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84건 중 384건 출력
,1/39페이지
-
1.
- 한국 YMCA운동과 민족운동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고찰 항일 독립운동을 중심으로
- 김덕정, 서울신학대학교, [2002]
-
2.
- 쟁점 기반 역사학습을 통한 독립운동사 교육 :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사례로
- 이금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2]
-
3.
-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1970~80년대 여성 노동 운동사 다시 쓰기 : <우리들은 정의파다>, <꽃다운>, <스와니: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 = A study o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in South Korea's rewriting of the history of women's labour movement : We are not defeated(2006), We shall overcome(2009), Swany-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2014)
- 김선명,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
4.
- 在滿韓人의 抗日獨立運動史硏究 : 1910-1920年의 獨立運動團體를 中心으로 = A stud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s of Korean people in Manchuria
- 오세창, 成均館大學校, [1988]
-
5.
- 1920年代 在露韓人獨立運動의 分化過程 : 李東輝의 活動을 中心으로
- 이탁, 嶺南大學校 大學院, [1987]
-
6.
- 心山 金昌淑의 民族獨立運動
- 권기훈, 建國大學校, [1989]
-
7.
- 일본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詳說日本史』(山川出版社)의 한국 식민지시기 서술에 대한 縱斷 硏究
- 구연수,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8.
- 공간의 역사성과 한국근현대사의 역사체험학습방안 :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중심으로
- 손예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
9.
- 교과서의 근대여성사 서술 분석과 교수법 연구 : 『고등학교 한국사』를 중심으로
- 김도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
10.
- 대한민국 임시정부 민주공화정의 형성과 변동 과정에서 독립노농당 아나키즘 연구
- 박정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