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콘텐츠 창조적 공유지로서 역사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연구 : - 한국국학진흥원 스토리테마파크를 중심으로 -
- 조정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
2.
- 조선후기 판각기술 연구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 이운천, 韓國傳統文化大學校 文化遺産融合大學院, [2018]
-
3.
- 韓國國學振興院의 立地 및 配置에 關한 風水地理的 硏究 = (The) study of Feng-shui on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Korean studies advancements center
- 하국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4]
-
4.
- 한국 차문화와 문화유전자의 상관성 연구 =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Korean Tea Culture and Cultural Genes
- 김정,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8]
-
5.
- 한국문화DNA를 활용한 한국홍보포스터에 관한 연구 :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 강민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
6.
- 한국 유교책판의 활용방안 연구 : 기록유산의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 이일수,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16]
-
7.
- 한국 사주명리의 활용양상과 인식체계 = Utilization patterns and perception systems of Korea's Saju-myeongri(四柱命理)
- 김만태, 安東大學校, [2010]
-
8.
- 민간기록물 수집 및 관리에 관한 제도 개선방안 연구
- 김지훈,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22]
-
9.
- 조선시대 사료 기반 역사콘텐츠의 현대적 재현과 제작
- 이규철,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0]
-
10.
- 고문서 웹서비스현황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Real Situation of Web Service for Historical Manuscripts and Measures for Its Advancement
- 안상민, 충남대학교,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