 接近 方法에 관한 硏究 = Study for samceo fine art education approach method in modern art teaching method
- 유재만,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