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근대 이전 한국 문학의 시각 정체성 연구 : 한국 고전소설 전집 표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 문해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
2.
- 고전서사 속 ‘나쁜 엄마’의 유형과 자녀의 대응에 대한 연구 : 계모설화를 중심으로 한 문학치료학적 고찰 = Countermeasure Research for Negative Maternal Relationships in Korean Classical Narratives; Literary Therapy with the Observation of Stepmother Tales
- 우진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5]
-
3.
- 『겐지모노가타리(源氏物語)』의 한국어 번역 고찰 : 「기리쓰보(桐壺)」권을 중심으로 = 『源氏物語』の韓国語の翻訳の考察 -「桐壺」巻を中心に-
- 양예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
4.
- 『황구연전집』설화 연구 : 다중적 의식세계와 미적 지향을 중심으로
- 최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
5.
- 한국과 일본의 계모설화(繼母設話)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folktales about stepmothers
- 박연숙, 계명대학교, [2010]
-
6.
- 중국소설 『서유기』의 한국어 번역 및 수용 양상 : 박태원, 김용제, 최인훈을 중심으로
- 최유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
7.
- 한국십진분류법에 기반한 학교도서관 소설장서의 장르 분류 방안에 관한 연구
- 박은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
8.
- 유치환 문학에 나타난 도덕론적 문학관과 선비정신
- 임승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
9.
- 고전소설 기반 독서토론논술 지도 모형 개발 연구 = Development of the instructional model for literacy based on the classical novels
- 김광원, 가톨릭대학교, [2016]
-
10.
- 興夫傳 : Heungbu-Jeon : 이옥순
- 이옥순, 충주대학교 경영·행정·외국어대학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