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061건 중 1,000건 출력
,1/100페이지
-
1.
- 韓國漢詩의 意境設定 方法과 樣相에 대한 硏究 : 朝鮮時代 詩話集 所載詩를 資料로 하여 = 韓國漢詩的意境設定之方法與樣相硏究
- 성범중,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
2.
- 한국한시의 풍속연구 : 제 시화집에 나타난 주요 평어를 중심으로
- 조영임, 충북대학교, [1994]
-
3.
- 한국한시에 나타난 우화시의 전개양상 = Development Aspects on Allegorical Poems of Korea Sino-Poetry
- 윤종배,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8]
-
4.
- 韓國懷古漢詩에 나타난 詩語의 心像硏究
- 엄경흠, 東亞大學校, [1988]
-
5.
- 韓國漢詩硏究 : 高等學校 漢文敎科書에 揭載된 詩를 中心으로
- 안종남, 弘益大學校, [1991]
-
6.
- 形成期 韓國漢詩 硏究
- 김은정,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6]
-
7.
- 한국 한시(漢詩)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 : 중국어권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 김세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
8.
- 韓國 漢詩의 黃庭堅 詩法 受容樣相 硏究
- 육가위, 中央大學校 大學院, [2020]
-
9.
- 한시를 활용한 베트남 고급학습자의 한국어 읽기교육 방안 연구 : 권근(權近)의 「차운예문제자부매(次韻藝文諸子賦梅)」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Methods of Korean Reading Education for Vietnamese Advanced Learners : Based on Chinese Poetry,「次韻藝文諸子賦梅」 written by Gwon Geun
- 르우티낌옌,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
10.
- 韓國 漢詩 理論으로서의 用事論과 點化論 硏究 = (A) Study of 'Yongsa'(用事) and 'Jeomhwa'(點化) as Korean 'Hanshi'(漢詩) Theory
- 윤인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