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청각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초기 발성 및 음운발달 비교 = Comparison of Early Vocalization and Phonological Development of Hearing Impaired Infant and Typically Developing Infant
- 이미나,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22]
-
2.
- 비단어 따라말하기와 연령, 어휘 및 조음능력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among nonword repetition, age, vocabulary and articulation ability
- 정소미,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17]
-
3.
- 초등학교 저학년 말소리장애와 발달성 난독 아동의 음운처리 및 해독 능력 = Phonological processing and decoding abilitie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developmental dyslexia in early elementary school years
- 이라연, 한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
4.
- 구개열 영유아, 말 늦은 영유아, 일반 영유아의 초기 어휘와 음운 특성 = Early Lexical and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Children with Cleft palate, Late Talking Children,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피민경,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7]
-
5.
- 구개열, 일반 영유아의 초기 발성 및 음운, 표현어휘 발달 비교 = Comparisons of early vocalization and later phonological and expressive vocabulary development in infants with and without cleft palate
- 박보라, 한림대학교, [2016]
-
6.
- 모음 환경, 검사어 길이, 연령에 따른 검사 - 재검사의 비음치 차이 = Test - retest nasalance score variability in terms of vowel contexts, stimulus lengths, and ages
- 신일산, 한림대학교, [2016]
-
7.
- 청각적, 시각적 자극제시 방법과 음절 위치에 따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음운인식 능력 =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in terms of visual and auditory stimulus and syllable positio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 최유미, 한림대학교, [2018]
-
8.
- 통합적 음운인식 조음중재법 = Integrated phonological awareness articulation intervention method
- 강예림,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2022]
-
9.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SES)에 따른 초등학교 1-3학년 아동의 음운처리기술 = Phonological processing skills of children in grades 1 to 3 of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the family
- 이소라, 한림대학교 특수대학원, [2025]
-
10.
- 5-6세 말소리장애 및 일반 아동의 말 지각 및 음운표상 능력 비교 = Speech perception and phonological representation ability of children with and without speech disorders aged five, and six
- 방하정, 한림대학교 특수대학원, [2025]