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1970~80년대 여성 노동 운동사 다시 쓰기 : <우리들은 정의파다>, <꽃다운>, <스와니: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 = A study o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in South Korea's rewriting of the history of women's labour movement : We are not defeated(2006), We shall overcome(2009), Swany-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2014)
- 김선명,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
2.
- 한국YWCA운동의 실천적 기독교 여성주의에 관한 연구 : 정체성·조직·리더십을 중심으로
- 유성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
3.
- 인도네시아 이부운동에 나타난 여성주의적 함의에 관한연구 : ‘거르와니(Gerwani)’와 ‘수아라 이부 페둘리(Suara Ibu Peduli)’를 중심으로
- 최형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
4.
- ‘적극적 평화’의 관점에서 본 1970년대 여성노동자 생활사 학습 = (An) Strategy on Teaching Life History of Female Workers in the 1970s from a Viewpoint of "Positive Peace"
- 김효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5.
- 여성독립운동가 기념관 계획 : 서대문 형무소 일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morial of female independence activists by architectural scenarios : focused on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area
- 고한솔, 건국대학교, [2019]
-
6.
- 뉴라이트`교과서포럼`의 역사인식과 그 비판
- 박귀미,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
7.
- 포스트생존자 시대를 위한 일본군 ‘위안부’ 연구 : 대구·경북지역 지원활동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for the Post-Survivor Era : Focusing on Support Activists in the Daegu-Gyeongbuk Area
- 손선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4]
-
8.
- 헤테로토피아 특성에 의한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의 전시 체감도 및 선호도 분석에 관한 연구
- 최유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9]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