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위한 수필을 통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Writing Education through Essay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Korean Learners
- 전정환, 경인교육대학교, [2018]
-
2.
-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효율성 제고 방안 연구 : - 외국인 전담학과(부)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Enhancing the Effici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 Focused on Departments Dedicated to International Students
- 엄인숙,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4]
-
3.
-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사고도구어 교육 방안 연구 : 한국어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서론을 중심으로
- 장치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
4.
- 몽골 전래 동화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지도 방안 : 재한 몽골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 (The) research on Korean vocabulary lessons using the Mongolian traditional fairy tales : making the Mongolian students in Korea the subject of study
- 김주희,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2005]
-
5.
- 정부 지원 한국어·한국문화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 한국국제교류재단 한국어펠로십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이혜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
6.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구어 담화표지 교육 연구
- 류나, 서울대학교, [2016]
-
7.
- 드라마 <별에서 온 그대>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n Korean vocabulary education using the drama <My Love from the Star>
- 박경선,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2]
-
8.
- 중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학술 보고서 쓰기 교육 방안 연구 : 국어국문학과 대학원 신입생을 대상으로
- 연우진,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
9.
- 다문화 가정의 미용교육 경험 및 관심도와 요구분석
- 박루디아, 성결대학교, [2018]
-
10.
- 요구 분석을 통한 한국 언어·문화 교육과정 개발 방안 : 외교관 학습자를 중심으로
- 송윤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