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58건 중 258건 출력
,1/26페이지
-
1.
- 진주한량무 색시춤의 몸짓언어 연구
- 박옥란, 경상대학교, [2012]
-
2.
- 전주 한량무 형성과 춤사위에 관한 연구 : 금파 김조균 선생의 춤을 중심으로 = The study about formation of HANRYANG DANCE and dance movement in JeonJu
- 배혜국,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
3.
- 朝鮮後期 閑良職役者 硏究 : 朝鮮後期 職役硏究의 一環으로
- 이동규, 성균관대학교, [2013]
-
4.
- 閑良舞의 來歷과 춤의 구성체계 : 경남무형문화재 제3호 閑良無를 중심으로
- 박계현,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7]
-
5.
- 한량무의 인물 유형별 춤사위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 서울특별시 무형문화재 제45호를 중심으로
- 황규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2]
-
6.
- 「한량무」에 내재된 연희성의 현대적 의미 : 서울시 무형유산「한량무」를 중심으로
- 김서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
7.
- 한량무의 지역별 비교 연구 : 부산·서울 경기지역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배라영, 부산대학교, [2018]
-
8.
- 진주한량무와 카타칼리의 비교분석 = Comparative alaysis of Jinju Hanryangmu Dancing and Katakali
- 반숙희, 창원대학교, [2015]
-
9.
- 진주한량무의 극적구성에 따른 배역별 춤사위 분석 =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s’Dance Styles of Jinju Hallyang Dance Based on the Dramatic Structure
- 최정호,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5]
-
10.
- 조흥동류 한량무를 통한 남성적 표현성 연구 = A Study on Masculine Expressivity through Cho Heung-dong-ryu Hallyangmu
- 박상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